KR101614077B1 -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077B1
KR101614077B1 KR1020150095891A KR20150095891A KR101614077B1 KR 101614077 B1 KR101614077 B1 KR 101614077B1 KR 1020150095891 A KR1020150095891 A KR 1020150095891A KR 20150095891 A KR20150095891 A KR 20150095891A KR 101614077 B1 KR101614077 B1 KR 101614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pe
water
discharge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터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터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터레인
Priority to KR102015009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29/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003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5/004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clearness or turbidity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003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5/007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8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clearness or turbidity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식 여과기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서 전달된 물을 이동시키는 배송펌프; 및 상기 배송펌프에 의해 전달된 상기 물을 정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포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여과기 모듈을 병렬식으로 연결한 적층식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은 상기 배송펌프를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과 상기 유입관의 사이에는 각각 개별제어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개별제어밸브는 제어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기 모듈을 개별제어밸브를 통해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물의 오염된 정도에 따라 적절히 필요한 만큼의 여과기 모듈을 가능하기 때문에 여과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Filter system using stackable filter plate}
본 발명은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여과판의 사이에 여과포가 구비되어 오염된 물이 다수개의 여과포를 통과하며 정화되는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속의 부유입자 제거방법에 있어 종래의 처리방법으로는 화학적 처리, 전기적 처리, 여과, 멤브란법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먼저, 가장 대표적인 처리방법으로는 화학적 처리 중에서 응집제(coagulant)를 사용하는 것으로, 무기응집제 또는 유기응집제를 사용하여 입자의 표면성질을 변화시켜 플럭을 형성케 한 후 침전시키는 것이 지금까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멤브란(막)을 이용하여 입자를 제거하는 공정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은 처리비용의 상승 때문에 확산상태에 있지 못하다. 특히, 막이 오염되면 역세척을 해야 하는데 하나의 단일 시스템을 이용하면 처리중간에 운전을 중지시키고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 아니라 처리용량이 크게 감소하므로 비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멤브란을 이용한 처리공법은 물로 단순히 세척하는 것이 아니라 가성소다 등을 세척제로 넣어서 오염된 막을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세척비용도 상당히 상승한다. 특히, 멤브란을 이용한 처리공법은 최소 두 개 이상의 동일한 시스템을 가지고 운영하여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개발된 여과장치 중에는 원통형 하우징 내에 수 개 이상의 철망 여과조를 설치하여 교대로 철망 여과조에 부착된 슬러지를 배출해내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추진되고 있으나, 장치가 복잡하고 슬러지를 배출할 동안 한 개의 처리조가 정지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입수의 탁도가 증가하면 각 철망 파이프의 처리조 내에 부착되는 슬러지가 증가하여 여과 처리면적이 동시에 저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존의 장치는 감속모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장치가 아주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운전방법도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 10-2006-0009656(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오폐수 처리장치와 관련하여 여과포에 끼인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역압력으로 세척하는 기술이 존재하고는 있으나, 전체적인 여과 시스템에서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여과판 모듈로 구성된 적층식 여과기를 이용하여 저수조의 운영 상태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여과판 모듈을 개별적으로 가동제어할 수 있는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판 모듈의 배출구의 압력이 보다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여과판 모듈의 개수에 따라 배출관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여과 시스템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서 전달된 물을 이동시키는 배송펌프; 및 상기 배송펌프에 의해 전달된 상기 물을 정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포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여과기 모듈을 병렬식으로 연결한 적층식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은 상기 배송펌프를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과 상기 유입관의 사이에는 각각 개별제어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개별제어밸브는 제어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 상기 여과기 모듈은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여과기 모듈은 상기 다수개의 여과기모듈의 개수에 비례하는 다수개의 분기라인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기 모듈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는 상기 여과기 모듈을 통해 여과된물이 배출되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 상기 제1배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배출관밸브; 상기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밸브의 사이에는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제2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배출관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배출관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2배출관밸브는 폐쇄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적층식 여과기로 상기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배송펌프가 구비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서 상기 적층식 여과기와 연결되는 일단에 구비되어 일측에 상기 적층식 여과기에서 물이 유입되는 입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적층식 여과기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구측에 연결되는 