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981B1 -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 Google Patents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81B1
KR101896981B1 KR1020180060021A KR20180060021A KR101896981B1 KR 101896981 B1 KR101896981 B1 KR 101896981B1 KR 1020180060021 A KR1020180060021 A KR 1020180060021A KR 20180060021 A KR20180060021 A KR 20180060021A KR 101896981 B1 KR101896981 B1 KR 10189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ound
soundproof panel
absorb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희
최선호
Original Assignee
(주)태평양
(주)태백
(주)산맥
(주)참좋은
(주)이티아이
안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평양, (주)태백, (주)산맥, (주)참좋은, (주)이티아이, 안은희 filed Critical (주)태평양
Priority to KR102018006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18Panels, e.g. active sound-absorption panels or noise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의 지주와 지주사이에 적층되는 방음판넬이 융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2개 이상의 가로방향으로 열융착되어 방음판넬 연결체를 제작될 수 있도록 함과 시공시 지주와 지주 사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부에 다수 개의 흡입공이 형성되면서 양측부 및 후면부는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내부의 세로방향으로 흡음실이 등간격의 다수 개로 형성되도록 다수 개의 제1구획판이 배치되고, 상기 양측부 각각에 융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SOUND ABSORPTIVE SOUNDPROOF PANEL OF INTEGRAL HIGH DENSITY POLYETHYLENE}
본 발명은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의 지주와 지주사이에 적층되는 방음판넬이 융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2개 이상의 가로방향으로 열융착되어 방음판넬 연결체를 제작될 수 있도록 함과 시공시 지주와 지주 사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에 따른 교통수단의 다양화 및 교통량의 증가와 함께 사회 기반 도로, 철도, 공항)의 확충에 따라, 도로주변, 공항 주변, 철도 주변, 학교 주변, 아파트 주변 등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각종 차량들에 의한 소음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이러한 소음 공해는 문명의 이기의 부작용으로서, 현대 생활을 살아가는 도시민에 있어 큰 고충거리이며 급기야 각종 민원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선진 각국은 물론 여러 나라에서 도로 등 사회 기반 시설을 설계할 때에 거주 지역이나 특정 지역에서 일정 한도 이하로 소음 발생을 줄이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에서 그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소음 차단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방음벽이 있는데, 이러한 방음벽은 말 그대로 도로와 같은 소음발생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경계부분을 벽체로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시설물을 말한다.
종래 방음벽은, 도로의 가장자리 양쪽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들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홈에 상하 적층 방식으로 결합되는 방음판으로 구성된다. 즉, 방음판은 소음 다발 지역에서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소음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경우 소음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차음형 방음판과 소음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흡음형 방음판으로 나누어진다.
종래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흡음형 방음판의 구조를 보면, 전면에 다양한 형태의 흡음구멍이 형성된 전면판과 일정형상으로 절곡된 후면판 사이에 흡음부재를 내장하여 조립함으로써 방음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소음감소부재 및 흡음부재를 구비하며,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예로 방음벽 내부에 부직 섬유 구조체 및 허니컴 구조체를 포함하여 설치되며,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음판은, 습열 접착성 섬유에 의하여 적당히 고정된 부직 섬유 구조체와 판재(허니컴 구조체 또는 면재)를 적층하는 방식의 방음판이다.
한편, 최근 수지형 방음판이 개발되고 있는데, 도로공사 시방에 명시된 조건을 만족하는 난연 수지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고, 방음벽용 방음판의 전면판을 수지형으로 형성할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흡음 및 방음 성능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방음벽은 일정한 규격으로 규격화되어 현장 시공시 시공이 간편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토목공사의 특성상 방음벽을 세우는 H 빔(Beam)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며, 현장 사정에 따라 특정 간격(예를 들면, 방음벽 규격이 500㎜W×1960㎜L일 때, H 빔의 간격은 2 m임)으로 지주를 세워져 있을 때(예를 들면, 토목공사 현장 사정으로 지주 간격이 2 m일 때), 일정한 규격의 방음벽은 대응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 특수 규격의 방음벽을 새롭게 제작하거나, 임시 방편의 시공방법을 사용하여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특허등록 제10-1348919호(발명의 명칭 : 흡음공 및 공명 격벽을 구비한 수지형 방음벽) 2. 