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98Y1 -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 Google Patents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98Y1
KR200484798Y1 KR2020170002820U KR20170002820U KR200484798Y1 KR 200484798 Y1 KR200484798 Y1 KR 200484798Y1 KR 2020170002820 U KR2020170002820 U KR 2020170002820U KR 20170002820 U KR20170002820 U KR 20170002820U KR 200484798 Y1 KR200484798 Y1 KR 200484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shielding
shielding plat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진
Original Assignee
김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진 filed Critical 김두진
Priority to KR2020170002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시공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갱폼 개방부를 차폐하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과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폐패널을 구비한 건축물 시공용 갱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부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설치하고, 이를 통해 단열성과 환기성을 확보하고,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건축물의 외벽 개방부의 크기가 다른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GANG FORM FOR BUILDING CONSTRUCTION WITH OPEN AREA SHIELDING FUNC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시공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갱폼의 개방부 구간에 긴밀하게 탄성 결합되는 차폐패널을 구비하여 내부 단열성과 환기성을 개선하는 한편,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또는 상가 등과 같은 건축물은 외벽이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외벽 거푸집, 즉 갱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갱폼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 및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외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갱폼 사용을 통해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한 후 내부 거푸집을 체하는 작업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소음과 분진은 갱폼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 외벽에 형성된 개방부, 즉 발코니 및 창 등과 같은 건축물의 개방부(이하, '외벽 개방부'라 함)와, 상기 외벽 개방부를 형성하기 위해 갱폼 자체에 형성된 개방부(이하, '갱폼 개방부'라 함)를 통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방음 및 방진 기술들은 대부분 건축물의 외벽 개방부 구간을 차폐하기 위한 연구만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을 뿐, 갱폼 차체에 형성된 갱폼 개방부 구간을 차폐하기 위한 연구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갱폼 자체에 형성된 갱폼 개방부 구간을 차폐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735호(등록일: 2017.03.13.)에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735호에서는 갱폼의 개방부 구간에 선택 개폐부를 설치하여 차폐함으로써 단열, 방음 및 방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고, 또한 작업자의 출입 또는 환기 등이 필요할 때에는 선택 개폐부를 통해 개방부 구간을 개방하도록 제공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735호에서 제안된 선택 개폐부는 제조공장에서 갱폼 개방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로 규격화되어 제작된 후 갱폼에 설치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에 형성되는 외벽 개방부의 크기, 즉 발코니 및 창 등의 크기가 다른 현장에는 적용할 수 없거나,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외벽 개방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차폐판을 다시 제작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추가로 제작 비용이 소요되어 시공비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다.
KR 10-1717735 B1, 2017. 03. 13. KR 10-1116464 B1, 2012. 02. 07. KR 10-1386054 B1, 2014. 04. 10. KR 20-0479596 Y1, 2016. 02. 06. KR 10-2016-0030490 A, 2016. 03.18.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열성과 환기성을 개선하는 한편,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갱폼 개방부 구간의 크기와 무관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건축물의 외벽 개방부의 크기가 다른 현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 개방부를 형성하기 위해 갱폼 개방부가 마련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와 직교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바; 및 상기 갱폼 개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 개방부를 차폐하는 차폐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차폐패널은 상기 갱폼 개방부를 차폐하는 차폐판; 및 상기 차폐판의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차폐판과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 사이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긴밀하게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일측부가 상기 차폐판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고무, 발포고무, PVC(polyvinyl chloride), 연질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판, 발포고무판, PVC판, 연질 플라스틱판 또는 우레탄판 중 어느 하나를 'U'자 형태로 절곡시켜 양끝단부를 상기 차폐판의 측부에 고정하고, 절곡된 중앙부의 외측면이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에 탄성력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판은 1개 또는 복수 개가 분할된 분할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판은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수평바 또는 상기 수직바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수직바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평바 또는 상기 수직바에 고정되는 수직 고정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부에는 알폼을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 프레임에는 상기 알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탄성부재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판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지지 고정하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판에는 환기장치 또는 개폐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갱폼 개방부를 차폐하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과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폐패널을 구비한 건축물 시공용 갱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부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설치하고, 이를 통해 단열성과 환기성을 확보하고,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건축물의 외벽 개방부의 크기가 다른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용 갱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시공용 갱폼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폐패널이 갱폼 개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폐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폐패널을 이용한 갱폼 개방부의 차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갱폼의 내측에 알폼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핀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시공용 갱폼이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용 갱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시공용 갱폼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폐패널이 갱폼 개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용 갱폼(10)은 갱폼 개방부(10a)를 차폐하도록 갱폼 개방부(10a)에 설치된 차폐패널(11)을 포함한다.
