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696B1 - 모서리 연결구 - Google Patents

모서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696B1
KR100736696B1 KR1020060111955A KR20060111955A KR100736696B1 KR 100736696 B1 KR100736696 B1 KR 100736696B1 KR 1020060111955 A KR1020060111955 A KR 1020060111955A KR 20060111955 A KR20060111955 A KR 20060111955A KR 100736696 B1 KR100736696 B1 KR 10073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uter plate
vertical frame
corner connector
inse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이경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상 filed Critical 이경상
Priority to KR1020060111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 F16B2012/145Corne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연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모서리 연결구는 중공의 수직 프레임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용접으로 마운팅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외측판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쌍의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대향하는 수평 프레임면 및 상기 외측판에 대향하면서 관통공에 대응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는 외측판면을 일체로 구비하는 사다리꼴 상자 형상을 갖는 인서트 블록과, 상기 외측판의 관통공을 통해 인서트 블록의 나사구멍에 체결되어 외측판과 인서트 블록을 일체로 결속하는 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는, 사다리꼴 상자 형상을 갖는 인서트 블록에 의해 과도한 조립력이나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지지 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실시가 가능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프레임, 모서리, 연결, 결합, 강성

Description

모서리 연결구{Frame Connector}
도 1은 일반적인 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A"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A"부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연결구의 적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 프레임
3,5 : 수평 프레임
10 : 모서리 연결구
11 : 외측판
13 : 나사부재
15 : 인서트 블록
본 발명은 구조물의 모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구조물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모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조, 철재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는 구조 물의 구조를 보면,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 프레임의 양측에 90°각도로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이 연결된 모서리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서리는 수직 및 수평 프레임과 같은 다른 유닛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 부분이기 때문에 이들의 견고한 결합여부는 곧바로 안정적인 구조물로 제작 되었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모서리를 이루는 수직 및 수평 프레임 상호 간의 결합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 사용된 방법은 T자 형상의 금속 판체를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결합된 모서리 부분의 바깥쪽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T자형 판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구조물의 상하유동에는 어느 정도 구조물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는 하였으나, 좌우 요동에 대해서는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했다. 그 이유는 T자형의 경우 판체 형태이기 때문에 모서리의 바깥쪽 면에 결합되었을 경우 좌우 요동에 대해서는 비교적 민감하게 움직여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0-0358940호를 통해 개선된 모서리 연결구를 출원 등록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모서리 연결구는 내부 중공형태 제작되어 수직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및 이 수직 프레임의 측면에 수평 상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모서리를 형성함에 있어서, 양단이 각각 상기 수평 프레임들의 단부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판재형의 부재로 된 내측판과, 양단이 각각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외측판 그리고 상기 내측판 및 상기 외측판을 상호 압박된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볼트가 구비되는 구성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들이 좌우요동 및 상하요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모서리 연결구는 내측판의 구조가 취약하여 과도한 조립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또는 프레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단점으로 인해 전체적인 지지 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측판의 간소한 구조 변경을 통해 프레임에 대한 지지 강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외력에 대한 안정적인 형태 유지를 보장하는 모서리 연결구를 제공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연결구는, 중공의 수직 프레임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용접으로 마운팅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외측판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쌍의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대향하는 수평 프레임면 및 상기 외측판에 대향하면서 관통공에 대응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는 외측판면을 일체로 구비하는 사다리꼴 상자 형상을 갖는 인서트 블록과; 상기 외측판의 관통공을 통해 인서트 블록의 나사구멍에 체결되어 외측판과 인서트 블록을 일체로 결속하는 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나사구멍은 외측판면을 버링 가공하여 버링부를 돌출시키고 그 내주면에 나사가공을 하여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이 연결되는 측면에 수평 프레임이 끼움되는 거치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나사부재는 2~5개로 구성되 고, 이들 나사부재에 대응되게 상기 외측판의 관통공과 인서트 블록의 나사구멍 그리고 수직 프레임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서리 연결구(10)는 침대(b) 등과 같은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A)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은 통상 수직된 상태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과, 이 수직 프레임(1)의 양측면으로 90°의 각도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3,5)이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이때의 상기 수직 프레임(1)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 즉, 중공의 관 형상으로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A"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A"부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연결구의 적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서리 연결구(10)는 크게 외측판(11)과 인서트 블록(15) 그리고 나사부재(13)로 구성된다.