특허등록 제10-1773907호(발명의 명칭 :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벽)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은 플라스틱 성형품의 장점을 이용함과 더불어 2개 이상의 방음판넬을 열융착하여 가로방향의 방음판넬 연결체로 제작하여 현장에 바로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 빔 지주와 지주 사이의 일정 간격(예, 2 m로 설치된 경우)을 유지하여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방음판넬을 설치시 기존의 규격화된 제품은 지주와 지주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 일체형의 방음판넬 규격이 없어 서로 연결수단 또는 결합수단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연결수단 또는 결합수단으로 인해 소음이 통과되어 흡음 또는 차음성능이 매우 떨어지나,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제작된 방음판넬은 서로 열융착으로 쉽게 결합되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과 흡음 또는 차음성능을 갖추기 위하여 각 방음판넬을 열융착으로 인체의 가로방향을 가진 방음판넬 연결체로 연결 시공됨으로써 지주의 설치규격에도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모든 현장에서 쉽게 시공할 수 있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은 열융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방음판넬들이 서로 결합시 어떠한 연결수단 또는 억지 끼워 맞춤으로 연결되지 않아 융착된 결합부위간의 틈없이 일체의 융착 실링 구조를 확보하여 소음/진동이 융착부위의 틈을 통하여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차음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하는 다른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내부에는 구획된 흡음실이 조밀하게 밀집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시공 후 환경변화에 따른 방음판넬의 뒤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하면서, 미관상의 문제가 없이 장기적인 사용을 가능하며, 방음판넬의 융착부재를 구성하는 융착지지부와 지지연결부가 외부의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열융착을 위한 가열이나 가압시 다소의 공정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방음판넬의 변형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또다른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면부에 다수 개의 흡입공이 형성되면서 양측부 및 후면부는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내부의 세로방향으로 흡음실이 등간격의 다수 개로 형성되도록 다수 개의 제1구획판이 배치되고, 상기 양측부 각각에 융착부재가 형성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흡음실이 복수 개의 일렬로 배열되는 단위체가 다수 개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방음패널의 내부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위체 중 일측 단위체의 상측부는 밀폐 및 하측부는 개방되면서 상기 일측 단위체에 연결되는 타측 단위체의 상측부는 개방 및 하측부는 밀폐되는 패턴을 가지도록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전면부에 다수 개의 흡입공이 형성되면서 양측부 및 후면부는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상측부 및 하측부 각각 개방된 형태를 가지되, 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상호 연결하면서 내부의 전방 흡음실과 후방 공기실로 이격되게 구획되도록 수직판재형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실 및 공기실 각각에 격벽과 직교되는 제1구획판이 다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판으로 인해 흡음실 및 공기실 각각이 다수 개의 등간격 공간형태로 구획되고,
상기 양측부 각각에 융착부재가 형성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양측부 각각의 테두리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둘레부와,
상기 지지둘레부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둘레부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둘레부의 내측면에 이격되면서 지지둘레부의 내면에서 연결되어 지지둘레부의 외부로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되는 융착지지부와,
상기 지지둘레부와 융착지지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융착지지부의 일면과 마주하는 지지둘레부 일면을 연결하는 지지연결부가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융착지지부는 내부에 격자형의 제2구획판에 의하여 다수 개의 단위공간으로 구획 형성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지둘레부 외부로 돌출된 융착지지부가 지지둘레부의 자유단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둘레부의 단부와 융착지지부의 단부가 동일하게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융착지지부가 지지둘레부 외부로 돌출된 길이가 방음판넬의 양측부 각각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양측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부에 형성된 돌출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흡음실 내부에 흡음재, 차음재 또는 흡음재와 차음재 모두가 충진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방음판넬의 상측부 및 하측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하면서 단면이 “H”형의 커버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일측 방음판넬과 타측 방음판넬을 연결할 때 상기 일측 방음판넬의 일측면에 형성된 융착부재의 융착지지부와 지지연결부 단부와 상기 일측 방음판넬의 일측면에 마주하는 타측 방음판넬의 타측면에 형성된 융착부재의 융착지지부와 지지연결부 단부가 열융착에 의해 상호 일체로 부착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플라스틱 성형품 장점을 이용함과 더불어 2개 이상의 방음판넬을 열융착하여 가로방향의 방음판넬 연결체로 제작하여 현장에 바로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 빔 지주와 지주 사이의 일정 간격(예, 2 m로 설치된 경우)을 유지하여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방음판넬을 설치시 기존의 규격화된 제품은 지주와 지주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 일체형의 방음판넬 규격이 없어 서로 연결수단 또는 결합수단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연결수단 또는 결합수단으로 인해 소음이 통과되어 흡음 또는 차음성능이 매우 떨어지나,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제작된 방음판넬은 서로 열융착으로 쉽게 결합되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과 흡음 또는 차음성능을 갖추기 위하여 각 방음판넬을 열융착으로 인체의 가로방향을 가진 방음판넬 연결체로 연결 시공됨으로써 지주의 설치규격에도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모든 현장에서 쉽게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은 열융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방음판넬들이 서로 결합시 어떠한 연결수단 또는 억지 끼워 맞춤으로 연결되지 않아 융착된 결합부위간의 틈없이 일체의 융착 실링 구조를 확보하여 소음/진동이 융착부위의 틈을 