역세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관;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역세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제어밸브 및 역세제어밸브; 및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제1배출관에 각각 구비되어 유입 및 배출되는 상기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이송관 압력계 및 배출관 압력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관 압력계 및 상기 배출관 압력계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기 설정된 압력의 차이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유입제어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역세제어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어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적층식 여과기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입구를 통해 역세배수관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적층식 여과기로 상기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배송펌프가 구비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서 상기 적층식 여과기와 연결되는 일단에 구비되어 일측에 상기 적층식 여과기에서 물이 유입되는 입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적층식 여과기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구측에 연결되는 역세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관;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역세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제어밸브 및 역세제어밸브; 및 상기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탁도계에서 측정된 탁도 수치가 기 설정된 탁도수치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유입제어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역세제어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어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적층식 여과기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입구를 통해 역세배수관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 상기 물의 정화를 위해 상기 여과포의 표면에 도포되는 여재와 상기 물을 혼합시키기 위한 믹싱탱크;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믹싱탱크로 상기 물이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린스분기관; 상기 여재를 공급하기 위한 여재 유입관; 상기 믹싱탱크에서 상기 여재와 혼합된 상기 물을 상기 유입관으로 다시 유입시키기 위한 린스유입배관;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배출구와 상기 유입관을 연결시키는 순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린스분기관, 상기 여재유입관, 상기 린스유입배관 및 상기 순환배관에는 각각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린스분기관, 상기 여재 유입관, 상기 린스유입배관 및 상기 순환배관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시스템에는 전해살균시스템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해살균시스템은, 내부에 소금이 구비되어 상기 물에 소금이 융해되도록 하는 소금융합탱크; 상기 소금이 융합된 상기 물을 전기분해하여 염소를 생산하는 전기분해장치;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에서 분해된 염소가 저장되는 염소저장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제어밸브를 통해 여과기 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물의 오염도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여과기 모듈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역세 및 여재 재도포 과정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어, 전체적인 여과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적층식 여과기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여과기 모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및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여과판의 상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적층식 여과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서 물이 정수되는 과정을 보인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서 여과포가 역세되는 과정을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서 여과재가 재도포되는 과정을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서 여과재가 재도포된 후 초기에 작은 입자의 여과재를 걸러내는 과정을 보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해살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적층식 여과기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적층식 여과기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여과기 모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및 조립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여과판의 상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여과 시스템(1000)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00); 상기 저수조(100)에서 전달된 물을 이동시키는 배송펌프(P); 및 상기 배송펌프(P)에 의해 전달된 상기 물을 정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포(45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여과기 모듈(480)을 병렬식으로 연결한 적층식 여과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480)은 상기 배송펌프(P)를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335)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480)과 상기 유입관(335)의 사이에는 각각 개별제어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개별제어밸브는 제어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여과기 모듈(480)은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여과기 모듈(480)은 상기 다수개의 여과기모듈의 개수에 비례하는 다수개의 분기라인관(333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여과기 모듈(480)과 상기 저수조(100) 사이에는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통해 여과된물이 배출되어 상기 저수조(100)로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350); 상기 제1배출관(350)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관(35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배출관밸브(351); 상기 제1배출관(350)과 상기 제1배출관밸브(351)의 사이에는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제2배출관(360); 및 상기 제2배출관(36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배출관밸브(36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배출관밸브(351)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2배출관밸브(361)는 폐쇄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00)와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로 