갱폼(10)은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 대형 철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건축물의 외벽 개방부, 예를 들면 건축물에 발코니 및 창 등을 형성하기 위해 갱폼 개방부(10a)가 형성된 플레이트(12)와, 플레이트(12)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13)와, 수평바(13)와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바(14)를 포함한다. 또한, 수직바(14)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수직바(14)의 하단부를 보강하는 수평 보강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바(13)는 도 2와 같이, 복수 개가 플레이트(12)의 후면부에 이격 설치되어 플레이트(12)의 후면부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수직바(14)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부는 플레이트(12)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플레이트(12)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수평바(13)와 수직바(14)의 개수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수직바(14)의 하단부에는 수직바(14)의 하단부를 보강하기 위해 직교하는 방향(수평바와 나란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평 보강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보강대는 수평바(13) 중 최하부 수평바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폐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폐패널(11)은 갱폼 개방부(10a)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갱폼 개방부(10a)를 차폐한다. 이러한 차폐패널(11)은 차폐판(111)과, 차폐판(111)의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에 설치되어 차폐판(111)과 갱폼 개방부(10a)의 내측면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탄성부재(112)를 포함한다.
차폐판(111)은 도 2와 같이, 수평바(13) 및/또는 수직바(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직접, 혹은 별도의 고정부재, 예를 들면 수평바(13) 또는 수직바(14)에 고정된 수직 고정바(15)를 통해 수평바(13) 및/또는 수직바(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갱폼 개방부(10a)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갱폼(10) 인양시 한 몸체로 함께 인양된다.
차폐판(111)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분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판은 각각 서로 동일 크기로 제조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판(111)은 합성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글라스울, 원목, 합성 목재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강화 플라스틱, 펄프 재질, 섬유(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차폐판(111)이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분할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분할판은 체결부재(114)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114)는 볼트 및 너트일 수 있다. 이외에도, 피스(나사), 철사(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14)를 사용하지 않고, 인접한 것끼리 용접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차폐판(111)은 외곽 테두리의 강성을 보강하는 한편, 수평바(13) 및/또는 수직바(14)에 고정되기 위해 외곽 테두리에 고정 프레임(11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 프레임(113)은 차폐판(111)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고정 프레임(113)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차폐판(111)의 재질에 따른 지지강도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판(111)이 분할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고정 프레임(113)은 분할판 각각에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112)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일측부가 차폐판(111)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탄성에 의해 갱폼 개방부(10a)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12)는 차폐판(111)과 함께 갱폼 개방부(10a)를 안정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고무재질, 발포고무, PVC(polyvinyl chloride), 연질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 등의 재질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112)는 도 4와 같이, 고무재질의 판, 즉 고무판, 발포고무판, PVC판, 연질 플라스틱판 또는 우레탄판 중 어느 하나를 'U'자 형태로 절곡시켜 양끝단부를 차폐판(111)의 측부에 고정하고, 절곡된 중앙부의 외측면이 갱폼 개방부(10a)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폐패널을 이용한 갱폼 개방부의 차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폐패널(11)은 차폐판(111)의 측부, 예를 들면, 좌우측으로 양측부에 탄성부재(112)가 설치됨에 따라 탄성부재(11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갱폼 개방부(10a)의 크기와 무관하게 갱폼 개방부(10a)의 내측부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즉, 차폐판(111)의 길이가 'L1'으로 동일한 상태에서 갱폼 개방부(10a)의 크기가 작아지고, 이로 인해 차폐판(111)과 갱폼 개방부(10a)의 내측면 간의 간격이 작아져 L2 > L2'가 되더라도 탄성부재(112)가 차폐판(111)과 갱폼 개방부(10a) 사이에서 탄성 가압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축됨으로써 간편하게 차폐판(111)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차폐패널(11)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고정 프레임(113)과 수직 고정바(15)를 통해 수평바(13) 또는 수직바(14)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수직 고정바(15)는 수직바(14)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례로, 고정 프레임(113)은 'L'자형 체결구(L)에 의해 수직 고정바(15)에 체결되고, 수직 고정바(15)는 'L'자형 체결구(T)에 의해 수평바(13)에 체결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갱폼의 내측에 알폼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핀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갱폼(10)의 내측에 알폼(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해 갱폼 개방부(10a)의 내측부에는 상기 알폼을 고정하기 위한 설치 프레임(16)이 설치된다.