통하여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차음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내부에는 구획된 흡음실이 조밀하게 밀집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시공 후 환경변화에 따른 방음판넬의 뒤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하면서, 미관상의 문제가 없이 장기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을 구성하는 융착부재를 구성하는 융착지지부와 지지연결부가 외부의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열융착을 위한 가열이나 가압시 다소의 공정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방음판넬의 변형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A”부위의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방음판넬의 내부 구조도(a)와 다른 형태의 내부 구조도(b)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의 측면구조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B-B”부위의 단면구조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일측 방음판넬의 융착부재와 타측 방음판넬의 융착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일측 방음판넬의 융착부재와 타측 방음판넬의 융착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정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방음판넬의 내부 흡음식에 흡음재가 충진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상측 방음판넬과 하측 방음판넬 사이에 커버연결부가 설치된 단면구조 및 커버연결부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상측 방음판넬과 하측 방음판넬 사이에 지지판의 홈부가 형성된 커버연결부가 설치된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방음판넬과 커버연결부 사이에 흡음감쇄부가 설치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흡음감쇄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흡음감쇄부를 구성하는 흡음프레임의 평면 사시도(a) 및 저면 사시도(b)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방음판넬의 전면부에 형상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형상판의 평면도(a), 저면사시도(b) 및 평면도 A-A부위의 단면도(c)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에서 형상판의 체결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이하, ‘방음판넬로 칭함, 10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흡음 방음패널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강하고 견고하게 성형되어 일체의 구조로 제작되며, 지면 또는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축설되는 지주와 지주 사이를 일체의 방음판넬(100)이 가로방향으로 다수 개로 적층되되, 이때 지주와 지주 사이에 일체의 구조를 가진 방음판넬(100)이 가로방향으로 1개의 방음판넬 연결체가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되어 방음판넬(100)을 가로방향으로 배열 결합하는 어떠한 연결수단 없이 지주와 지주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는 것이지만, 종래의 가로폭이 좁은 방음판이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시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방음벽을 가로방향으로 배열 후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하거나 지주와 지주 사이의 간격을 방음벽의 가로폭에 맞추어 시공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음판넬(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110)에 다수 개의 흡입공(111)이 형성되면서 양측부 및 후면부(120)는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내부의 세로방향으로 흡음실(130)이 등간격의 다수 개로 형성되도록 다수 개의 제1구획판(101)이 배치되고, 상기 양측부 각각에 융착부재(150)가 형성되는 방음판넬(100)을 제공한다.
도 , 도 2 및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음판넬(100)은 판재형의 전면부(110)에 이격된 다수 개의 흡입공(111)이 형성되면서 상기 전면부(110)에 이격되어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판재형의 후면부(120)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양측부는 밀폐된 형태를 가진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의 세로길이방향으로 전면부(110) 내측과 후면부(120) 내측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 개의 제1구획판(101)이 등각격으로 형성되어 제1구획판(101)을 기준으로 다수 개의 흡음실(1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음판넬(100)의 양측부 각각은 밀폐된 면으로부터 방음판넬(10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수평 돌출된 융착부재(150)가 형성되며, 상기 융착부재(150)는 방음판넬(100)과 동일한 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융착부재(150)는 후술되는 구조로서 2개 이상의 방음판넬(10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시 서로 면접되는 융착부재(150)가 열융착하여 서로 가열 가압하여 일체의 방음판넬 연결체를 제작하게 되며, 이때 방음판넬(100)을 열융착하는 시스템은 2개 이상의 방음판넬(100)을 준비하여 고정지그(미도시)에 장착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한 후 가열유닛(미도시)을 통해 방음판넬(100)의 융착부재(150)를 가열하여 가열된 융착부재(150)를 서로 면접 및 압착하도록 가압시킨 후 냉각을 통해 상호 방음판넬(100)을 열융착시켜 일체의 방음판넬 연결체를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음실(130)이 복수 개의 일렬로 배열되는 단위체가 다수 개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방음패널(100)의 내부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위체 중 일측 단위체의 상측부는 밀폐 및 하측부는 개방되면서 상기 일측 단위체에 연결되는 타측 단위체의 상측부는 개방 및 하측부는 밀폐되는 패턴을 가지도록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는 방음패널(100)을 제공한다.
상기 단위체는 복수 개의 일렬로 배열되는 흡음실(130)이 하나의 단위체가 되어 방음판넬(100)의 전체의 내부형태를 가지며, 이때 일측 단위체의 상측부는 개방 및 하측부는 밀폐되며, 상기 일측 단위체에 연결되는 타측 단위체의 상측부는 밀폐 및 하측부는 개방되는 패턴이 방음판넬(100)의 내부 가로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방음판넬(100) 내부 구조를 가진다.