상기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배송펌프(P)가 구비되는 이송관(300); 상기 이송관(300)에서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와 연결되는 일단에 구비되어 일측에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에서 물이 유입되는 입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335)과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구측에 연결되는 역세관(3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관(330);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를 통과한 상기 물이 상기 저수조(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350); 상기 유입관(335) 및 상기 역세관(3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제어밸브(335a) 및 역세제어밸브(333b); 및 상기 유입관(335) 및 상기 제1배출관(350)에 각각 구비되어 유입 및 배출되는 상기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이송관 압력계(300a) 및 배출관 압력계(35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관 압력계(300a) 및 상기 배출관 압력계(350a)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기 설정된 압력의 차이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유입제어밸브(335a)가 폐쇄되고 상기 역세제어밸브(333b)가 개방되어 상기 역세관(333)을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어 상기 역세관(333)을 통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의 입구를 통해 역세배수관(339)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00)와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로 상기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배송펌프(P)가 구비되는 이송관(300); 상기 이송관(300)에서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와 연결되는 일단에 구비되어 일측에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에서 물이 유입되는 입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335)과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구측에 연결되는 역세관(3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관(330);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를 통과한 상기 물이 상기 저수조(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350); 상기 유입관(335) 및 상기 역세관(3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제어밸브(335a) 및 역세제어밸브(333b); 및 상기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탁도계(320)에서 측정된 탁도 수치가 기 설정된 탁도수치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유입제어밸브(335a)가 폐쇄되고 상기 역세제어밸브(333b)가 개방되어 상기 역세관(333)을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어 상기 역세관(333)을 통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의 입구를 통해 역세배수관(339)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물의 정화를 위해 상기 여과포(450)의 표면에 도포되는 여재와 상기 물을 혼합시키기 위한 믹싱탱크(500); 상기 유입관(335)에서 분기되어 상기 믹싱탱크(500)로 상기 물이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린스분기관(370); 상기 여재를 공급하기 위한 여재유입관(375); 상기 믹싱탱크(500)에서 상기 여재와 혼합된 상기 물을 상기 유입관(335)으로 다시 유입시키기 위한 린스유입관(380);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의 배출구와 상기 유입관(335)을 연결시키는 순환배관(36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린스분기관(370), 상기 여재유입관(375), 상기 린스유입관(380) 및 상기 순환배관(365)에는 각각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린스분기관(370), 상기 여재유입관(375), 상기 린스유입관(380) 및 상기 순환배관(365)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00)는 예를 들어 수영장과 같이 물이 일정량 고여 있는 상태로 정수설비를 통해 순환 및 정화하여 재사용되는 형태의 용수공급시설에 해당된다.
상기 저수조(100)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조(100)의 물이 외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저수조토출관(110)이 구비된다. 상기 저수조토출관(110)에는 상기 저수조토출관(1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저수조토출관밸브(111)가 구비된다. 상기 저수조토출관(110)을 통해 배출된 상기 물은 밸런스탱크(200)로 유입된다.
상기 밸런스탱크(200)는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와 이송관(30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300)에 상기 배송펌프(P)가 구비되어 상기 밸런스탱크(200)의 물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로 유입되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송관(300)에는 굵은 모래, 머리카락 등과 같이 입자가 굵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1차여과기(310)이 구비된다. 상기 1차여과기(310)은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와 상기 밸런스탱크(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로 오염된 물이 유입되기 전에 1차적으로 정화를 수행한다.
상기 이송관(300)에는 유입되는 물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계(320)가 구비된다. 상기 탁도계(320)에 의해 측정된 물의 탁도에 의해 후술할 역세 공정이 수행된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탁도계(320)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관(300)에 구비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110) 또는 상기 저수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이송관(300)은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와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를 구성하는 여과판(410)은, 여과판(410)과 상기 여과판(4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유입통공(420) 및 배출통공(43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통공(420)과 배출통공(430) 사이 상하 중도부에는 상하구획대(440)가 상하를 구획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하구획대(440)의 상하에는 각각 상측수로(442) 및 하측수로(441)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수로의 위에는 여과포(450)가 차단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유입통공(420)의 상측은 상측수로(442)와 차단되고, 하측은 하측수로(441)와 관통되는 제1관통공(4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공(430)의 하측은 하측수로(441)와 차단되고, 상측은 상측수로(442)와 관통되는 제2관통공(431)이 관통 형성된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여과판(410)을 다수 적층하고, 여과판(410)의 최상측에는 상기 유입통공(420)과 배출통공(430)을 차단하는 상단판(460)을 적층하며, 최하단에는 상기 유입통공(420)과 연통되는 유입관(335)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배출통공(430)과 연통되는 배출관(333)이 연결되는 하단판(470)이 적층되어 여과판(410)과 함께 견고히 결속되어 여과기 모듈(480)이 구성된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475는 수밀을 요하기 위해 체결하는 고무패킹을 나타낸다.
