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70Y1 - 선박용 뜬바닥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용 뜬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70Y1
KR200363670Y1 KR20040016845U KR20040016845U KR200363670Y1 KR 200363670 Y1 KR200363670 Y1 KR 200363670Y1 KR 20040016845 U KR20040016845 U KR 20040016845U KR 20040016845 U KR20040016845 U KR 20040016845U KR 200363670 Y1 KR200363670 Y1 KR 200363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bsorbing layer
layer
plate
pl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6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선일
장우빈
Original Assignee
신성기술산업주식회사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기술산업주식회사,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filed Critical 신성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16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2Double bottoms; Tank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8Rive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14Mineral w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8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e.g. visc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음이 2단계에 걸쳐 완전하게 상쇄될 수 있는 구조의 선박용 뜬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선박의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밀착배치되는 제 1충격흡수층과, 상기 각 제 1충격흡수층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플레이트층과, 상기 제 1플레이트층의 상면 전체에 걸쳐 도포되는 제 2충격흡수층과, 상기 제 2충격흡수층의 상면으로 밀착되는 제 2플레이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플레이트층는 상기 제 2충격흡수층을 사이에 두고 상호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충격흡수층과 리벳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1플레이트층 및 제 2플레이트층은 상기 제 1충격흡수층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편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선박용 뜬바닥구조{Floating Floor For A Vessel}
본 고안은 바닥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음이 2단계에 걸쳐 완전하게 상쇄될 수 있는 구조의 선박용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밀착배치되는 제 1충격흡수층과, 상기 각 제 1충격흡수층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플레이트층과, 상기 제 1플레이트층의 상면 전체에 걸쳐 도포되는 제 2충격흡수층과, 상기 제 2충격흡수층의 상면으로 밀착되는 제 2플레이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플레이트층는 상기 제 2충격흡수층을 사이에 두고 상호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충격흡수층과 리벳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국조선산업은 일반 상선 및 부분적인 해양특수선 등의 고부가가치선 등을 건조함으로써, 세계조선시장의 점유율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해양특수선 및 초호화여객선의 점유율은 미국 및 유럽국가가 대부분 점유하고 있으며 또한 일반상선 부분은 중국 등의 추격이 거세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정부 및 국내 대형조선소등은 향후 한국조선산업의 방향을 심해저개발해양특수PLANT 및 초호화여객선 등의 고부가가치 중심 건조에 주력한다는 사업계획을 세워놓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 프로젝트와 초호화여객선을 건조함에 있어 국내기자재업체에 의한 고급화된 제품의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이나 아직 일부 상선용의 저급자재의 생산에 머물고 있으며, 이러한 고급자재들은 유럽업체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미국 및 유럽 조선소들도 유럽업체제품을 사용해오고 있다.
이는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특수해양플랜트 및 초호화여객선에서 요구하는 방음성능 및 고방화성의 리빙쿼터 전용자재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뜬바닥구조는 바닥충격음 및 진동저감을 위한 구조로 외국의 호화유람선 여객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서는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국내 선박은 아직 초기단계이며 시험평가설비 설계기술 및 관련 소재산업이 미약한 실정이다.
이하에선 종래의 선박용 뜬바닥구조에 관한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은 종래의 선박용 뜬바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따른 종래의 선박용 뜬바닥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박용 뜬바닥구조는 선박(60)의 바닥면에 격자구조로 엇갈리게 충격흡수층(1)을 배치하고, 배치된 각 충격흡수층(1)의 상면에 플레이트(3)를 밀착시켜 구성된다.
여기서 각 플레이트(3)는 상호 밀착되게 테두리 4개소가 하향 절곡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플레이트(3)는 상호 결합을 위해 절곡된 양측변을 각각 맞대고, 더불어 별도의 L자 형태를 갖는 결합부재(5)을 다수 덧대어 아크용접을 통해 결합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뜬바닥구조는 충격흡수층(1)의 상면에 단일의 플레이트층(3)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두께가 약 3mm ~ 4mm 정도 이상을 갖는 스틸강판을 사용한다. 때문에 중량이 매우 많이 나가 자재를 운반하기에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각 플레이트(3)의 결합은 양측면에 덧대어진 결합부재(5)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레이트(3)를 한개씩 늘려가면서 결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크용접을 통해 결합시키기 때문에 시공비 또한 많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완성된 뜬바닥구조는 단일의 플레이트(3)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결합부위의 틈 사이로 화재시 열기와 화염이 통과되어 또 다른 2차 화재 및 유해가스 쉽게 번지는 위험성이 존재해 왔다.