즉, 가로방향의 방음판넬(100) 내부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흡음실(130)이 제1구획판(101)에 구획되어 형성되며, 이때 흡음실(130)의 상측부와 하측부가 모두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인 패턴에 의해 배열되어 방음판넬(100)의 상측부 및 하측부가 패턴의 배열에 의해 개방 또는 밀폐가 되며, 이러한 패턴 및 흡음식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가 밀폐됨에 따라 흡음실(130) 내부로 유입된 소음이 감쇄되어 소멸되도록 방향성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음실(130)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의 밀폐된 면에 제1통공(131)이 형성되어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방음판넬(100)은 전면부(110)에 다수 개의 흡입공(111)이 형성되면서 양측부 및 후면부(120)는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상측부 및 하측부 각각 개방된 형태를 가지되, 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상호 연결하면서 내부의 전방 흡음실(130)과 후방 공기실(140)로 이격되게 구획되도록 수직판재형의 격벽(102)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실(130) 및 공기실(140) 각각에 격벽(102)과 직교되는 제1구획판(101)이 다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판(101)으로 인해 흡음실(130) 및 공기실(140) 각각이 다수 개의 등간격 공간형태로 구획되고, 상기 양측부 각각에 융착부재(150)가 형성되는 방음판넬(100)을 제공한다.
상기 방음판넬(100)의 내부 형태에서 판재형의 전면부(110) 및 후면부(120)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의 수직판재형의 격벽(102)이 양측부 내측을 가로질러 연결되어 방음판넬(100) 내부에 형성되며, 이때 격벽(102)을 기준으로 내부 전측과 후측에 각각 흡음실(130)과 공기실(140)로 형성되며, 즉 전면부(110)에 마주하는 흡음실(130) 그리고 후면부(120)에 마주하는 공기실(140)로 형성된다.
상기 흡음실(130)과 공기실(140)을 등간격의 다수 개로 구획되도록 제1구획판(101)이 격벽(102)에 직교되면서 흡음실(130)과 공기실(140)로 격벽(102)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음실(130)과 공기실(140)로 구획됨으로서 후술되는 흡음재(200) 또는 차음재(200)가 흡음실(130)로 충진되어 소음이 1차적으로 흡음실(130)의 흡음재(200)에 의해 감쇄 및 소멸되면서 잔여의 소음이 공기실(140)로 전달되어 밀폐된 공간의 공진 또는 공명으로 인해 소명 또는 난반사되어 흡음실(130)로 전달되어 소진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융착부재(150)는, 상기 방음판넬(100) 양측부 각각의 테두리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둘레부(151)와,
상기 지지둘레부(151)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둘레부(151)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둘레부(151)의 내측면에 이격되면서 지지둘레부(151)의 내면에서 연결되어 지지둘레부(151)의 외부로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되는 융착지지부(152)와,
상기 지지둘레부(151)와 융착지지부(15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융착지지부(152)의 일면과 마주하는 지지둘레부(151) 일면을 연결하는 지지연결부(153)가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방음판넬(100)을 제공한다.
상기 융착부재(150)는 방음판넬(100)의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방음판넬(100) 단부의 외곽 테두리에서 동일형태로 수평의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둘레부(15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때 지지둘레부(151) 내부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면이 밀폐된 방음판넬(100)의 일측부라면 타측부는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융착지지부(152)는 지지둘레부(151)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지지둘레부(151)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지지둘레부(151)의 내부 면적보다 작은 내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지지둘레부(151)의 전체 내측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일단이 방음판넬(100)의 측부에 연결 즉, 지지둘레부(151)의 내부 내면에 연결되며, 이때 타단이 지지둘레부(151)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연결부(153)는 지지둘레부(151)와 융착지지부(152) 사이에 연결되어 융착지지부(152)를 보강하게 되며, 상기 지지연결부(153)의 내측 일면과 상기 지지연결부(153)의 내측 일면에 대응되는 융착지지부(152)의 외측 일면에 서로 연결하여 융착지지부(152)의 수평 폭에 동일한 폭으로 수평 길이로 형성되어 지지둘레부(151)와 융착지지부(152) 사이의 공간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융착지지부(152)는 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격자형의 제2구획판(152-1)에 의하여 다수 개의 단위공간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제2구획판(152-1)의 폭은 융착지지부(152)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구획판(152-1)의 일단은 융착지지부(152)의 내부 내면 즉, 방음판넬(100)의 측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면서 융착지지부(152)의 수평 폭에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둘레부(151) 외부로 돌출된 융착지지부(152)가 지지둘레부(151)의 자유단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연결부(153)의 단부와 융착지지부(152)의 단부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방음판넬(100)을 제공한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융착부재(150)에 의해 2개의 방음판넬(100)을 열융착하여 결합시 융착부재(150)를 구성하는 융착지지부(152)와 지지연결부(153)가 지지둘레부(151)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짐으로서, 가열유닛(미도시)에 의해 지지둘레부(151) 가열온도 그리고 지지연결부(153) 및 융착지지부(152) 각각의 가열온도가 온도차로 가열되면서 2개의 방음판넬(100)을 열융착시 서로 면접되면서 접착력을 증가시켜 상호 일체의 결합하면서 지지둘레부(151)가 가열 및 가압된 지지연결부(153)와 융착지지부(152)의 융착물을 포집 및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융착지지부(152)와 지지연결부(153)가 지지둘레부(151) 외부로 돌출된 길이가 방음판넬(100)의 양측부 각각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양측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부에 형성된 돌출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방음판넬(100)을 제공한다.
