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045Y1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045Y1
KR200363045Y1 KR20-2004-0018374U KR20040018374U KR200363045Y1 KR 200363045 Y1 KR200363045 Y1 KR 200363045Y1 KR 20040018374 U KR20040018374 U KR 20040018374U KR 200363045 Y1 KR200363045 Y1 KR 200363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bolt
fastening
elastic bodies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김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창 filed Critical 김환창
Priority to KR20-2004-0018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판재형상의 중앙에 소정크기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체결공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통형상의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하부 조임 탄성체와,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의 중앙에 형성된 조임공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조임볼트로 이루어진 조임부와; 상기 조임볼트에 끼워져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의 외면을 감싸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조임볼트에 결합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의하면, 조임볼트에 조임너트를 상부방향에서 끼워 조임으로써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토크 과다에 따른 나사산의 마모를 감소시킬수 있으며, 기계적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와 포스트단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A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본 고안은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임볼트에 조임너트를 상부방향에서 끼워 조임으로써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크랙 및 토크 과다에 따른 나사산의 마모를 감소시킬수 있으며, 상·하부 조임 탄성체의 양측 외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조임부재에 형성된 경사부와 밀착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와 포스트단자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으나, 대부분은 축전지용 포스트 단자와 결합되는 접속단자에 와이어 커넥터를 고정시켜 사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형성한 접속단자(100)의 양단에 조임볼트(138) 및조임너트(139)를 조여서 축전지(200)의 포스트단자(300)와 접속하고, 일측에 와이어 커넥터(400)를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장시간이 경과되거나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되는 기계적 진동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100)가 상기 축전지(200)의 포스트단자(300)에서 손쉽게 이탈되어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100)가 탄력성이 없는 연질의 납으로 되어 있어 사용중에 접속단자(100)의 접촉 상태가 자연 이완되기 때문에, 상기 접속단자(100)에 수시로 타격을 가하여 접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접속단자(100)의 타격으로 인해 상기 축전지(200)의 파손 및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원통으로 이루어진 탄성체(120)를 상·하로 배치하여 일측에 조임볼트(138)와 조임너트(139)로 고정시킴으로써 접속단자(100)의 이탈 방지 및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고, 와이어 커넥터(400)와 접속단자(100)를 분리시킴으로써 다양한 차종의 축전지 단자 접속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형식의 접속단자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상기 탄성체(120)를 포스트단자(3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임너트(139)를 측방향에서 조이게 됨에 따라 크랙(Crack)이 발생하기 쉽고, 포스트단자(300)에 상기 접속단자(100)를 체결할때 조임너트(139)가 헛돌게 되어 체결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임너트(139)에 과도한 토크(Torque)가 작용하게 됨으로써 나사산의 마모가 발생하여, 조임너트(139)의 체결후에 토크 점검시 상기 접속단자(100)가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임볼트에 조임너트를 상부방향에서 끼워 조임으로써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토크(Torque) 과다에 따른 나사산의 마모를 감소시킬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부 조임 탄성체의 양측 외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조임부재에 형성된 경사부와 밀착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와 포스트단자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의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좌측면도이고 도 5b는 우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의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부, 12: 고정판,
14: 체결공, 15: 고정판 탄성체,
17: 고정 지지판, 18: 고정볼트,
20: 삽입부, 20a: 상부 삽입공 탄성체,
20b: 하부 삽입공 탄성체, 30: 조임부,
31a: 상부 조임 탄성체, 31b: 하부 조임 탄성체,
32: 가이드홈, 34: 조임공,
36: 조임 지지판, 37: 걸림편,
38: 조임볼트, 39: 조임 너트,
40: 조임부재, 42: 조임홈,
44: 절곡부, 46: 경사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판재형상의 중앙에 소정크기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체결공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통형상의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하부 조임 탄성체와,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의 중앙에 형성된 조임공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조임볼트로 이루어진 조임부와; 상기 조임볼트에 끼워져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의 외면을 감싸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조임볼트에 결합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한쌍의 부재로써, 상면의 중앙에 조임홈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절곡부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는 상호 대칭되게 테이퍼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조임부재에 형성된 경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진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하부 조임 탄성체에는 걸림편이 구비되어 상기 조임볼트의 조임 지지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좌측면도이고 도 5b는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의 측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판재형상의 중앙에 소정크기의 체결공(14)이 형성된 고정판(12)과, 상기 고정판(12)의 체결공(14)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볼트(18)로 이루어진 고정부(10)와; 상기 고정판(12)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통형상의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20a, 20b)를 갖는 삽입부(20)와; 상기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20a, 20b)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와,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의 중앙에 형성된 조임공(34)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조임볼트(38)로 이루어진 조임부(30)와; 상기 조임볼트(38)에 끼워져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의 외면을 감싸는 조임부재(40)와; 상기 조임부재(40)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조임볼트(38)에 결합되는 조임너트(3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고정 지지판(17)과, 상기 체결공(14)을 통해 상부로 연장 형성된 고정볼트(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2)의 양측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고정판 탄성체(15)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 지지판(17)을 감싸게 된다.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고정판(12)에서 연장된 것으로 축전지의 포스트단자(미도시)와 접속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20a, 20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20a, 20b)는, 외부의 압력 및 흔들림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부(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0)의 일측이 개방되어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가 구비되고, 그 중앙에 조임공(34)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공(34)의 하단부에는 편평한 조임 지지판(36)이 구비되고, 하부 조임 탄성체(31b)는 전면 양측부에 소정길이로 절곡되어 상기 조임 지지판(36)을 감싸게 된다.