설치 프레임(16)은 갱폼 개방부(10a)의 내측부에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설치될 수 있고, 고정핀(17)이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16a)이 형성된다.
고정핀(17)을 설치 프레임(16)의 체결공(16a)에 관통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고정핀(17)을 설치 프레임(16)과 탄성부재(112) 사이로 손가락을 인입시켜야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설치 프레임(16)의 후방측에 차폐패널(11)의 탄성부재(112)가 위치됨에 따라 설치 프레임(16)과 탄성부재(112) 사이로 손 또는 손가락을 인입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고정핀(17)을 설치 프레임(16)의 체결공(16a)에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망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핀(17)을 해체시에도 탄성부재(112)의 지지력으로 인해 고정핀(17)이 체결공(16a) 밖으로 튕겨나가지 않고 머물러 있어 안전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시공용 갱폼이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차폐패널(11)의 차폐판(111)에는 와이어(18)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공(1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벽 시공시 갱폼(10)을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슬라브)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18)가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18)는 일단이 갱폼(10)의 수직바(14) 또는 수평바(13)에 고정되고, 타단이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된 고정고리(2)에 지지됨에 따라 차폐판(111)이 설치되는 경우 와이어(18)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차폐판(111)에 와이어(18)가 관통할 수 있는 와이어 관통공(111a)을 형성한다.
한편, 차폐판(111)에는 갱폼 개방부(10a)를 통해 내부의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갱폼 개방부(10a)를 통해 외부 공기를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기장치는 차폐판(111)의 내측부 또는 외측부, 혹은 고정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일례로 차폐판(111)에 형성된 환기공에 설치된 환기팬과,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환기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환기팬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환기팬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는 밀폐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팬이 동작하면 상기 환기공을 개방하여 상기 환기공을 통해 내부의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외부 공기를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고, 상기 환기팬이 비동작하면, 상기 환기공을 폐쇄하여 내부의 소음과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111)에는 개폐도어(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는 방음 커텐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방음커텐은 벨크로, 자석, 걸림고리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의 개폐부재를 통해 고정 프레임(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차폐시에는 갱폼 개방부(10a)를 밀폐하여 갱폼 개방부(10a)를 통해 소음과 분진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환기시에는 갱폼 개방부(10a)를 개방하여 환기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건축물 콘크리트 바닥(슬라브) 2 : 고정고리
10 : 건축물 시공용 갱폼 11 : 차폐패널
12 : 플레이트 12a : 갱폼 개방부
13 : 수평바 14 : 수직바
15 : 수직 고정바 16 : 설치 프레임
17 : 고정핀 18 : 와이어
111 : 차폐판 111a : 와이어 관통공
112 : 탄성부재 113 : 고정 프레임
114 : 체결부재 L : L자형 체결구

Claims (8)

  1. 건축물의 외벽 개방부를 형성하기 위해 갱폼 개방부가 마련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와 직교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바;
    상기 갱폼 개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 개방부를 차폐하는 차폐패널; 및
    알폼을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하기 위해 일측부가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차폐판 방향으로 연장된 설치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차폐패널은,
    상기 갱폼 개방부를 차폐하는 차폐판; 및
    상기 차폐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와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판의 측부와 상기 갱폼 개방부 사이를 차폐하되, 일측부가 상기 차폐판의 측부에 고정되고, 타측부는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폐판의 측부와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 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신장되어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프레임의 타측부에는 상기 설치 프레임에 상기 알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탄성부재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체결공에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의 일측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발포고무, PVC(polyvinyl chloride), 연질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판, 발포고무판, PVC판, 연질 플라스틱판 또는 우레탄판 중 어느 하나를 'U'자 