상기 방음판넬(100)의 양측부인 일측부 및 타측부 각각에 형성된 융착부재(150) 중 일측부 또는 타측부 중 어느 하나의 융착부재(150)의 융착지지부(152)와 지지연결부(153)가 지지둘레부(151) 외부로 돌출된 길이에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2개의 방음판넬(100)을 열융착하여 결합시 상호 마주하는 방음판넬(100) 융착부재(150)의 융착지지부(152)와 지지연결부(153)에 길이가 차이가 나도록 상호 면접시켜 길이가 긴 융착지지부(152)와 지지연결부(153)의 열융착으로 인해 융착물이 더 많이 생성시켜 길이가 짧은 융착지지부(152)와 지지연결부(153)의 융착물로 혼합 및 접착되어 상호 결합력을 증대하면서 응력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음실(130) 내부에 흡음재(200), 차음재(200) 또는 흡음재와 차음재 모두가 충진되는 방음판넬(100)을 제공하며, 상기 방음판넬(100)의 흡음실(130)로 유입된 소음이 흡음재(200) 또는 차음재(200)에 흡입되거나 부딪쳐 소멸 및 반사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음판넬(100)의 상측부 및 하측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하면서 양측 수직벽(320) 사이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수평판재형의 지지판(3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측수용부(301)와 하측수용부(302)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H”형의 커버연결부(300)가 더 포함되는 방음판넬(100)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연결부(300)의 상측수용부(301)와 하측수용부(302)에 방음판넬(100)의 상측부와 하측부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면서 양단이 지주(미도시)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즉, 상측 방음판넬(100)과 하측 방음판넬(100)이 적층시 상기 측 방음판넬(100)과 하측 방음판넬(100) 사이에 커버연결부(300)가 배치되어 커버연결부(300)의 상측수용부(301)에 상측 방음판넬(100)의 하측부가 긴밀히 결속되면서 상기 커버연결부(300)의 하측수용부(302)에 하측 방음판넬(100)의 상측부가 긴밀히 결속되게 되어 방음판넬(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연결부(300)는 방음판넬(100)의 하중을 지지하여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우수시 빗물이 방음판넬(100) 내측으로 유입되어 하부로 흘러 내려 커버연결부(300)의 상부에 형성된 상측수용부(301)가 빗물의 흐름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역할을 하여 상측수용부(301)를 통해 일방향으로 빗물이 흐르게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연결부(300)의 상측수용부(301)와 하측수용부(302)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지지판(310)의 가로방향에 대응되도록 지지판(310)의 상면 일측 또는 타측에 단차진 홈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311)가 형성됨으로서 빗물의 수용면적을 증가함과 동시에 빗물의 이동을 빠르게 진행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지지판(310)의 홈부(311)는 다단의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각 단에서의 홈은 서로 상이한 폭을 갖고 있는데, 홈부(311)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다단의 홈으로 이동되는 빗물의 활동을 자극하여 빗물 배출에 대한 유속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커버연결부(300)의 지지판(310)을 기준으로 상측수용부(301)에 하나의 방음판넬(100) 상부 그리고 하측수용부(302)에 다른 하나의 방음판넬(100) 하부가 내속시 상기 상측수용부(301)의 방음판넬(100)과 지지판(310) 사이 및 지지판(310)과 하측수용부(302)의 방음판넬(100) 사이에 각각 커버연결부(30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로 흡음감쇄부(5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흡음감쇄부(500)는 좌우대칭되면서 상하대칭으로 서로 포개어져 한 쌍의 흡음프레임(510a)(510b)이 설치되며, 상기 흡음프레임(510a)(510b)은 밀폐된 내부로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흡음프레임(510a)의 상부는, 세로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511)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면서 돌출턱(511)과 돌출턱(511) 사이에 내부로 내통되어 이격된 다수 개의 제2통공(512)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프레임(510a)의 하부는, 일측단에서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감쇄부(513a)(513b)가 형성되면서 감쇄부(513a)와 감쇄부(513b) 사이에 감쇄홈(514)이 형성되며, 상기 감쇄부(513a)(513b)의 단면이 삼각형을 형성하되 그 끝단이 평면을 형성하며, 이때 일측단에 형성된 감쇄부(513a)의 높이가 내측에 형성된 감쇄부(513b)의 높이에 비해 더 작은 높이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의 감쇄부(513b) 사이에 감쇄홈(514)을 형성하도록 하부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외측면은 수직면 및 내측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결합부(515)가 가로방향으로 형성하며, 하부 전체면에 내부로 내통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3통공(516)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음감쇄부(500)는 커버연결부(300)의 지지판(310)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커버연결부(300)의 상측수용부(301) 및 하측수용부(302)에 각각 방음판넬(100)이 결속시 방음판넬(100) 외측과 이에 대응하는 커버연결부(300)의 상측수용부(301) 및 하측수용부(302) 내측 사이로 소음이 통과되거나 방음판넬(100)의 내부를 통해 커버연결부(300)의 상측수용부(301)와 하측수용부(302)로 소음이 전달되어 그대로 통과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흡음감쇄부(500)를 설치하여 소음의 흡음 및 감쇄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음감쇄부(500)는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서로 좌우대칭되면서 상하대칭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한 쌍의 흡음프레임(510a)(510b)이 구비되며, 상측 및 하측에 포개어진 흡음감쇄부(500)는 커버연결부(300)의 가로길이발향과 대응되는 길이로 커버연결부(300)의 지지판(31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밀착 배치된다.