그리고 종래의 뜬바닥구조는 단일 플레이트(3)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시 진동 및 충격음의 차단에도 크게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때문에 시공이 편리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진동과 충격음이 완전상쇄되고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선박용 뜬바닥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제 1목적은, 선박의 바닥면에 충격을 받을 경우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음이 2단계에 걸쳐 완전하게 상쇄되기 위해 다층구조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화재시 화염 및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편심 구조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선박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선박의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밀착배치되는 제 1충격흡수층과, 상기 각 제 1충격흡수층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플레이트층과, 상기 제 1플레이트층의 상면 전체에 걸쳐 도포되는 제 2충격흡수층과, 상기 제 2충격흡수층의 상면으로 밀착되는 제 2플레이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플레이트층는 상기 제 2충격흡수층을 사이에 두고 상호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충격흡수층과 리벳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리고 제 1플레이트층 및 제 2플레이트층은 상기 제 1충격흡수층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편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2충격흡수층은 비스코일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충격흡수층은 미네랄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a은 종래의 선박용 뜬바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종래의 선박용 뜬바닥구조의 측면도,
도 2a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뜬바닥구조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따른 선박용 뜬바닥구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제 1충격흡수층 20: 제 1플레이트층
30: 제 2충격흡수층 40: 제 2플레이트층
50: 리벳 60: 선박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뜬바닥구조에 관해서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뜬바닥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편심된 다층구조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선박(6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박용 뜬바닥구조(100)는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방음, 방진을 위한 제 1, 2충격흡수층(10,30)과, 바닥으로써의 기능을 하는 제 1, 2플레이트층(20,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선박용 뜬바닥구조(100)의 배치는, 각각 충격흡수층(10,30)과 플레이트층(20,40)이 교번 배치되는데, 여기서 선박(60)의 바닥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이 제 1충격흡수층(10)이고,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이 제 1플레이트층(20)이며, 상기 제 1플레이트층(2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이 제 2충격흡수층(30)이다. 이 때 마지막으로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의 최종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 2플레이트층(40)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은 불연성, 경량성, 단열, 흡음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미네랄울(암면; 岩綿; Mineral Wool; ROCK WOOL)이며, 상기 미네랄울은 암석으로부터 인공적으로 제조된 내열성이 뛰어난 광물섬유을 벌크화시켜 집면실에서 포집하여 육면체의 성형품으로 가공된 것이다.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은 직육면체의 격자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 1충격흡수층(10)은 두께 50mm, 가로 1000mm, 세로 500mm 정도의 동일 규격을 갖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플레이트층(20)은 스틸강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과 동일 크기로 다만 약 2.0mm ~ 2.6mm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제 1플레이트층(20)은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의 상부면 대각선방향으로 약 40mm ~ 60mm 정도 안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편심 배치되어 구성된다. 더불어 설명하면, 이는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의 상부면 대각선방향을 기준으로 계단 형상이 되도록 가로/세로 측면 2개소는 제 1충격흡수층(10)의 상부면 내측으로 밀리게 배치하고, 다른 측면 2개소는 제 1충격흡수층(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은 상기 제 1플레이트층(20)의 상부면으로 제 2플레이트층(40)이 중첩되도록 액상의 상태로 약 0.5mm ~ 1.5mm 정도 도포되는데, 경화시 점탄성물질로 고체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은 충격에 반응하여 점차적으로 부드럽게 제 2플레이트층(40)의 전체 윤곽에 따라 형상화되어 하중이 제거되어 점차 복원되는 비스코일라스틱(viscoelastic-layer)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의 상부면으로 제 2플레이트층(40)이 밀착되는데, 상기 제 2플레이트층(40)은 상기 제 1플레이트층(20)과 동일 사이즈로 다만 두께를 약 1.0mm ~ 1.5mm 정도의 범위에서 크거나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플레이트층(40)의 배치는,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을 사이에 두고 제 1충격흡수층(10)에 대한 제 1플레이트층(20)의 배치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제 1플레이트층(10)의 상부면 대각선방향으로 약 40mm ~ 60mm 정도 안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편심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선박용 뜬바닥구조(100)를 전체적으로 보았을 경우, 제 1충격흡수층(10)의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편심 배치된 상기 제 1, 2플레이트층(20,40)의 측면 2개소가 인접한 또 다른 제 1, 2플레이트층(20,40)의 돌출된 측면 2개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선박용 뜬바닥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박용 뜬바닥구조(100)는 선박의 바닥면인 제 2플레이트층(40)의 상부면으로 충격을 받을 경우, 먼저 제 2플레이트층(4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제 2충격흡수층(30)으로 1차 상쇄되고, 1차 상쇄된 충격은 제 1플레이트층(20)을 통과하여 제 1충격흡수층(10)으로 완전하게 상쇄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층(20)과 제 2플레이트층(40)은 측면 2개소가 상호 맞물려 구성되고, 리벳(50)으로 결합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각 플레이트층(20,40)의 국부적인 침하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시공이 빠르고 편리한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각 플레이트층(20,40)이 맞물려 구성되기 때문에 화재시 화염에 의한 열기를 2중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화염이 번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뜬바닥구조의 설치순서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선박(60)의 바닥면에 육면체의 형태의 제 1충격흡수층(10)을 격자형태로 배치한다.