상기 여과기 모듈(480)은 도 4에서 보듯이, 다수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적층식 여과기(400)를 구성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입구측(정확히는 유입통공(420)) 및 출구측(정확히는 배출통공(430))은 상기 이송관(300)과 연통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관(300)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입구측에 결합되는 유입관(335)과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역세관(333)으로 구성되는 분기관(33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관(335) 및 상기 역세관(333)에는 각각 선택적 개폐를 위한 유입제어밸브(335a) 및 역세제어밸브(333b)가 구비된다.
상기 여과기 모듈(480)과 상기 유입관(335)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개별적으로 개폐제어 가능하도록 개폐제어밸브(33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개폐제어밸브(337)가 구비됨에 의해서 상기 여과기 모듈(480)이 선택적으로 운영될 수 있어 효과적인 정화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수조(100)의 물의 오염도가 매우 높아 신속한 정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개폐제어밸브(337)를 모두 개방하여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모두 사용하는 등 정화에 필요한 시간 및 용량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어떠한 특정 상기 여과기 모듈(480)이 고장 등에 의한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 해당 여과기 모듈(480)의 개폐제어밸브(337)를 조작함에 의해 유지보수를 수행하면서 다른 여과기 모듈(480)을 작동시켜 여과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출구측에는 제1배출관(350)이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관(350)은 상기 저수조(100)와 연통되어 여과되어 정수된 깨끗한 물이 상기 저수조(100)로 유입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제1배출관(350)은 선택적 개폐를 위해 제1배출관밸브(351)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배출관(350)에는 제2배출관(360)이 연통된다. 상기 제2배출관(360)은 제2배출관밸브(36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통해 토출된 물이 상기 저수조(100)가 아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1배출관(350)에는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통해 유입된 물이 다시 상기 이송관(3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순환배관(365)이 구비되고 상기 순환배관(365)은 순환배관밸브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이송관(300)에는 이송관(300)압력계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배출관(350)에는 배출관압력계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이송관(300)압력계 및 배출관압력계는 상기 이송관(300) 및 배출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후술할 역세작업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관(300)에는 린스분기관(370)이 연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린스분기관(370)은 믹싱탱크(500)와 연결된다. 상기 믹싱탱크(500)는 상기 이송관(300)으로 이송되는 물의 일부와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의 여과포(450)에 도포되는 여과재를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여과재는 여재유입관(375)를 통해 상기 믹싱탱크(500)로 유입된다. 상기 믹싱탱크(500)에서 여과재가 혼합된 물이 상기 이송관(300)을 통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로 유입되어 여과포(450)에 도포된다. 자세한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믹싱탱크(500)로 유입된 물은 린스유입관(380)을 통해 상기 이송관(300)으로 이송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로 유입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적층식 여과기(400)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1000)에 의해 물이 정화되는 과정 및 역세, 린스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면에서 각 밸브 옆에 (ON)으로 표시된 것으 개방된 상태를 표시하고 (OFF)로 표시된 것은 폐쇄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각 밸브들의 제어는 제어부가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각각의 상황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서 물이 정수되는 과정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6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서 여과포가 역세되는 과정을 보인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서 여과재가 재도포되는 과정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에서 여과재가 재도포된 후 초기에 작은 입자의 여과재를 걸러내는 과정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저수조(100)에서 사용된 물은 상기 저수조(100) 토출관을 통해 밸런스탱크(200)로 유입된다. 