즉, 상측 흡음프레임(510a)의 하부와 하측 흡음프레임(510b)의 상부가 서로 마주하며, 이때 상측 흡음프레임(510a)의 하부에 형성된 감쇄부(513a)(513b)가 하측에 위치한 흡음프레임(510b)의 상부에 형성된 감쇄홈(514)으로 결합되면서 상측 흡음프레임(510a)의 결합부(515)는 흡음감쇄부(500)의 일측에 하측 흡음프레임(510b)의 결합부(515)는 흡음감쇄부(500)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호 서로 포개어져 결합된다.
도 14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음프레임(510a)의 상부에 이격된 세로방향의 돌출턱(511)이 다수 개로 형성되어 흡음프레임(510a)의 상부에 면접되는 방음판넬(100)의 하부가 외부의 소리의 파장에 의한 진동에 방음판넬(100)의 유격 또는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제2통공(512)을 통해 소음이 전달되어 내부로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음프레임(510a)의 하부에는 이격된 한 쌍의 감쇄부(513a)(513b)가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소음이 감쇄부(513a)(513b)를 통해 회절되면서 흡음기능을 증대하게 되며, 이때 상호 포개어진 상측 흡음프레임(510a)의 감쇄부(513a)(513b)와 하측 흡음프레임(510b)의 감쇄홈(51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2, 3통공(512)(516)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소음이 감쇄부(513a)(513b)와 상기 공간을 거쳐 연쇄적인 소리의 흡음작용을 하여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음프레임(510a)(510b)의 일측단에 위치한 감쇄부(513a)와 내측에 위치한 감쇄부(513b)의 높이가 상이함에 따라 상호 결합된 상측 흡음프레임(510a)과 하측 흡음프레임(510b)의 사이에 형성된 감쇄부(513a)(513b)와 감쇄홈(514) 사이의 공간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공간을 형성하여 소리의 파장을 충돌 및 감소시켜 흡음성능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전체적인 형태는 미도시 되었지만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연결부(300)에 설치되는 방음판넬(100)은 2개 이상의 방음판넬(100)이 열융착하여 일체의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방음판넬 연결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방음판넬(100)이 서로 마주하는 융착부재(150)의 열융착으로 인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일체의 방음판넬 열결체로 제작하며, 이때 상기 일측 방음판넬(100)과 타측 방음판넬(100)을 연결할 때 상기 일측 방음판넬(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융착부재(150) 단부와 상기 일측 방음판넬(100)의 일측면에 마주하는 타측 방음판넬(100)의 타측면에 형성된 융착부재(150) 단부가 열융착에 의해 상호 일체로 부착되는 방음판넬(100)을 제공한다.
