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25U -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25U
KR20190001025U KR2020170005450U KR20170005450U KR20190001025U KR 20190001025 U KR20190001025 U KR 20190001025U KR 2020170005450 U KR2020170005450 U KR 2020170005450U KR 20170005450 U KR20170005450 U KR 20170005450U KR 20190001025 U KR20190001025 U KR 201900010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building
plate
opening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824Y1 (ko
Inventor
서관섭
Original Assignee
서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관섭 filed Critical 서관섭
Priority to KR2020170005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2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3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holes in their 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견고하면서도 간편한 조립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 및 분진 차단 효과뿐만이 아닌 소음을 흡수하고 소음에 파장음을 소멸하도록 하여 기존 차폐장치 기능의 단점을 헤소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건축물의 개방부를 폐쇄시켜 상기 개방부를 통해 소음 및 분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에 있어서, 평판의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외곽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에 덮혀지는 단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들이 격벽을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유로와 연결하여 통하며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상기 유로로 흡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흡수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소음흡수구멍에는 건축물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상기 소음흡수구멍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소음흡수부재가 관통 설치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Apparatus of Blocking Pannel}
본 고안은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 블럭 구조로 제작된 플레이트의 전면에 소음흡수구멍을 천공하여, 공기중 대류를 통한 파장음을 제 1스펀지를 통과함으로 대류를 통한 파장음을 최소화하고, 또한 소멸되지 않은 잔류 파장음을 제 2스펀지로 흡수토록 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아파트나 빌딩 또는 상가 등 건물의 외벽은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거푸집(갱폼, 알폼, 유로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 및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내부 거푸집인 내부 폼(알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된다. 거푸집 해체 때 발생하는 소음과 분진은 발코니 및 창의 형성을 위해 개방된 구간 즉,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이러한 소음과 분진은 건물 공사 현장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까지 불편을 줌과 아울러 민원 발생의 원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83370 호(명칭: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면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와 직교하도록 설치된 복수 개의 수직바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된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 보강대를 포함하는 갱폼에 고정되어 상기 갱폼을 인양할 때 상기 갱폼과 함께 인양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 보강대를 경계로 상하로 분할되어 각각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는 상·하부 차폐판을 포함하는 차폐판, 상기 차폐판의 복수 개의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수직바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수평바 또는 상기 수직바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수직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보강대는 상기 수직바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상부 차폐판과 상기 하부 차폐판의 경계를 따라 상기 수직 고정대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 사이에 배치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기술은 건축물의 차폐판을 일일이 재단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개방부의 크기가 너무 클 경우에는 이에 맞게 재단된 차폐판의 운반 및 설치 작업이 너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차폐판의 고정은 그다지 견고하지 못해 태풍과 같은 외부의 영향에 차폐판이 너무 쉽게 떨어져 나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차폐판이 가지는 자체 소음 및 분진 차단 기능만으로 소음과 분진의 차단 효과를 도모함으로서 차폐판과 개방부 사이 틈새로 누출되는 소음 및 분진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폐판으로 건축물의 개방부를 폐쇄하게 되면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의 외부 유출을 차단한다고는 하나, 실제적으로 소음이 차폐판에 막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되돌아온 다음, 건축물의 계단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짐으로서 실제적인 소음 저감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8337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공 블럭 구조로 제작된 플레이트의 전면에 소음흡수구멍을 천공하여, 상기 소음흡수구멍으로 소음이 통과한 다음,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 유로로 흘러가도록 유도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소음흡수구멍의 전면에 흡음재를 설치하여 소음 흡수효과를 더욱 높이도록 한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건축물의 개방부를 폐쇄시켜 상기 개방부를 통해 소음 및 분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에 있어서, 평판의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외곽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에 덮혀지는 단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들이 격벽을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유로와 연결하여 통하며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상기 유로로 흡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흡수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소음흡수구멍에는 건축물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상기 소음흡수구멍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소음흡수부재가 관통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흡수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소음 흡수구멍에 끼워지며 전면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개방구와 연결하여 통하는 유입공간이 형성된 흡음블럭, 상기 흡음블럭의 둘레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로를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 상기 흡음구멍의 전면 개방구(134)에 덮혀지는 제 1흡음재 및 상기 흡음블럭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 2흡음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다공 블럭 구조로 제작된 플레이트의 전면에 소음흡수구멍을 천공하여, 상기 소음흡수구멍으로 소음이 통과한 다음,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 유로로 흘러가도록 유도하여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 패널장치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패널장치의 조립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플레이트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 패널장치의 전체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패널장치의 조립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 패널장치(100)는 건축물의 거푸집 해체 때 발생하는 소음과 분진이 발코니 및 창의 형성을 위해 개방된 개방부(20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치로서, 건축물의 외벽(202)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파이프(60), 상기 지지파이프(60)에 지지 되어지는 단위패널(10),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단위패널(10)은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차단하는 부재로서 평판의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12), 상기 플레이트(12)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외곽프레임(14)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단위패널(10)은 동일한 규격으로 유닛화하여 대량생산을 거쳐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도록 한다.