외측판(11)은 상기 수직 프레임(1)의 양측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3,5)에 양단이 각각 용접으로 마운팅되고 중앙부에 관통공(11a)이 형성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외측판(11)은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판재형의 부재로 제공되며 후술할 인서트 블록(15)과 함께 나사부재(13)로 결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1)과 한쌍의 수평 프레임(3,5)을 구조적으로 결합 상태가 되게 유지한다.
인서트 블록(15)은 상기 수직 프레임(1)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사다리꼴 상자 형상 즉, 사다리꼴 형태의 캡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이러한 인서트 블록(15)은 상기 수직 프레임(1)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3,5)의 단부에 대향하는 수평 프레임면(15h)을 형성하고, 이들 한쌍의 수평 프레임면(15h) 사이에는 대략 45°의 각도로 외측판면(15v)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판면(15v)은 그 중앙측에 상기 외측판(11)의 관통공(11a)에 대응되는 나사구멍(15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구멍(15a)은 외측판(11)을 버링 가공하여 버링부(15')를 돌출 형성시키고, 이 버링부(15')의 내주면에 나사가공을 하여 성형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나사가공 방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사부재(13)는 상술한 외측판(11)의 관통공(11a)을 통해 인서트 블록(15)의 나사구멍(15a)에 체결되어 상기 외측판(11)과 인서트 블록(15)을 일체로 결속하는 부재로서, 통상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프레임(1)은 수평 프레임(3,5)에 연결되는 측면에 수평 프레임(3,5)의 단부가 끼움되는 거치홈(1')을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성을 개선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1)은 상술한 나사부재(13)가 내측에 위치한 인서트 블록(15)의 나사구멍(15a)에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외측판(11)의 관통공(11a)에 대응되는 관통홀(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1a)과 관통홀(1a) 그리고 나사구멍(15a)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며, 상기 관통공(11a)과 관통홀(1a)은 나사부재(13)가 삽입 통과될 수 잇을 정도의 내경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나사부재(13)는 단일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결합력을 높이 기 위하여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5개 내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나사부재(13)에 대응되게 상기 외측판(11)의 관통공(11a)과 상기 인서트 블록(15)의 나사구멍(15a) 그리고 수직 프레임(1)의 관통홀(1a)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서리 연결구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 프레임(1)의 양측에 한쌍의 수평 프레임(3,5)을 90°도로 배치시킨다. 그리고, 외측판(11)의 양단을 상기 수직 프레임(1)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수평 프레임(3,5)에 각각 용접으로 마운팅하여 접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1)의 내측에 인서트 블록(15)을 삽입하되, 이때의 인서트 블록(15)은 외측판면(15v)이 상기 외측판(11)과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판(11)의 일측에서 나사부재(13)의 일단을 관통공(11a)과 관통홀(1a)을 삽입 통과시켜 그 선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1)의 내측에 위치한 인서트 블록(15)의 나사구멍(15a)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나사부재(13)가 나사구멍(15a)에 완전하게 체결되면 상기 외측판(11)과 인서트 블록(15)은 나사부재(13)에 의해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직 프레임(1)과 수평 프레임(3,5)에 대한 결합력을 생성하게 된다.
즉, 나사부재(13)의 조여지는 힘은 외측판(11)을 통해 수평 프레임(3,5)으로 분산되어 작용하게 되고, 이렇게 분산된 힘에 의해 수직 프레임(1)에 단부가 접촉된 수평 프레임(3,5)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인서트 블록(15)은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상자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의해 과도한 조립력에 의해 수평 프레임면(15h)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높은 지지 강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서트 블록(15)은 상기 외측판(11)의 대향하는 면인 외측판면(15v)에 나사구멍(15a)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구성이므로 상기 나사부재(13)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너트 등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조립성이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모서리 연결구는, 사다리꼴 상자 형상을 갖는 인서트 블록에 의해 과도한 조립력이나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지지 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실시가 가능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중공의 수직 프레임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용접으로 마운팅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외측판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쌍의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대향하는 수평 프레임면 및 상기 외측판에 대향하면서 관통공에 대응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는 외측판면을 일체로 구비하는 사다리꼴 상자 형상을 갖는 인서트 블록과;
    상기 외측판의 관통공을 통해 인서트 블록의 나사구멍에 체결되어 외측판과 인서트 블록을 일체로 결속하는 나사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구멍은,
    상기 외측판면을 버링 가공하여 버링부를 돌출시키고 그 내주면에 나사가공을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평 프레임이 연결되는 측면에 수평 프레임이 끼움되는 거치홈이 일체 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재가 내부로 통과될 수 있게 외측판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는 2~5개로 구성되고, 이들 나사부재에 대응되게 상기 외측판의 관통공과 인서트 블록의 나사구멍 그리고 수직 프레임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연결구.
KR1020060111955A 2006-11-14 2006-11-14 모서리 연결구 KR100736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55A KR100736696B1 (ko) 2006-11-14 2006-11-14 모서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55A KR100736696B1 (ko) 2006-11-14 2006-11-14 모서리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696B1 true KR100736696B1 (ko) 2007-07-09