상기 융착부재(150)의 열융착 부위는 지지둘레부(151)의 외부로 돌출된 융착지지부(152)와 지지연결부(153) 단부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둘레부(151)의 단부도 융착지지부(152)의 가열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되어 융착지지부(152)와 지지연결부(153)로부터 가압 확산되는 융착물에 접착 및 포집 가능한 가열온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음판넬(100)의 전면부(110)에 문자, 도형 등 다양한 형태의 형상판(400)을 설치하기 위해 방음판넬(100) 전면부(1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흡입공(111)에 끼움 결합되어 탈부착되며, 상기 형상판(40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체결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10)는 형상판(400)의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돌출되는 몸체부(411)와 상기 몸체부(411)의 타단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는 걸림부(412)와 상기 걸림부(412)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걸림부(412)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으로 일단이 연결되는 반구형의 끼움부(413)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413)의 타단 표면에 형성된 십자형의 슬릿홈(413-1)이 끼움부(413)에서 걸림부(412)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형상판(400)과 체결부(410)가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음판넬(100)의 흡입공(111)에 형상판(400)을 결합시 형상판(400)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부(410)의 끼움부(413)가 흡입공(111)을 통과하되, 상기 끼움부(413)의 최대 외경이 흡입공(111)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형성하며, 이때 끼움부(413)가 흡입공(111)을 통과시 체결부(410)의 걸림부(412)가 흡입공(111)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때 걸림부(412)의 외경은 흡입공(111)의 내경에 동일 또는 작은 외경을 형성함으로서 형상판(400)을 흡입공(111)에 결합하여 방음판넬(100)의 전면부(110)에 형상판(400)을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10)의 끼움부(413)에 형성된 십자형의 슬릿홈(413-1)은 형상판(400)을 방음판넬(100)로부터 교체 또는 제거시 슬릿홈(413-1)에 의한 끼움부(413)의 수축으로 쉽게 흡입공(111)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흡입공(111)으로부터 강압에 의해 형상판(400)을 당길 시 폭이 긴 슬릿홈(413-1)에 의해 구획된 끼움부(413)의 분파구조에 의해 어느 한쪽이 파손되어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방음판넬 100 제1구획판 101 격벽 102
전면부 110 흡음공 111 후면부 120
흡음실 130 제1통공 131 공기실 140
융착부재 150 지지둘레부 151 융착지지부 152
제2구획판 152-1 지지연결부 153 흡음재 200
커버연결부 300 상측수용부 301 하측수용부 302
지지판 310 홈부 311 수직벽 320
형상판 400 체결부 410 몸체부 411
걸림부 412 끼움부 413 슬릿홈 413-1
흡음감쇄부 500 흡음프레임 510a, 510b
돌출턱 511 제2통공 512 감쇄부 513a, 513b
감쇄홈 514 결합부 515 제3통공 516

Claims (12)

  1. 전면부에 다수 개의 흡입공이 형성되면서 양측부 및 후면부는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내부의 세로방향으로 흡음실이 등간격의 다수 개로 형성되도록 다수 개의 제1구획판이 배치되고,
    상기 양측부 각각에 융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양측부 각각의 테두리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둘레부와, 상기 지지둘레부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둘레부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둘레부의 내측면에 이격되면서 지지둘레부의 내면에서 연결되어 지지둘레부의 외부로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되는 융착지지부와, 상기 지지둘레부와 융착지지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융착지지부의 일면과 마주하는 지지둘레부 일면을 연결하는 지지연결부가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실이 복수 개의 일렬로 배열되는 단위체가 다수 개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방음패널의 내부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위체 중 일측 단위체의 상측부는 밀폐 및 하측부는 개방되면서 상기 일측 단위체에 연결되는 타측 단위체의 상측부는 개방 및 하측부는 밀폐되는 패턴을 가지도록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3. 전면부에 다수 개의 흡입공이 형성되면서 양측부 및 후면부는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상측부 및 하측부 각각 개방된 형태를 가지되, 내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상호 연결하면서 내부의 전방 흡음실과 후방 공기실로 이격되게 구획되도록 수직판재형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실 및 공기실 각각에 격벽과 직교되는 제1구획판이 다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판으로 인해 흡음실 및 공기실 각각이 다수 개의 등간격 공간형태로 구획되고,
    상기 양측부 각각에 융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양측부 각각의 테두리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둘레부와, 상기 지지둘레부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둘레부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둘레부의 내측면에 이격되면서 지지둘레부의 내면에서 연결되어 지지둘레부의 외부로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되는 융착지지부와, 상기 지지둘레부와 융착지지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융착지지부의 일면과 마주하는 지지둘레부 일면을 연결하는 지지연결부가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지지부는 내부에 격자형의 제2구획판에 의하여 다수 개의 단위공간으로 구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둘레부 외부로 돌출된 융착지지부가 지지둘레부의 자유단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연결부의 단부와 융착지지부의 단부가 동일하게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지지부가 지지둘레부 외부로 돌출된 길이가 방음판넬의 양측부 각각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양측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부에 형성된 돌출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실 내부에 흡음재, 차음재 또는 흡음재와 차음재 모두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의 상측부 및 하측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하면서 양측 수직벽 사이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수평판재형의 지지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측수용부와 하측수용부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H”형의 커버연결부가 더 포함되거나,