상기 밸런스탱크(200)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송펌프(P)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송관(300)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물은 상기 1차여과기(310)을 통과하면서 입자가 굵은 이물질(돌멩이, 머리카락 등)이 여과되어 1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1차여과가 이루어진 상기 물은 상기 이송관(300)의 분기관(330)에서 유입관(335)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 내부의 여과포(450)를 통과하면서 정화가 되고, 정화된 물은 상기 제1배출관(350)을 통해 상기 저수조(100)로 다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계속적으로 반복되어 상기 저수조(100)의 물의 수질 상태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유입관(335)과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사이에 구비된 개별제어밸브에 의해 정화에 사용되는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개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저수조(100)의 물이 사용이 많아져 오염수치가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모두 사용하여 상기 저수조(100)의 물을 빠른 속도로 정화시켜 일정한 정도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여과기 모듈(480)에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 상기 여과 시스템(1000) 전체를 중단할 필요없이 해당하는 여과기 모듈(480)의 상기 개별제어밸브를 폐쇄한 상태로 하고 나머지 여과기 모듈(480)을 작동시켜 유지보수와 물의 정화를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여과 시스템(1000)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여과 시스템(1000)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상기 저수조(100)의 물의 탁도를 통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관(300)에 구비된 상기 탁도계(320)를 통해 상기 물의 탁도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상기 탁도계(320)의 탁도가 기 설정된 탁도 수치보다 높고, 이러한 탁도가 기 설정된 시간 계속해서 유지된다면, 상기 개별제어밸브를 모두 개방하도록 하여, 여과 효율을 높이거나, 기 설정된 탁도 수치보다 일정수준 낮은 탁도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여과기 모듈(480) 중 일부만을 사용하도록 상기 개별제어밸브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여과 시스템(1000)에서 역세가 진행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 시스템(1000)의 역세과정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와 같은 흐름으로 정화가 계속되면, 오염된 물에 잔존되어 있던 오염물질이 상기 여과기 모듈(480) 내부의 여과포(450)에 도포된 여과재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여과포(450)에 상기 오염물질이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오염물질이 상기 여과포(450)에 계속적으로 적층이 되면, 물의 여과 효율이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여과 시스템(1000)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포(450)에 남아 있는 상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고 이를 역세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역세과정은 개략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적층식 여과기(400)의 입구측으로 유입하여 출구측으로 배출하던 물을 상기 출구측을 통해 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입구측을 통하여 물을 배출시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우선 상기 밸런스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송펌프(P)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송관(300)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유입제어밸브(335a)가 폐쇄되고 상기 역세제어밸브(333b)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역세관(333)을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된다. 상기 역세관(333)은 상기 제1배출관(350)과 연결된 상태로 역세시에는 상기 제1배출관(350)의 배출관 밸브가 폐쇄된 상태로 제1배출관(350)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출구측을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게 된다.
상기 출구측을 통해 유입된 상기 물은 상기 배출통공(430)을 통해 제2관통공(431)으로 유입되고, 상기 상측수로(442) 및 하측수로(441)를 지나 제1관통공(421)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여과포(450)에 남아 있는 여과물질들은 상기 여과포(450)를 통과하는 상기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포(450)에서 분리?? 상기 물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관통공(421)을 지나 상기 유입통공(420)으로 유입된 상기 물은 다시 상기 역세배수관(33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내부를 상기 물이 역류하면서 상기 여과포(450)에 남아 있는 여과물들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역세배수관(339)로 배출되는 것이다.
