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290Y1 - 오덕셋트 - Google Patents

오덕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290Y1
KR200364290Y1 KR20-2004-0021124U KR20040021124U KR200364290Y1 KR 200364290 Y1 KR200364290 Y1 KR 200364290Y1 KR 20040021124 U KR20040021124 U KR 20040021124U KR 200364290 Y1 KR200364290 Y1 KR 200364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top
crater
coupled
odo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풍
Original Assignee
장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풍 filed Critical 장기풍
Priority to KR20-2004-0021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대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녹이 슬지 않으면서도, 수명이 연장되고 위생상으로도 유리한 새로운 구성의 오덕셋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대(20)의 상면에 형성된 화구(10)에 결합되는 오덕(30,40)과, 상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대(20)의 화구(10)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통체(50)를 포함하는 오덕셋트에 있어서, 상기 오덕(30,4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대(20)의 상면에 얹혀져 화구(10)의 둘레부에 결합되도록 된 하부오덕(30)과, 이 하부오덕(30)의 상측에 결합되어 그 상측에 조리용기(1)가 얹혀지도록 된 상부오덕(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덕셋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덕셋트{tripod set}
본 고안은 오덕셋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대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며, 수명이 연장되고 위생적으로도 청결한 오덕셋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는 상면에 화구가 형성되고 상기 화구의 하측으로 가스버너가 배치되는 조리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한다. 이때, 상기 화구의 둘레부에는 조리용기가 올려지는 삼발이가 구비되는데, 중화요리를 조리할 때에는 양식이나 한식을 조리할 때보다 사이즈가 크고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조리용기를 올려놓기 위해서 '오덕'이라 불리는 삼발이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오덕과 하부통체으로 이루어져 조리대의 화구에 결합된 오덕셋트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하부통체(50)은 상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상단부에 플랜지부(52)가 마련되어 이 플랜지부(52)가 조리대(20)의 화구(10) 둘레부에 얹혀져 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가스버너(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오덕(5)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대(20)의 상면에서 화구(10)의 둘레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오덕(5) 위에 반원형의 조리용기(1)를 올려놓고 이리 저리 움직여가면서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
이때, 중국음식점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화염의 열기가 상당하며, 이러한 열기가 조리대(20)의 상면에 직접 전달되면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위험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중화요리를 조리할 때에는 화염의 열기를 차단할 목적으로 조리대(20)의 상면에 물을 자주 뿌리거나 아예 수돗물을 틀어서 조리대(20)의 상면에 계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리대(20)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물에 오덕(5)이 접촉되기 마련인데, 이러한 오덕(5)은 주물로 제작되는 주철 제품이기 때문에, 물에 의해 쉽게 녹이 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조리중에 조리대(20)의 상면으로 흘러 넘치거나 튀어나온 음식물 찌꺼기가 오덕(5)에서 발생된 녹과 함께 조리대(20)의 상면에 뒤엉켜 붙기 때문에, 위생상으로도 불결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엉겨붙은 음식물 찌꺼기와 녹이 화염의 열기에 의해 가열되었다가 식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기 때문에, 추후에 이를 제거하기에도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오덕(5)은 그 측면 일부에 화염공(6)이 형성되어, 이 화염공(6)을 통하여 가스버너(2)의 화염이 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화염공(6)을 제외하면 조리용기(5)의 저면이 대부분 오덕(5)에 접촉된 상태가 되어 화염공(6)으로 순환되는 산소량이 그만큼 적어지기 때문에, 연소 효율이 그만큼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중국음식점에서는 조리용기(1)를 오덕(5) 위에서 이리 저리 움직이면서 조리하게 되는데, 조리용기(1)의 저면이 오덕(5)에 접촉된 상태가 되어, 그만큼 오덕(5)과 조리용기(1)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힘을 주어 조리용기(1)를 강제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조리용기(1)를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조리하기에도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대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녹이 슬지 않으면서도, 수명이 연장되고 위생상으로도 유리한 새로운 구성의 오덕셋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오덕셋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오덕셋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구 20. 조리대
30. 하부오덕 40. 상부오덕
48. 상향돌출턱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대(20)의 상면에 형성된 화구(10)에 결합되는 오덕(30,40)과, 상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대(20)의 화구(10)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통체(50)를 포함하는 오덕셋트에 있어서, 상기 오덕(30,4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대(20)의 상면에 얹혀져 화구(10)의 둘레부에 결합되도록 된 하부오덕(30)과, 이 하부오덕(30)의 상측에 결합되어 그 상측에 조리용기(1)가 얹혀지도록 된 상부오덕(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덕셋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오덕(40)의 상면에는 다수의 상향돌출턱(4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덕셋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조리대(20)의 상면에 형성된 화구(10)에 결합되는 오덕(30,40)이 하부 및 상부오덕(30,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오덕(3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오덕(30)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하부오덕(30)은 상단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하향 연장된 내측벽(32)과 외측벽(34)이 구비된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오덕(30)은 그 내측벽(32)의 하단부가 상기 조리대(20)의 화구(10) 둘레부에 얹혀져 결합되고, 상기 외측벽(34)의 하단부는 조리대(20)의 상면에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오덕(30)의 외측벽(34) 하단부는 물이 조리대(20)의 화구(10)로 침투하지 않도록 조리대(20)의 상면에 용접된다.
상기 하부통체(50)는 그 상단부에 플랜지부(52)가 마련되어, 이 플랜지부(52)가 상기 하부오덕(30)의 하단부에 얹혀져서 상기 조리대(20)의 화구(10) 내측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오덕(40)은 주물 주조 또는 스텐 주조 방법에 의해 환형으로 성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주물 주조된다. 이러한 상부오덕(40)은 하부오덕(30)의 상측에 얹혀져 결합되며, 그 상측에는 조리용기(1)가 얹혀지게 된다. 이 상부오덕(40)은 하부오덕(30)의 상측에 얹혀지기 때문에, 조리대(20)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한편, 부호 55와 57은 각각 환형의 결합돌기(55)와 결합홈(57)으로서, 상기상부오덕(40)이 하부오덕(30)에 얹혀질 때 결합돌기(55)와 결합홈(57)이 서로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하부오덕(30)의 내측벽(32)의 하단부를 조리대(20)의 화구(10)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통체(50)의 플랜지부(52)를 하부오덕(30)의 내측벽(32) 하단부에 얹은 다음, 상기 상부오덕(40)을 하부오덕(30)의 상측에 결합하여 조리대(20)의 화구(1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오덕(30)이 조리대(20)의 상면에 접촉되고, 주물로 이루어진 상부오덕(40)은 조리대(20)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리대(20)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물에 접촉되거나 조리용기(1)로부터 흘러 넘친 음식물 찌꺼기와 잘 접촉되는 하부오덕(30)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에 의해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직접 화구(10)에 면하여 화염에 접촉되는 상부오덕(40)은 열에 강한 주철 제품으로 제작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오덕(40)은 상단에서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진 내측경사면(44)과 외측경사면(46)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경사면(44)에는 다수의 상향돌출턱(48)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향돌출턱(48)에 의해 조리용기(1)의 저면과 상부오덕(40) 사이에 소정의 이격된 공간이 확보되어, 이 이격된 공간으로 공기가 순환되면서 가스버너(2)의 화염이 나오게 된다. 그런데, 상향돌출턱(48)에 의해 조리용기(1)의 거의 반 이상이 상부오덕(40)으로부터 이격되어, 그만큼 조리용기(1)와 상부오덕(40) 사이로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하여 연소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돌출턱(48)에 의해 조리용기(1)의 거의 반 이상이 오덕(40)에서 들려진 상태가 되면서 그만큼 접촉 마찰력이 상당히 줄어들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약간만 힘을 주게 되면 조리용기(1)를 쉽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조리하기에도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대의 상면에 접촉되는 하부오덕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조리대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오덕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 찌꺼기와 녹이 조리대의 상면에 엉겨붙는 경우가 없으므로, 위생상으로도 청결하며, 추후에 음식물 찌꺼기와 엉겨붙은 녹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오덕에 형성된 상부돌출턱에 의해 조리용기의 저면의 거의 반 이상이 상부오덕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어, 이러한 이격된 공간을 통해 그만큼 공기의 순환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하여 연소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으며, 조리용기의 반 이상이 오덕에서 자연스럽게 들려진 상태가 되면서 조리용기와 오덕의 접촉 마찰력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므로, 약간의 힘만 주어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조리시에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조리대(20)의 상면에 형성된 화구(10)에 결합되는 오덕(30,40)과, 상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대(20)의 화구(10)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통체(50)를 포함하는 오덕셋트에 있어서, 상기 오덕(30,4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대(20)의 상면에 얹혀져 화구(10)의 둘레부에 결합되도록 된 하부오덕(30)과, 이 하부오덕(30)의 상측에 결합되어 그 상측에 조리용기(1)가 얹혀지도록 된 상부오덕(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덕셋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오덕(40)의 상면에는 다수의 상향돌출턱(4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덕셋트.
KR20-2004-0021124U 2004-07-23 2004-07-23 오덕셋트 KR200364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124U KR200364290Y1 (ko) 2004-07-23 2004-07-23 오덕셋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124U KR200364290Y1 (ko) 2004-07-23 2004-07-23 오덕셋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290Y1 true KR200364290Y1 (ko) 2004-10-14