    상기 커버연결부의 상측수용부와 하측수용부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지지판의 가로방향에 대응되도록 지지판의 상면 일측 또는 타측에 단차진 홈부가 형성되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커버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의 상측부 및 하측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하면서 양측 수직벽 사이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수평판재형의 지지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측수용부와 하측수용부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H”형의 커버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커버연결부의 지지판을 기준으로 상측수용부에 하나의 방음판넬 상부 그리고 하측수용부에 다른 하나의 방음판넬 하부가 내속시 상기 상측수용부의 방음판넬과 지지판 사이 및 지지판과 하측수용부의 방음판넬 사이에 각각 커버연결부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로 흡음감쇄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흡음감쇄부는 좌우대칭되면서 상하대칭으로 서로 포개어져 한 쌍의 흡음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흡음프레임은 밀폐된 내부로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흡음프레임의 상부는, 세로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면서 돌출턱과 돌출턱 사이에 내부로 내통되어 이격된 다수 개의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프레임의 하부는, 일측단에서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감쇄부가 형성되면서 감쇄부와 감쇄부 사이에 감쇄홈이 형성되며, 상기 감쇄부의 단면이 삼각형을 형성하되 그 끝단이 평면을 형성하며, 이때 일측단에 형성된 감쇄부의 높이가 내측에 형성된 감쇄부의 높이에 비해 더 작은 높이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내측의 감쇄부 사이에 감쇄홈을 형성하도록 하부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외측면은 수직면 및 내측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결합부가 가로방향으로 형성하며, 하부 전체면에 내부로 내통되는 이격된 다수 개의 제3통공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방음판넬과 타측 방음판넬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할 때 상기 일측 방음판넬의 일측면에 형성된 융착부재의 융착지지부와 지지연결부 단부와 상기 일측 방음판넬의 일측면에 마주하는 타측 방음판넬의 타측면에 형성된 융착부재의 융착지지부와 지지연결부 단부가 열융착에 의해 상호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의 전면부에 문자, 도형 등 다양한 형태의 형상판을 설치하기 위해 방음판넬 전면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흡입공에 끼움 결합되어 탈부착되며,
    상기 형상판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형상판의 내측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돌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걸림부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으로 일단이 연결되는 반구형의 끼움부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의 타단 표면에 형성된 십자형의 슬릿홈이 끼움부에서 걸림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KR1020180060021A 2018-05-27 2018-05-27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KR10189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021A KR101896981B1 (ko) 2018-05-27 2018-05-27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021A KR101896981B1 (ko) 2018-05-27 2018-05-27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981B1 true KR101896981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021A KR101896981B1 (ko) 2018-05-27 2018-05-27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68B1 (ko) * 2021-05-04 2021-09-02 강민재 조립식 방음패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029A (ja) * 1992-09-18 1994-05-10 West Japan Railway Co 共鳴型吸音・遮音パネル
KR100191056B1 (ko) * 1996-05-28 1999-06-15 한근선 분진 및 소음차단용 건축구조물
KR200380479Y1 (ko) * 2004-12-27 2005-03-30 이승주 방음터널
KR100915908B1 (ko) * 2009-05-28 2009-09-07 메리츠산업주식회사 퍼즐형 방음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방음벽
KR101348919B1 (ko) 2013-09-02 2014-01-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흡음공 및 공명 격벽을 구비한 수지형 방음판
KR20140068534A (ko) * 2012-11-28 2014-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 방음 패널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773907B1 (ko) 2017-01-02 2017-09-01 주식회사 태백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벽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029A (ja) * 1992-09-18 1994-05-10 West Japan Railway Co 共鳴型吸音・遮音パネル
KR100191056B1 (ko) * 1996-05-28 1999-06-15 한근선 분진 및 소음차단용 건축구조물
KR200380479Y1 (ko) * 2004-12-27 2005-03-30 이승주 방음터널
KR100915908B1 (ko) * 2009-05-28 2009-09-07 메리츠산업주식회사 퍼즐형 방음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방음벽
KR20140068534A (ko) * 2012-11-28 2014-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 방음 패널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348919B1 (ko) 2013-09-02 2014-01-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흡음공 및 공명 격벽을 구비한 수지형 방음판
KR101773907B1 (ko) 2017-01-02 2017-09-01 주식회사 태백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68B1 (ko) * 2021-05-04 2021-09-02 강민재 조립식 방음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229B1 (ko) 내부 무보강 및 방파부재가 구비된 물탱크
KR102222881B1 (ko)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KR101359394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KR101730976B1 (ko)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KR20180120502A (ko) 방음터널용 방음판 고정장치
KR101896981B1 (ko) 일체형 고밀도 폴리에틸렌 흡음 방음판넬
KR101218343B1 (ko) 누음 방지와 진동 흡수가 가능한 방음벽
KR19990035296U (ko) 방음판
KR101849171B1 (ko) H빔에 흡음기능을 구비시킨 방음벽
JP2001355210A (ja) 防音パネル及び防音壁の構築方法
KR102195355B1 (ko) 가설 방음판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101542547B1 (ko) 회절소음 감소를 위한 방음판넬 조립체
KR102223578B1 (ko) 고기능성 간섭형 소음 저감장치
KR101708828B1 (ko) 소음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벽
KR20070088867A (ko) 터널식 흡음형 방음판
KR20190001025U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101044027B1 (ko) 방음패널
KR101852009B1 (ko) 유지보수성, 차음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방음벽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458116B1 (ko) 연질 막형 흡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설
KR200434105Y1 (ko)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KR101909096B1 (ko) 벽식 아파트 철골 프레임 시스템 보강공법
KR100673624B1 (ko) 방음블록 및 그를 가지는 방음구조물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