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085B1 -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085B1
KR101566085B1 KR1020130131089A KR20130131089A KR101566085B1 KR 101566085 B1 KR101566085 B1 KR 101566085B1 KR 1020130131089 A KR1020130131089 A KR 1020130131089A KR 20130131089 A KR20130131089 A KR 20130131089A KR 101566085 B1 KR101566085 B1 KR 10156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odule
membrane
ammonia
wastewater
electrolytic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911A (ko
Inventor
장형석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0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소를 포함한 폐수의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아염소산을 막 모듈의 세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를 임시 저장하는 저류조; 막을 이용하여 저류조에 저장된 폐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제거하는 막 모듈; 상기 막 모듈로 유입되는 폐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펌프; 상기 막 모듈을 통과하여 부유물이 제거된 폐수를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기 분해조; 상기 전기 분해조의 처리수를 임시 저장하는 역세수조; 상기 역세수조의 유리잔류 염소 또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측정수단; 상기 제1측정수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분해조의 처리수를 상기 역세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 상기 막 모듈의 막을 화학적으로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역세수조에 저장된 처리수를 상기 막 모듈로 이송하기 위한 역세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Apparatus for Membrane Chemical Cleansing in the Membrane and Electrolysis Treatment System for wastewater containing high organics and ammonia}
본 발명은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소를 포함한 폐수의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아염소산을 막 모듈의 세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소화액과 같이 유기물질과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를 처리하는 데 있어 전기 분해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전기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아염소산(HOCl)은 암모니아성 질소뿐만 아니라 유기물질도 처리가 가능하므로 암모니아 탈기탑(6)을 포함하는 종래의 음식물 소화액 처리 시설에 비하여 효율적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기물질 중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어려운 난분해성 물질의 처리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 그러나 전기 분해조로 부유물질이 유입될 경우 처리에 제약이 있는 문제가 있다. 부유성 물질은 전기 분해 과정 중 발생하는 질소가스와 혼합하여 거품 발생량을 크게 늘이는데, 전극 표면에 거품이 생기면 전극과 처리수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전기 분해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극 사이에 스케일을 축적시켜 전극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거품에 의해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막 모듈을 전기 분해조의 사전 공정으로 막여과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막여과 기술은 분리하고자 하는 입자보다 작은 크기의 공극을 갖는 매체에 압력, 중력차, 농도차, 온도차 등의 구동력(driving force)을 가하여 입자를 분리해내는 기술로서, 주로 정수처리 공정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통상 정수처리 공정에 활용되는 막 모듈은 통상 정밀여과 또는 한외여과막으로서 0.001~0.1㎛정도의 공극을 갖고 있는 막이며, 이러한 막 모듈에 구동력을 가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 콜로이드, 병원성 미생물 등을 분리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 막 모듈이 전술한 입자들을 계속해서 걸러내는 과정에서 막의 공극이 제거대상 물질들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막 모듈의 공극에 침착된 물질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는 역세정, 약품 역세정, 화학세정 등이 있으며, 막 모듈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세정방법이 결정된다. 역세정이란 막 모듈의 공극을 막은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나 물 등을 막 모듈 공정의 역방향으로 통과시켜 막에 침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가장 낮은 정도의 오염에 실시된다. 약품 역세정이란 약품을 섞은 물을 이용하여 역세정하는 것을 말하며, 중간 정도의 막오염에 실시된다. 화학세정이란 고농도의 다양한 약품을 통해 막 모듈 내에 축적된 막오염 물질을 씻어내는 공정으로서 막 모듈을 화학약품이 포함된 물에 담근 상태로 일정기간 유지하여 막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며, 가장 높은 정도의 막오염을 처리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이때 막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화학약품 중 대표적인 것이 차아염소산인데 차아염소산은 소독물질로서 미생물을 비활성화시키거나 유기물을 산화시킴으로써 막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화학 역세정의 경우 수백 mg/L정도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사용하며 화학세정의 경우 수천mg/L 정도 농도의 차아염소산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차아염소산(HOCl)은 휘발성이 있으므로 직접투입하는 방식은 잘 사용되지 않고 차아염소산 나트륨(NaOCl)을 주입함으로써 그 차아염소산을 투입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그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NaOCl + H+ = HOCl + Na+
약품 역세정이나 화학세정을 할 때에는 약품펌프를 사용하여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주입하게 되며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약품조를 사용하게 된다.