조임볼트(38)는 상기 조임공(34)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임볼트(38)에 조임부재(40) 및 조임너트(39)가 차례로 결합된다.
상기 조임부재(4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한쌍의 부재로써, 그 상면의 중앙에 조임홈(42)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절곡부(44)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4개의 절곡부(44) 내측은 상호 대칭되게 테이퍼진 경사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부재(4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조임부재(40)에 형성된 경사부(46)와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진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하부 조임 탄성체(31b)에는 걸림편(37)이 구비되어 상기 조임볼트(38)의 조임 지지판(36)을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임너트(39)를 상부로부터 조임에 따라, 상기 경사부(46)와 가이드홈(32)은 서로 밀착됨으로써 기계적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게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결합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포스트단자(미도시)에 삽입부를 끼운 다음, 상부로 돌출된 조임볼트(38)에 조임부재(40)를 위에서부터 끼워 삽입한다. 상기 조임부재(40)에 형성된 조임공(42)으로 조임볼트(38)를 관통시키고, 상기 조임부재(40)에 형성된 내측 경사부(46)를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에 형성된 가이드홈(32)에 일치시킨다. 이어서 조임너트(39)를 조임볼트(38)에 체결한다.
상기 조임너트(39)를 위에서 체결하므로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할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부재(40)에 형성된 내측 경사부(46)가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에 형성된 가이드홈(32)에 밀착되어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를 내측으로 조여주게 되므로 포스트단자에 삽입부(20)가 견고하게 결합될수 있다.
아울러,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직렬 또는 병렬식으로 연결되어 축전지로부터 차량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커넥션 터미널(미도시)은 상기 고정볼트(18)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의하면, 조임볼트에 조임너트를 상부방향에서 끼워 조임으로써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토크 과다에 따른 나사산의 마모를 감소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 조임 탄성체의 양측 외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조임부재에 형성된 경사부와 밀착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와 포스트단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판재형상의 중앙에 소정크기의 체결공(14)이 형성된 고정판(12)과, 상기 고정판(12)의 체결공(14)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볼트(18)로 이루어진 고정부(10)와;
    상기 고정판(12)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통형상의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20a, 20b)를 갖는 삽입부(20)와;
    상기 상·하부 삽입공 탄성체(20a, 20b)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와,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의 중앙에 형성된 조임공(34)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조임볼트(38)로 이루어진 조임부(30)와;
    상기 조임볼트(38)에 끼워져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의 외면을 감싸는 조임부재(40)와;
    상기 조임부재(40)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조임볼트(38)에 결합되는 조임너트(3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4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한쌍의 부재로써, 상면의 중앙에 조임홈(42)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절곡부(44)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44)의 내측에는 상호 대칭되게 테이퍼진 경사부(46)가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40)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조임 탄성체(31a, 31b)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조임부재(40)에 형성된 경사부(46)와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진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하부 조임 탄성체(31b)에는 걸림편(37)이 구비되어 상기 조임볼트(38)의 조임 지지판(36)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2004-0018374U 2004-06-29 2004-06-29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363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374U KR200363045Y1 (ko) 2004-06-29 2004-06-29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374U KR200363045Y1 (ko) 2004-06-29 2004-06-29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045Y1 true KR200363045Y1 (ko) 2004-09-23

Family

ID=4943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374U KR200363045Y1 (ko) 2004-06-29 2004-06-29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04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95B1 (ko) 2007-05-10 2008-04-14 태성전장주식회사 클램프를 이용해 조임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100900314B1 (ko) 2007-08-14 2009-06-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KR100986436B1 (ko) * 2008-08-07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
US9263810B2 (en) 2013-11-26 2016-02-16 Hyundai Motor Company Clamp for connecting battery termina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95B1 (ko) 2007-05-10 2008-04-14 태성전장주식회사 클램프를 이용해 조임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100900314B1 (ko) 2007-08-14 2009-06-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KR100986436B1 (ko) * 2008-08-07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
US9263810B2 (en) 2013-11-26 2016-02-16 Hyundai Motor Company Clamp for connecting battery termi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1336B2 (en)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power applications
KR200282855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4276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550605B1 (ko) 전주용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근가구조
KR100736696B1 (ko) 모서리 연결구
KR20150076761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WO2007049852A3 (en) Anchor for orthodontics
KR200363045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071002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2003187783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US5310365A (en) Terminal connecting device
KR200444240Y1 (ko) 배터리 터미널
KR200459463Y1 (ko) 축전지용 터미널
RU59897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токопровод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белей
KR200382916Y1 (ko) 전압용 방진 스프링
KR100554003B1 (ko) 탄성교량받침
KR200454931Y1 (ko)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KR20140005699U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N211107857U (zh) 一种卡式踏板用转换器快速调整装置
CN212377066U (zh) 组合弹簧螺丝
CN212486105U (zh) 一种用于接触电气部件的电气接头
CN220470451U (zh) 一种永不松动的螺栓组件
US20060009087A1 (en) Radial screw connec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wire
CN214196878U (zh) 矩形管连接件
KR200382487Y1 (ko) 배선용 인장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