상기 단위패널(10)의 외곽프레임(14) 내면에는 상기 외곽프레임(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스켓홀더(16)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켓홀더(16)에는 가스켓(18)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스켓(18)은 단위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개방부를 덮어 폐쇄할 때,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건축물의 외벽(202)에 밀착되며 건축물의 개방부(200)와 단위패널(10)의 사이에 틈새를 기밀 처리하여 소음 및 분진의 외부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상기 상, 하부 가이드레일(20, 30)은 상기 단위패널(10)의 상, 하부에 위치하며 두 개 이상의 단위패널(10)을 서로 맞댄 상태로 연결 고정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상부가이드레일(20)의 하면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30)의 상면에는 안내홈(22, 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22, 32)에 상기 단위패널(10)의 상, 하면이 끼워진 상태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상, 하부 가이드레일(20, 30)의 사이에 단위패널(10)이 끼워지고 나면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을 이용하여 상, 하부 가이드레일(20, 30), 단위패널(10)을 지지프레임(60)에 연결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상, 하부 고정브라켓(40, 50)은 단위패널(10) 및 상,하부 가이드레일(20, 30)을 건축물 외벽(202)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60)에 고정시킬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상부고정브라켓(40)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2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바디부(42)와, 상기 바디부(42)의 선단에 수평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가이드레일(2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볼트(47) 체결되는 체결부(44) 및 상기 바디부(42)의 외면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양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49) 체결되는 측판부(46)로 나뉘어 구성한다.
상기 하부고정브라켓(50)은 상기 하부가이드레일(3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바디부(42)와, 상기 바디부(42)의 선단에 수평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가이드레일(30)의 하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볼트(57) 체결되는 체결부(54) 및 상기 바디부(42)의 외면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양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59) 체결되는 측판부(56)로 나뉘어 구성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은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의 사이로 단위패널(10)이 끼워지고 나면 상기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의 외면에 바디부(42, 52)를 각각 밀착시킨 다음, 상, 하부 고정브라켓(40, 50)의 체결부(44, 54)로 볼트(47, 57) 체결하면 상기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에 상기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을 고정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의 측판부(46, 56)를 지지프레임(60)의 양측에 각각 밀착시킨 상태로 볼트(49, 59) 체결함으로서 단위패널(10)이 조립되어 있는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을 지지프레임(60)에 연결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을 통해 단위패널(10) 및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을 건축물 외벽(202)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6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태풍과 같은 외력에 패널이 쉽게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없이 지속적인 소음 및 분진 차단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본 고안의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 패널장치는 시공시, 건축물의 개방부(200) 크기에 맞도록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단위패널(10)을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의 사이에 끼워넣어 각 단위패널(10)을 서로 맞댄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덮어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위패널(10)을 구성하는 외곽프레임(14)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켓(18)은 상기 건축물의 외벽(202)에 밀착되며 단위패널(10)과 건축물의 개방부(200) 사이 틈새를 기밀 처리하여 소음 및 분진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 상, 하부 고정브라켓(40, 50)의 바디부(42, 52)를 상기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의 외면에 각각 밀착시킨 후, 상기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의 체결부(44, 54)로 볼트(47, 57)를 체결하여 상기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을 상기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볼트(47, 57)는 상기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단위패널(10)의 외곽프레임(14)까지 체결되어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 