형태로 절곡시켜 양끝단부를 상기 차폐판의 측부에 고정하고, 절곡된 중앙부의 외측면이 상기 갱폼 개방부의 내측면에 탄성력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1개 또는 복수 개가 분할된 분할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수평바 또는 상기 수직바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수직바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평바 또는 상기 수직바에 고정되는 수직 고정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지지 고정하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는 환기장치 또는 개폐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KR2020170002820U 2017-06-05 2017-06-05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KR200484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20U KR200484798Y1 (ko) 2017-06-05 2017-06-05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20U KR200484798Y1 (ko) 2017-06-05 2017-06-05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798Y1 true KR200484798Y1 (ko) 2017-10-26

Family

ID=6040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820U KR200484798Y1 (ko) 2017-06-05 2017-06-05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697B1 (ko) * 2019-12-12 2020-07-02 박상우 갱폼 개구부 차폐 구조
KR20210059940A (ko) * 2019-11-18 2021-05-26 김재문 방음부재 및 단열부재를 구비한 갱폼
KR102284169B1 (ko) * 2020-02-26 2021-07-30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 중 측벽 개방구를 막는 양생용 막음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636A (ja) * 1997-12-11 1999-06-29 Sekisui Jushi Co Ltd 透光性遮音板
KR101116464B1 (ko) 2010-11-23 2012-03-07 (주)대우건설 개방 벽체 차단 시스템
KR101386054B1 (ko) 2013-04-17 2014-04-16 김중영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KR200479596Y1 (ko) 2015-11-19 2016-02-16 김두진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160030490A (ko) 2016-01-11 2016-03-18 이옥순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717735B1 (ko) 2016-06-14 2017-03-27 미진정공(주) 단열 및 방음구조를 구비한 갱폼
KR200483370Y1 (ko) * 2016-12-01 2017-05-0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636A (ja) * 1997-12-11 1999-06-29 Sekisui Jushi Co Ltd 透光性遮音板
KR101116464B1 (ko) 2010-11-23 2012-03-07 (주)대우건설 개방 벽체 차단 시스템
KR101386054B1 (ko) 2013-04-17 2014-04-16 김중영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KR200479596Y1 (ko) 2015-11-19 2016-02-16 김두진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160030490A (ko) 2016-01-11 2016-03-18 이옥순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717735B1 (ko) 2016-06-14 2017-03-27 미진정공(주) 단열 및 방음구조를 구비한 갱폼
KR200483370Y1 (ko) * 2016-12-01 2017-05-08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940A (ko) * 2019-11-18 2021-05-26 김재문 방음부재 및 단열부재를 구비한 갱폼
KR102269623B1 (ko) 2019-11-18 2021-06-25 김재문 방음부재 및 단열부재를 구비한 갱폼
KR102129697B1 (ko) * 2019-12-12 2020-07-02 박상우 갱폼 개구부 차폐 구조
KR102284169B1 (ko) * 2020-02-26 2021-07-30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 중 측벽 개방구를 막는 양생용 막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98Y1 (ko)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KR200479596Y1 (ko)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3370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717735B1 (ko) 단열 및 방음구조를 구비한 갱폼
KR101116464B1 (ko) 개방 벽체 차단 시스템
KR101717451B1 (ko) 갱폼용 방음패널
KR20190009392A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차폐판 및 이를 구비한 갱폼
KR101996185B1 (ko) 갱폼에 설치되는 건물 공사 소음차단용 차음막 유닛
KR101562672B1 (ko)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
KR101869237B1 (ko) 시공중 벽체 개구부 차단장치
KR20220001459U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1457059B1 (ko) 점탄성체를 이용한 전단벽체의 제진공법
KR101729719B1 (ko) 갱폼 창호 시스템
KR101940456B1 (ko) 갱폼용 소음방지패널
KR101643291B1 (ko) 개방벽체 차폐장치
KR20170060606A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982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200484071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752755B1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362259B1 (ko) 내부결속 구조를 갖는 조립식 벽체블록
JP5075694B2 (ja) 建物の構造
KR100497858B1 (ko) 건축물 붙박이 창호 개량 구조
JP4947039B2 (ja) 遮音用建具ユニット
KR102193339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회전 개폐장치
JP3492984B2 (ja) 防音機能付き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