역세 시간은 필요에 따라 1분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압력계 및 탁도계(320)의 수치에 따라 역세시간을 설정하는 것도 역시 가능할 것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역세관(333)은 다시 2개의 관으로 분기되는 분기라인관(333a)이 구비된다. 분기라인관(333a)은 상기 역세관(333)으로 들어오는 물이 상기 여과기 모듈(48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역세관(333)과 근접한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경우 강한 수압을 받고, 상기 역세관(333)과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경우 약한 수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어느 정도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기 모듈(480)이 4개가 구비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균일한 압력분배를 위해서 2개가 쌍을 이루는 부분에 각각 분기라인관(333a)을 구비하여 4개의 상기 여과기 모듈(480)에 균일한 수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일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개수가 4개가 아닌 6개 등으로 많아 질 경우에는 상기 분기라인관(333a)의 개수를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설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위와 같은 역세 과정을 거친 후에는 상기 여과포(450)에 도포된 여과재가 상기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포(450)에 여과재를 다시 재도포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여과재의 재도포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이송관(300)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상기 물의 일부가 상기 믹싱탱크(500)로 유입된다. 상기 믹싱탱크(500)의 여재유입관(375)에서는 재도포를 위한 여재가 상기 믹싱탱크(500)로 유입되도록 여재유입밸브(375a)가 개방되고, 상기 믹싱탱크(500)에 상기 여재 및 상기 물이 함께 섞이게 된다.
상기 믹싱탱크(500)에서 상기 여재가 혼합된 상기 물은 상기 린스유입관(380)을 통해 상기 이송관(300)으로 다시 유입되고, 상기 이송관(300)을 따라 상기 유입관(335)을 통해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여과기 모듈(480)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물에 혼합된 여재는 상기 여과포(45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여과포(450)의 일측면에 적층이 된다.
상기 여재가 혼합된 상기 물이 상기 여과포(450)를 통과한 후에는 상기 순환배관(365)을 통해 상기 이송관(300)으로 다시 유입되어 여재와 혼합되고 다시 재도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배출관밸브(351)는 상기 제1배출관(350)을 폐쇄하여 상기 저수조(100)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기설정된 시간이 흘러 상기 여과포(450)에 상기 여재의 재도포가 완료되면 재도포 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일정시간 동안 상기 재도포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배송펌프(P)를 통해 압력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여과포(450)에 적층된 여재는 상기 배송펌프(P)의 압력에 의해 어느 정도 상기 여과포(45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다져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여과포(450)에 상기 여재가 단단히 안착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재도포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여재의 재도포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여과 시스템(1000)을 작동시켜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여과포(450)에 남아 있는 여재에는 상기 여과포(450)를 통과할 수 있을만큼 작은 입자를 가진 여재가 일부 존재하게 된다. 재도포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바로 정화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여재의 일부가 상기 여과포(450)를 통과하여 상기 저수조(100)로 유입될 수 있는 바, 일정시간 동안 상기 여과포(450)를 통과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여과포(450)를 통과할 수 있는 작은 입자의 여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살펴보면, 도 8을 참조하였을 때, 상기 물이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통과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여과 시스템(1000)의 여과 공정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배출관(350)의 제1배출관밸브(350a)를 폐쇄 시키고, 상기 제2배출관(360)의 제2배출관밸브(360a)를 개방시켜 상기 여과기 모듈(480)을 통과한 물이 다시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여과포(450)에 남아 있는 미세한 입자의 여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여과 시스템(1000)의 여과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한 소독제 발생장치 시스템(5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여과시스템(1000)에는 전기분해시스템(5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기분해시스템(500)은, 내부에 소금이 구비되어 상기 물에 소금이 융해되도록 하는 소금융합탱크(520); 상기 소금이 융합된 상기 물을 전기분해하여 염소를 생산하는 전기분해장치(530);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530)에서 분해된 염소가 저장되는 염소저장소(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기분해시스템(500)은 염소를 전기분해를 통해 생산하여 별도의 염소를 추가하지 않고 염소소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전기분해시스템(500)에는 염소를 생산하기 위한 물이 살균수유입관(550)을 통해 유입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살균수유입관(55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정화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외부의 물을 유입시킬 수도 있고, 상기 제1배출관(350)을 통해 정화되어 배출되는 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살균수유입관(550)은 상기 제1배출관(350)과 연통되거나, 외부의 상수원과 연결되거나,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상수원과 동시에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모두 가능할 것이다.
상기 살균수유입관(550)을 통해 유입된 물은 연수기(510)를 거쳐 칼슘, 마그네슘 같은 양이온이 제거되고, 상기 소금융합탱크(520)로 유입된다.