및 단위패널(10)을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에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상, 하부고정브라켓(40, 50)의 양측 측판부(46, 56)를 지지프레임(60)의 양측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시 볼트(49, 59) 체결함으로서 상, 하부가이드레일(20, 30) 및 단위패널(10)을 상기 지지프레임(6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립구조를 통해 태풍이나 기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단위패널(10)이 건축물의 개방부(200)에서 떨어지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패널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12)는 다공 블럭 구조로 제작하고, 또한 플레이트(12)에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수단을 설치하여 건축물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 5는 플레이트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패널(1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2)는 반투명성을 가진 다공 블럭 구조로서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110)들이 격벽(112)을 사이에 두고 각각 수직으로 배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플레이트(12)는 외곽프레임(14)에 조립되어 하나의 단위패널(10)을 구성하며, 상기 단위패널(10)은 언급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폐쇄시켜 거푸집 해체 때 발생하는 소음과 분진이 상기 개방부(20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위패널(1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2)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흡수구멍(12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소음흡수구멍(120)은 플레이트(12)의 유로(110)와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통 과시켜 플레이트(12)의 유로(110)로 흡수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차폐판은 단순히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폐쇄시키는 기능만 수행하게 되는 데, 이러한 종래 차폐판은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고 다시 튕겨내게 됨으로서 소음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 계단 등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 결과적으로 차폐판이 가지는 소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위패널(10)의 플레이트(12)에 소음흡수구멍(120)을 천공하여, 건축물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을 플레이트(12)가 튕겨내지 않고 상기 소음흡수구멍(120)을 통해 플레이트(12)의 내부 유로(110)로 흡수되도록 함으로서 소음 차단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소음흡수구멍에는 소음흡수부재(130)가 각각 끼워진다. 상기 소음흡수부재(130)는 상기 플레이트(12)의 소음 흡수구멍(120)에 끼워지며 건축물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상기 소음흡수구멍(120)으로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음흡수부재(130)는 상기 플레이트(12)의 소음 흡수구멍(120)에 끼워지며 건축물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상기 소음흡수구멍(120)으로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흡음블럭(132)으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흡음블럭(132)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은 개방구(13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방구(134)와 연결하여 통하며 상기 개방구(134)를 통해 소음이 유입되어 지는 유입공간(136)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흡음블럭(132)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138)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멍(138)은 상기 흡음블럭(132)이 상기 소음흡수구멍(120)에 끼워지고 나면 상기 흡음블럭(132)의 유입공간(136) 및 플레이트(12)의 유로(110)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흡음블럭(132)의 유입공간(136)으로 유입된 소음을 플레이트(12)의 내부 유로(110)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흡음블럭(132)의 전면 둘레에는 플랜지(140)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40)는 상기 흡음블럭(132)이 상기 플레이트(12)의 소음흡수구멍(120)에 끼워지고 나면 상기 플레이트(12)의 전면에 걸려지며 흡음블럭(132)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흡음블럭(132)의 전면에는 제 1흡음재(142)가 부착된다. 상기 제 1흡음재(142)는 전술한 실시 예의 흡음부재(180)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을 일차적으로 흡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흡음재(142)에 덮혀져 있는 흡음블럭(132)의 전면 개방구(134)를 통해 흡음블럭(132)의 내부 유입공간(136)으로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흡음블럭(132)의 후면에는 제 2흡음재(144)가 부착된다. 상기 제 2흡음재(144)는 상기 제 1흡음재(142)를 통해 1차적으로 흡수된 소음이 흡음블럭(132)의 전면 개방구(134)를 통해 흡음블럭(132)의 내부 유입공간(136)으로 유입되고 나면 이때의 소음을 다시 2차적으로 흡수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 2흡음재(144)를 통해 2차적으로 흡수되고 난 뒤의 잔류하는 최소한의 소음은 흡음블럭(132)의 연결구멍(138)을 거쳐 플레이트(12)의 유로(110)로 배출시키게 된다.