이를 도 1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처리 대상 원수는 저류조(1)에 일시 저장되고 막가압 펌프(P1)에 의해 막 모듈(2)을 통과하게 되며 막 모듈(2)을 통과한 처리수는 처리조(3)에 일시 저장된 후 적절히 이송된다. 막 모듈(2)을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는 다시 저류조(1)에 모이게 된다. 막 모듈(2)의 운영시에는 제1밸브(v1)와 제2밸브(v2) 및 제4밸브(v4)는 개방된 상태로 운영되고 제3밸브(v3)는 폐쇄된 상태로 운영된다. 화학 역세정을 하는 경우에는 제1밸브(v1)과 제2밸브(v2)를 폐쇄하고 제3밸브(v3) 및 제4밸브(v4)는 개방한 상태에서 제3펌프(p3)에 의해 처리조(3)에 임시저장된 처리수에 약품조(4)에 저장된 약품을 혼합한 상태로 제2펌프(2)에 의해 막 모듈(2)로 약품이 포함된 세척액을 보내 화학 역세정을 하게 된다.
이처럼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막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약품펌프(도 1의 제3펌프)나 약품조를 설계에 반영하여야 하므로 시공 비용이 올라가고 계속해서 약품을 사용함에 따른 약품 비용에 의해 운영비가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 분해조와 막 모듈을 조합하여 사용함에 있어 비용효율적인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를 임시 저장하는 저류조;
막을 이용하여 저류조에 저장된 폐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제거하는 막 모듈;
상기 막 모듈로 유입되는 폐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펌프;
상기 막 모듈을 통과하여 부유물이 제거된 폐수를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기 분해조;
상기 전기 분해조의 처리수를 임시 저장하는 역세수조;
상기 전기 분해조의 유리잔류 염소 또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측정수단;
상기 제1측정수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분해조의 처리수를 상기 역세수조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
상기 막 모듈의 막을 화학적으로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역세수조에 저장된 처리수를 상기 막 모듈로 이송하기 위한 역세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류조에 염소 이온을 투입하기 위한 염소 이온 투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역세수조의 유리 잔류 염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 모듈은 가압식 막 모듈 또는 침지식 막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막 모듈은 침지식 막 모듈이고 상기 침지식 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막 세정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전기 분해조의 처리수를 상기 막 세정조와 상기 역세수조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분해조 이전에 막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막 모듈에 의하여 전기 분해조의 전처리가 이루어져 전기 분해조의 효율을 높이면서 전기 분해조에서 발생하는 차아염소산으로 상기 막 모듈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막 모듈이 포함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전기 분해 처리시 암모니아와 차아염소산의 농도 거동을 표현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는 저류조(10), 막 모듈(20), 가압펌프(30), 전기 분해조(40), 제1측정수단(50), 이송수단(60), 역세수조(70), 역세 이송수단(80), 염소 이온 투입수단(90) 및 제2측정수단(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류조(10)는 처리 대상 폐수가 처리장으로 유입되었을 때, 유입된 폐수를 임시저장하는 구성이다. 체류시간에 따라 폐수 중의 고형성분이 일부 침전되는 것을 기대할 수도 있다.
상기 막 모듈(20)은 상기 저류조에 저장된 폐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막 모듈(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식 막 모듈을 사용한다.
상기 가압펌프(30)는 상기 막 모듈(20)로 유입되는 폐수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가압식 막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폐수가 막 모듈(20)의 막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일정수준의 가압하는 것이 필요하며 가압펌프(30)가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기 분해조(40)는 상기 막 모듈(20)을 통과하여 부유 물이 제거된 폐수를 전기 분해하는 반응조이다.
전기 분해조(40)의 전기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아염소산(HOCl)은 암모니아성 질소와 우선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암모니아를 처리하게 된다.