상기 소금융합탱크(5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물은 상기 소금융합탱크(520) 내부의 소금이 융해되어 다시 상기 전기분해장치(530)로 유입된다. 상기 소금융합탱크(52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금의 융해를 위한 교반장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기분해장치(530)에는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음극에 전류를 흘려보내기 위한 전력전달장치가 구비된다.(미도시) 상기 양극 및 음극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상기 물은 전기분해 반응이 일어나 차아염소산(ClO-), 이산화염소(ClO2) 등이 방출되고 이때 반응되는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양극반응 : Cl- -> Cl2 + e-
4OH- -> O3+H2O+2H+
2OH- -> O2+2H+
Cl2+O2 -> ClO2+2H+
음극반응 : 2H+ + 2e- -> H2
용액반응 : Na+ +OH- -> NaOH
NaOH+ Cl2 -> NaOCl
2ClO2+2H -> HOCl +O2
상기 전기분해장치(530)에서 생산된 염소는 염소저장소(540)에 저장된 후, 필요에 따라 살균수배출관(555)을 통해 상기 저수조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배출관(555)은 제1살균수배출관(560) 및 제2살균수배출관(570)으로 분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살균수배출관(560)은 상기 이송관(300)에 연결되고, 상기 제2살균수배출관(570)은 상기 제1배출관(350)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관(300)을 통해 상기 염소를 유입하는 경우 상기 염소가 정화되기 전의 상기 물에 유입되어 상기 물에 존재하는 이물질과 결합하여 슬러지화 될 수 있어 여과효율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배출관(350)을 통해 상기 염소를 유입하는 경우, 상기 저수조에 유입되기 위해 거치는 통로가 짧아 염소의 농도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염소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110)에는 염소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의 염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염소센서에 측정된 염소농도가 기설정된 염소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염소저장소(540)에서 염소를 방출시켜 염소농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염소저장소(540)에서 염소가 방출되어 기설정된 수준으로 유지된 후에는 상기 제어부는 다시 상기 염소저장소(540)에서의 염소 방출을 중단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0 : 여과 시스템 100 : 저수조
110 : 저수조 토출관 111 : 저수조 토출관 밸브
200 : 밸런스 탱크 300 : 이송관
310 : 1차 여과기 320 : 탁도계
330 : 분기관 333 : 역세관
335 : 유입관 337 : 개별제어밸브
339 : 역세배수관 365 : 순환배관
380 : 린스유입관 400 : 적층식 여과기
480 : 여과기 모듈

Claims (7)

  1.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서 전달된 물을 이동시키는 배송펌프; 및
    상기 배송펌프에 의해 전달된 상기 물을 정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포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여과기 모듈을 병렬식으로 연결한 적층식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은 상기 배송펌프를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여과기 모듈과 상기 유입관의 사이에는 각각 개별제어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개별제어밸브는 제어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의 정화를 위해 상기 여과포의 표면에 도포되는 여재와 상기 물을 혼합시키기 위한 믹싱탱크;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믹싱탱크로 상기 물이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린스분기관;
    상기 여재를 공급하기 위한 여재 유입관;
    상기 믹싱탱크에서 상기 여재와 혼합된 상기 물을 상기 유입관으로 다시 유입시키기 위한 린스유입배관;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배출구와 상기 유입관을 연결시키는 순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린스분기관, 상기 여재유입관, 상기 린스유입배관 및 상기 순환배관에는 각각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린스분기관, 상기 여재 유입관, 상기 린스유입배관 및 상기 순환배관이 선택적으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모듈은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여과기 모듈은 상기 다수개의 여과기모듈의 개수에 비례하는 다수개의 분기라인관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모듈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는 상기 여과기 모듈을 통해 여과된물이 배출되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
    상기 제1배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배출관밸브;
    상기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밸브의 사이에는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제2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배출관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배출관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2배출관밸브는 폐쇄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적층식 여과기로 상기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배송펌프가 구비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서 상기 적층식 여과기와 연결되는 일단에 구비되어 일측에 상기 적층식 여과기에서 물이 유입되는 입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적층식 여과기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구측에 연결되는 역세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관;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역세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제어밸브 및 역세제어밸브; 및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제1배출관에 각각 구비되어 유입 및 배출되는 상기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이송관 