10: 단위패널 12: 플레이트
110: 유로 112: 격벽
120: 소음흡수구멍 130: 소음흡수부재
132: 흡음블럭 136: 유입공간
138: 연결구멍 142: 제 1흡음재
144: 제 2흡음재

Claims (2)

  1.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건축물의 개방부(200)를 폐쇄시켜 상기 개방부(200)를 통해 소음 및 분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에 있어서,
    평판의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12), 상기 플레이트(12)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외곽프레임(14)으로 이루어져 상기 건축물의 개방부(200)에 덮혀지는 단위패널(10)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1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110)들이 격벽(112)을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2)의 전면에는 상기 유로(110)와 연결하여 통하며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상기 유로(110)로 흡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흡수구멍(12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소음흡수구멍(120)에는 건축물의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상기 소음흡수구멍(120)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소음흡수부재(130)가 관통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흡수부재(130)는;
    상기 플레이트(12)의 소음 흡수구멍(120)에 끼워지며 전면에는 개방구(134)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개방구(134)와 연결하여 통하는 유입공간(136)이 형성된 흡음블럭(132);
    상기 흡음블럭(130)의 둘레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136)과 상기 유로(110)를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138) ;
    상기 흡음구멍(130)의 전면 개방구(134)에 덮혀지는 제 1흡음재(142) 및 ;
    상기 흡음블럭(130)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 2흡음재(14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20170005450U 2017-10-23 2017-10-23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0489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50U KR200489824Y1 (ko) 2017-10-23 2017-10-23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50U KR200489824Y1 (ko) 2017-10-23 2017-10-23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25U true KR20190001025U (ko) 2019-05-02
KR200489824Y1 KR200489824Y1 (ko) 2019-10-21

Family

ID=6653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50U KR200489824Y1 (ko) 2017-10-23 2017-10-23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399B1 (ko) * 2019-10-22 2021-02-08 윤영숙 시공 건축물용 사이즈 가변형 소음차단장치
KR20210103099A (ko) * 2020-02-13 2021-08-23 서관섭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17A (ja) * 1994-08-09 1996-02-20 Misawa Ceramics Kk 防音ユニットパネル
KR100768520B1 (ko) * 2007-01-31 2007-10-18 하종호 방음패널의 시공구조
KR101220584B1 (ko) * 2010-12-23 2013-01-10 송미자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KR200483370Y1 (ko) 2016-12-01 2017-05-0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17A (ja) * 1994-08-09 1996-02-20 Misawa Ceramics Kk 防音ユニットパネル
KR100768520B1 (ko) * 2007-01-31 2007-10-18 하종호 방음패널의 시공구조
KR101220584B1 (ko) * 2010-12-23 2013-01-10 송미자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KR200483370Y1 (ko) 2016-12-01 2017-05-0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399B1 (ko) * 2019-10-22 2021-02-08 윤영숙 시공 건축물용 사이즈 가변형 소음차단장치
KR20210103099A (ko) * 2020-02-13 2021-08-23 서관섭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차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824Y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054B1 (ko)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KR101116464B1 (ko) 개방 벽체 차단 시스템
KR200479596Y1 (ko)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359394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730976B1 (ko)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KR200485750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190001025U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0496431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1717451B1 (ko) 갱폼용 방음패널
KR20190009392A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차폐판 및 이를 구비한 갱폼
CN101352717A (zh) 降噪防尘移动作业室
KR20048966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KR100891273B1 (ko) 방음패널
KR200484798Y1 (ko)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KR101849171B1 (ko) H빔에 흡음기능을 구비시킨 방음벽
KR101940456B1 (ko) 갱폼용 소음방지패널
KR101869237B1 (ko) 시공중 벽체 개구부 차단장치
KR102000879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150028269A (ko)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
KR101643291B1 (ko) 개방벽체 차폐장치
KR101331408B1 (ko) 구조물 보수 및 해체용 이동식 막이벽
KR101852009B1 (ko) 유지보수성, 차음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방음벽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0496446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090037520A (ko) 갱폼용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