배치된 제 1충격흡수층(10)의 상면으로 제 1플레이트층(20)을 배치한다. 이 때 상기 각 제 1플레이트층(20)은 해당 제 1충격흡수층(10)의 상부면 대각선 방향으로 편심되게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 제 1충격흡수층(10)의 상부면 전체에 걸처 액상의 제 2충격흡수층(30)을 도포시킨다.
이 후 도포된 제 2충격흡수층(30)을 충분히 경화시킨 후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의 상부면에 제 2플레이트층(40)을 밀착시킨다. 이 때 제 2플레이트층(40)은 제 2충격흡수층(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에 대한 제 1플레이트층(20)의 배치방향과 동일하게 제 1플레이트층(20)의 상부면 대각선 방향으로 편심 배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2플레이트층(40)을 상부면 외각부위를 드릴로 제 1플레이트층(20)까지 관통하여 리벳(50)을 통해 결합시켜 제 1플레이트층(20)과 제 2충격흡수층(30) 및 제 2플레이트층(40)이 샌드위치플레이트를 이루게 하여 완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선박용 뜬바닥구조(100)에서 실시예로 언급된 구체적인 수치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선박(60)의 바닥 면적 또는 외부충격의 크기에 따라 달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뜬바닥구조에 따르면, 본 고안의 선박용 뜬바닥구조는 외부충격을 받을 경우, 먼저 제 2플레이트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제 2충격흡수층으로 1차 상쇄되고, 1차 상쇄된 충격은 제 1플레이트층을 통과하여 제 1충격흡수층으로 완전하게 상쇄되어 진동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층과 제 2플레이트층은 길이가 긴 측면 2개소가 상호 맞물려 구성되고, 상호 리벳으로 결합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각 플레이트층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국부적인 침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빠르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각 플레이트층이 계단형태로 맞물려 구성되기 때문에 화재시 화염에 의한 열기와 유해가스를 2중으로 차단할 수 있으어 화염이 번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4)

  1. 선박의 바닥면에 격자형태로 밀착배치되는 제 1충격흡수층(10)과,
    상기 각 제 1충격흡수층(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플레이트층(20)과,
    상기 제 1플레이트층(20)의 상면 전체에 걸쳐 도포되는 제 2충격흡수층(30)과,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의 상면으로 밀착되는 제 2플레이트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플레이트층(40)는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과 리벳(50)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플레이트(20)층 및 제 2플레이트층(40)은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편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충격흡수층(10)은 미네랄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충격흡수층(30)은 비스코일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뜬바닥구조.
KR20040016845U 2004-06-16 2004-06-16 선박용 뜬바닥구조 KR200363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6845U KR200363670Y1 (ko) 2004-06-16 2004-06-16 선박용 뜬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6845U KR200363670Y1 (ko) 2004-06-16 2004-06-16 선박용 뜬바닥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849A Division KR100556985B1 (ko) 2004-06-15 2004-06-15 선박용 뜬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70Y1 true KR200363670Y1 (ko) 2004-10-07

Family

ID=4172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6845U KR200363670Y1 (ko) 2004-06-16 2004-06-16 선박용 뜬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3028A1 (en) * 2005-12-19 2007-06-28 Bn Steela Co., Ltd A marine panel made with embossed metal boar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3028A1 (en) * 2005-12-19 2007-06-28 Bn Steela Co., Ltd A marine panel made with embossed metal boards
KR100809820B1 (ko) 2005-12-19 2008-03-04 비엔스틸라 주식회사 요철부를 구비한 금속 판부재를 이용한 선박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9104C2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ая зашивка технического помещения
KR102083062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CN110040151A (zh) 一种轨道车辆地板结构
KR100556985B1 (ko) 선박용 뜬바닥구조
KR200363670Y1 (ko) 선박용 뜬바닥구조
JP6653559B2 (ja)
KR102077086B1 (ko) 건물 바닥충격음 방지구조체
KR100429103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JP4398382B2 (ja) 吸音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軌道構造体
KR101639613B1 (ko) 선박 선실의 충격소음 감소구조
JP6226687B2 (ja) 遮音床構造
KR200421015Y1 (ko) 층간소음방지층 조성 방법과 방음판
JP4111971B2 (ja) 衝撃及び騒音吸収用複合構造物、建築物の層間床構造
KR100991427B1 (ko) 내충격성, 난연성이 우수한 플레이트
KR200386447Y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KR101896981B1 (ko)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KR102177760B1 (ko) 압축코르크를 활용한 조립식 차음 패널
CN115257976B (zh) 一种隔音结构及音频车
JP6182857B2 (ja) 道路橋用遮音部材
CN115140195B (zh) 振动衰减结构
JP2016035184A (ja) フロアパネル
KR101784512B1 (ko) 내력 향상이 가능한 층간소음 저감 보강공법
KR20150063627A (ko) 층간 진동 및 소음 흡수 패널
KR102177767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압축코르크 및 경량골재를 활용한 조립식 복합 방음 패널
KR102553972B1 (ko) 층간 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