압력계 및 배출관 압력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관 압력계 및 상기 배출관 압력계에서 측정된 압력의 차이가 기 설정된 압력의 차이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유입제어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역세제어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어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적층식 여과기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입구를 통해 역세배수관으로 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적층식 여과기로 상기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배송펌프가 구비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서 상기 적층식 여과기와 연결되는 일단에 구비되어 일측에 상기 적층식 여과기에서 물이 유입되는 입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적층식 여과기에서 물이 배출되는 출구측에 연결되는 역세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기관;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층식 여과기를 통과한 상기 물이 상기 저수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배출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역세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제어밸브 및 역세제어밸브; 및
    상기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탁도계에서 측정된 탁도 수치가 기 설정된 탁도수치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유입제어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역세제어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어 상기 역세관을 통해 상기 적층식 여과기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적층식 여과기의 입구를 통해 역세배수관으로 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시스템에는 전해살균시스템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해살균시스템은,
    내부에 소금이 구비되어 상기 물에 소금이 융해되도록 하는 소금융합탱크;
    상기 소금이 융합된 상기 물을 전기분해하여 염소를 생산하는 전기분해장치;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에서 분해된 염소가 저장되는 염소저장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KR1020150095891A 2015-07-06 2015-07-06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KR10161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891A KR101614077B1 (ko) 2015-07-06 2015-07-06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891A KR101614077B1 (ko) 2015-07-06 2015-07-06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077B1 true KR101614077B1 (ko) 2016-04-20

Family

ID=5591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891A KR101614077B1 (ko) 2015-07-06 2015-07-06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970B1 (ko) * 2016-12-23 2018-01-30 주식회사 필터레인 다공판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6585A1 (ja) 2007-02-05 2008-08-14 Toray Industries, Inc. ろ過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0949349B1 (ko) 2009-09-14 2010-03-26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막 여과장치 및 이의 막 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6585A1 (ja) 2007-02-05 2008-08-14 Toray Industries, Inc. ろ過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0949349B1 (ko) 2009-09-14 2010-03-26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막 여과장치 및 이의 막 세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970B1 (ko) * 2016-12-23 2018-01-30 주식회사 필터레인 다공판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544B1 (ko) 정수 처리 시스템
US8753509B2 (en) Advanced filtration device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CA31023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ommercial and industrial laundry wastewater
CN108636124A (zh) 过滤设备
KR20240009538A (ko)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및 중공사막 여과 장치
CN104529018A (zh) 电絮凝在印染废水处理及回用工艺
JP4499239B2 (ja) 脱イオン水製造装置
JP2009273973A (ja) 膜処理による海水淡水化システム
JPH09206743A (ja) 超純水製造供給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101614077B1 (ko)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JP4439674B2 (ja) 脱イオン水製造装置
CN107098526A (zh) 浓盐水零排放分质结晶的膜浓缩设备及处理工艺
CN210796017U (zh) 电极箔含硼清洗废水处理系统
KR20130080588A (ko) 실리콘 폐수의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210796018U (zh) 电极箔含磷清洗废水处理系统
KR101637049B1 (ko) 수처리 장치
CN210885551U (zh) 一种电极箔的废液回收装置
KR101566085B1 (ko)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KR20170087842A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CN208562006U (zh) 一种电化学微滤膜中水回用系统
CN110862168A (zh) 电极箔含磷清洗废水处理系统及其处理工艺
KR101812970B1 (ko) 다공판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JP2002113336A (ja) 膜ろ過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20140128841A (ko) 막모듈의 교차 정수 및 세정 장치와 이의 운전방법
JP7284545B1 (ja) 膜ろ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