전기 분해반응에 의할 경우 암모니아성 질소를 탈질하기 위한 암모니아 탈기탑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응시간에 있어서도 종래의 음식물 소화액 처리조에 비하여 훨씬 짧아지므로 이로 인하여 처리 장치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처리 시설의 콤팩트 화에도 상당히 효과적이다. 그런데 부유성 물질은 전기 분해 과정 중 발생하는 질소가스와 혼합하여 거품 발생량을 크게 늘이는데, 전극 표면에 거품이 생기면 전극과 처리수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전기 분해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극 사이에 스케일을 축적시켜 전극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거품에 의해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막 모듈(20)을 전기 분해조(40)의 전처리 수단으로 두어 전기 분해조(40)에 투입되기 이전에 폐수 속의 부유물질을 거의 전부를 제거함으로써 전기 분해조(40)에서 부유물질이 포함된 소화액이 처리될 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전기 분해조(40)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은 밸브(31)로 제어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전기 분해조(40)의 적정 체류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차아염소산은 질소와 우선적으로 반응하면서 암모니아를 처리하게 되는데 암모니아의 제거가 완료된 시점에서는 전기 분해조(40) 내의 차아염소산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도 4는 전기 분해 처리시 암모니아와 차아염소산의 농도 거동을 표현한 그래프로서, 그래프에서 암모니아의 농도(직선)가 0이 된 시점에서 차아염소산의 농도(점선)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역세수조(70)는 상기 전기 분해조(40)의 처리수를 임시 저장하는 반응조로서 차아염소산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차아염소산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막 모듈에 사용되는 막을 약품세정(약품 역세정(CEB; Chemically Enhanced Backwashing) 또는 화학세정(CIP; Clean In Place))하는데 사용되는 화합물이므로 역세수조(70)에 저장된 처리수는 막 모듈(20)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저장하는 것이다. 차아염소산은 휘발성이 있기 때문에 역세수조(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폐쇄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측정수단(100)은 상기 전기 분해조(40) 내의 유리잔류 염소 또는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제1측정수단(100)에 의한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전기 분해조(40)의 체류시간이나 전기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전기 분해조(40)에서 발생하는 차아염소산의 양을 조절하여 역세수조(70)에 저장된 막 모듈(20) 세척액의 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이송수단(60)은 상기 제1측정수단(50)에서 측정된 차아염소산의 농도에 따라 전기 분해조(40)의 처리수를 상기 역세수조(70)로 이송하는 구성으로서, 제1배관으로 구성되며, 자연 유하식으로 별도의 펌프 없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역세 이송수단(80)은 상기 막 모듈(20)의 막을 약품 세정하기 위하여 차아염소산이 포함되어 있는 역세수조(70)의 처리수를 막 모듈(20)로 이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염소 이온 투입수단(90)은 저류조에 염소 이온을 투입하는 구성이다. 염소 이온을 투입하기 위하여 소금(NaCl)을 투입하면 된다. 전기 분해과정에서 차아염소산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염소 이온이 필요하다. 그런데 폐수의 특성에 따라 염소 이온의 농도가 부족한 경우에는 염소 이온을 보충할 필요가 있으므로 염소 이온 투입수단(90)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 나라 음식 문화의 특성상 음식물 소화액은 높은 농도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상 폐수가 음식물 소화액이라면 염소 이온 투입수단(90)이 필요 없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의 처리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의 각각의 구성의 작용 및 효과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우선 처리장에 유입되는 폐수는 저류조(10)에 임시저장되었다가 후속공정으로 유입된다.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는데 후속공정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일정속도(유량/시간)로 유지하기 위하여 저류조(10)를 두는 것이다.
저류조(10)에 임시 저장되었던 폐수는 막 모듈(20)을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이 제거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막 모듈(20)은 가압식 막 모듈이고 가압식 막 모듈의 경우 폐수가 막 모듈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가압력이 필요한데 가압펌프(30)가 그 가압력을 제공한다.
막 모듈(20)을 통과한 폐수는 전기 분해조(40)에 유입되는데 전기 분해조(40)에 유입되는 폐수에 부유물질이 많은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처리 과정으로 막 모듈(20)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막 모듈(20)을 통과한 폐수는 전기 분해조(40)에서 전기 분해가 일어나는데 전기 분해 반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전기 분해조(40)의 양극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2Cl- -> Cl2 + 2e-
그리고 전기 분해조(40) 내의 용액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Figure 112013099130156-pat00001
Figure 112013099130156-pat00002
Figure 112013099130156-pat00003
전기 분해과정에서 차아염소산(HOCl)이 발생하며 이는 암모니아의 제거에 사용된다. 전기 분해조(40)에 유입된 폐수에서 암모니아의 제거가 완료되면 전기 분해조(40) 내의 차아염소산(HOCl)의 농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제1측정수단(50)에 의해 그 농도를 측정한 후 막 모듈(20)을 약품 세정하기에 적절한 농도가 되면 이를 이송수단(60)에 의해 역세수조(70)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역세수조(70)에 저장된 차아염소산이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막 모듈(20)을 역품 세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분해조(40)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막 모듈(20)을 채용하였는데 막 모듈(20)의 경우 파울링 문제로 인하여 정기적인 약품 세정이 필요한데 전기 분해조(40)에서 발생하는 차아염소산을 사용함으로써 약품 투입에 소요되는 비용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는 저류조(110), 막 모듈(120), 가압펌프(130), 전기 분해조(140), 제1계측수단(200), 이송수단(160), 역세수조(170), 역세 이송수단(180), 염소 이온 투입수단(190), 막 세정조(210)로 구성된다.