Family

ID=4935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124U KR200364290Y1 (ko) 2004-07-23 2004-07-23 오덕셋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2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35B1 (ko) 2007-11-07 2009-08-05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의 화력증대장치
EP4065896A4 (en) * 2019-08-06 2023-10-04 Mamur Teknoloji Sistemleri San. A.S. SUPPORT DEVICE FOR A TUB SUPPORT OF A GAS HOB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35B1 (ko) 2007-11-07 2009-08-05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의 화력증대장치
EP4065896A4 (en) * 2019-08-06 2023-10-04 Mamur Teknoloji Sistemleri San. A.S. SUPPORT DEVICE FOR A TUB SUPPORT OF A GAS HO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0142B8 (en) Cooking top with optimized flame distribution
US20220192409A1 (en) Cookware assembly
KR200364290Y1 (ko) 오덕셋트
JP2006204542A (ja) プラスチック製鍋
JP2007267872A (ja) 調理器具
JP2007271210A (ja) 五徳
JP3112647U (ja) 省エネルギー型調理鍋用袴
KR200241788Y1 (ko) 오덕셋트
KR200320655Y1 (ko) 조리용 가스렌지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KR200298954Y1 (ko) 구이판
RU13689U1 (ru) Плита бытовая
KR200385144Y1 (ko) 고기구이판
CN211911361U (zh) 一种防油溅锅盖
KR200364471Y1 (ko) 다용도 취사용기 받침대
KR200350628Y1 (ko) 주방용 냄비
KR200325270Y1 (ko) 조리대용 오덕
KR20080005206U (ko) 가스버너의 조리도구 받침구조
KR20040053051A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197850Y1 (ko) 육류구이용 불판구조
KR200335323Y1 (ko) 육류 구이판
KR20240037541A (ko) 맥반석구슬 불판
KR200359736Y1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278013Y1 (ko) 고기구이판용 기름 받이
KR200347910Y1 (ko) 조리용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