상기 저류조(110), 전기 분해조(140), 제1계측수단(200), 역세수조(170), 염소 이온 투입수단(190)은 도 2에 도시된 앞선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이송수단(160)은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역세 이송수단(180)이 펌프(181), 배관(182)으로 구성된 것 역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막 모듈(120)은 침지식 막 모듈이며, 가압펌프(130)는 폐수의 흐름상 막 모듈(120)의 다음에서 막 모듈(120)로 폐수를 끌어들이며 밸브(131)가 마련되어 역세정 시에는 그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막 세정조(210)는 상기 침지식 막 모듈(120)을 세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전기 분해조(140)에서 일정 농도 이상의 차아염소산이 측정되면 밸브(164)를 개방하여 전기 분해조(140)의 처리수를 주입하게 되며 그 내부에서 막 모듈(120'; 120으로 표시된 막 모듈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막 세정조(210)에서 세정되고 있는 막 모듈이므로 그 번호를 약간 달리하였다)을 세정하게 된다. 상기 막 세정조(210)에는 제2계측수단(211)이 포함되어 잔류유리 염소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측정하게 되며 이 농도를 바탕으로 전기 분해조(40)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나 체류시간 등을 조절하여 적절한 농도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 : 저류조 20 : 막 모듈
30 : 가압펌프 40 : 전기 분해조
100 : 제1측정수단 60 : 이송수단
70 : 역세수조 80 : 역세 이송수단

Claims (4)

  1.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를 임시 저장하는 저류조;
    막을 이용하여 저류조에 저장된 폐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제거하는 막 모듈;
    상기 막 모듈로 유입되는 폐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펌프;
    상기 막 모듈을 통과하여 부유물이 제거된 폐수를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기 분해조;
    상기 전기 분해조의 처리수를 임시 저장하는 역세수조;
    상기 전기분해조의 유리잔류 염소 또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측정수단;
    상기 제1측정수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분해조의 처리수를 상기 역세수조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
    상기 막 모듈의 막을 화학적으로 세정하기 위하여 상기 역세수조에 저장된 처리수를 상기 막 모듈로 이송하기 위한 역세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에 염소 이온을 투입하기 위한 염소 이온 투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모듈은 가압식 막 모듈 또는 침지식 막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모듈은 침지식 막 모듈이고 상기 침지식 막 모듈을 세정하기 위한 막 세정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전기 분해조의 처리수를 상기 막 세정조와 상기 역세수조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KR1020130131089A 2013-10-31 2013-10-31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KR101566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89A KR101566085B1 (ko) 2013-10-31 2013-10-31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89A KR101566085B1 (ko) 2013-10-31 2013-10-31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911A KR20150049911A (ko) 2015-05-08
KR101566085B1 true KR101566085B1 (ko) 2015-11-04

Family

ID=5338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089A KR101566085B1 (ko) 2013-10-31 2013-10-31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4537A1 (en) * 2016-11-25 2018-05-31 Island Water Technologies Inc. Bio-electrochemical sensor and method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0070B (zh) * 2015-09-05 2017-05-10 浙江大学 一种去除海水反硝化反应器出水中氨氮的装置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367B1 (ko) * 2005-05-30 2006-01-23 한승원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367B1 (ko) * 2005-05-30 2006-01-23 한승원 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4537A1 (en) * 2016-11-25 2018-05-31 Island Water Technologies Inc. Bio-electrochemical sensor and method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11352272B2 (en) 2016-11-25 2022-06-07 Sentry:Water Monitoring And Control Inc. Bio-electrochemical sensor and method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911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799B2 (en) Integrated membrane system for distributed water treatment
KR101904507B1 (ko) 막 결합형 고도전기산화법 및 이를 위한 수처리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 시스템
JP5804228B1 (ja) 水処理方法
KR100893565B1 (ko) 기수의 농도별 염분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염분제거 방법
US20090145773A1 (en) Membrane Cycle Cleaning
CN103764574A (zh) 废水处理系统和方法
EP366492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ceramic membrane using ozone gas
KR101035899B1 (ko) 고회수 저오염형 하수처리수 재이용 장치 및 방법
CN105481141A (zh) 一种中水回用装置中对反渗透浓盐水进行再浓缩回用的方法
KR101050418B1 (ko) 지능형 고효율 분리막 유지 세정장치 및 방법
KR101566085B1 (ko) 막 모듈과 전기분해 공정 및 막 세정수단을 포함하는 고농도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장치
JP2009273973A (ja) 膜処理による海水淡水化システム
KR20170075085A (ko) 막여과 정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망간 저감방법
KR20030042133A (ko) 침지형 분리막의 세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80588A (ko) 실리콘 폐수의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041907A (ja) 水処理システム
JP5250684B2 (ja) 海水淡水化方法及び海水淡水化装置
KR100974184B1 (ko) 역삼투막을 이용한 계곡수 또는 지하수 처리 소규모 수도시설 장치
KR101556267B1 (ko) 가압식 막여과 세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여과막 세정 방법
KR102380257B1 (ko) 분리막 기술을 적용한 양식장 사육수 처리 시스템
RU2547498C1 (ru)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ий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JP2013086019A (ja) 海水淡水化方法および海水淡水化装置
JP4304803B2 (ja) 水処理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JP4099369B2 (ja) 排水処理装置
KR101614077B1 (ko) 적층식 여과판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