Family

ID=3850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955A KR100736696B1 (ko) 2006-11-14 2006-11-14 모서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69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10B1 (ko) 2009-09-22 2010-08-23 (주)캠퍼스라인 모서리 연결구
KR100979499B1 (ko) * 2009-07-22 2010-09-01 영남강철 주식회사 측판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KR101022411B1 (ko) 2010-12-14 2011-03-15 주식회사 진성기업 내구성이 향상된 학생용 침대
KR101108697B1 (ko) 2011-09-29 2012-01-25 주식회사 코아스 결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KR200471003Y1 (ko) 2012-04-10 2014-01-28 조민수 조립식 탁자에 구비된 개선형 모서리 연결구
KR101383869B1 (ko) 2014-01-08 2014-04-17 오금애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KR101440042B1 (ko) 2014-03-14 2014-09-24 (주)캠퍼스라인 가구 하부프레임
KR200476737Y1 (ko) * 2013-04-08 2015-03-26 남정화 조립식 탁자의 프레임 연결구
KR102068974B1 (ko) * 2019-06-14 2020-01-22 (주)캠퍼스라인 모서리부 결합장치
KR102092858B1 (ko) 2019-06-11 2020-03-24 주식회사 주경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736Y1 (ko) 2002-01-24 2002-04-18 조귀태 조립이 간편한 침대프레임
KR20030016343A (ko) * 2003-01-23 2003-02-26 이경화 침대 후드의 마무리커버
KR200358940Y1 (ko) 2004-05-25 2004-08-11 이경상 모서리 연결구
KR100594614B1 (ko) 2003-03-21 2006-07-03 김태일 침대용 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736Y1 (ko) 2002-01-24 2002-04-18 조귀태 조립이 간편한 침대프레임
KR20030016343A (ko) * 2003-01-23 2003-02-26 이경화 침대 후드의 마무리커버
KR100594614B1 (ko) 2003-03-21 2006-07-03 김태일 침대용 다리
KR200358940Y1 (ko) 2004-05-25 2004-08-11 이경상 모서리 연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99B1 (ko) * 2009-07-22 2010-09-01 영남강철 주식회사 측판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KR100977210B1 (ko) 2009-09-22 2010-08-23 (주)캠퍼스라인 모서리 연결구
KR101022411B1 (ko) 2010-12-14 2011-03-15 주식회사 진성기업 내구성이 향상된 학생용 침대
KR101108697B1 (ko) 2011-09-29 2012-01-25 주식회사 코아스 결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KR200471003Y1 (ko) 2012-04-10 2014-01-28 조민수 조립식 탁자에 구비된 개선형 모서리 연결구
KR200476737Y1 (ko) * 2013-04-08 2015-03-26 남정화 조립식 탁자의 프레임 연결구
KR101383869B1 (ko) 2014-01-08 2014-04-17 오금애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KR101440042B1 (ko) 2014-03-14 2014-09-24 (주)캠퍼스라인 가구 하부프레임
KR102092858B1 (ko) 2019-06-11 2020-03-24 주식회사 주경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102068974B1 (ko) * 2019-06-14 2020-01-22 (주)캠퍼스라인 모서리부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696B1 (ko) 모서리 연결구
JP6118206B2 (ja) ナット圧入保持構造
JP2006329305A (ja) コーナー継手及び金属フレーム組立体
JP2012067557A (j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及び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の連結構造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JP3138733U (ja) 一体成形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太陽電池モジュールフレーム
JP4380224B2 (ja) 鉄筋結合金具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JP4960166B2 (ja) 引き寄せ金物
KR200358940Y1 (ko) 모서리 연결구
KR200394536Y1 (ko) 에어필터 고정프레임
JP2006329306A (ja) ねじ連結装置及び金属フレーム組立体
JP4707544B2 (ja) 構造材の結合構造
KR101525008B1 (ko) 프로파일용 고정구
KR20190001060U (ko)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CN214424836U (zh) 一种面板的连接结构
CN220621631U (zh) 一种门扇及其横框连接结构
JP2005185600A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KR200456392Y1 (ko) 광고판 프레임
JP3100484U (ja) 締結部材
JP2010229720A (ja) 建具
KR200281207Y1 (ko) 현관도어 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200401191Y1 (ko) 창틀 체결구조
JP2002280770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縦フレーム
KR200368449Y1 (ko) 책상의 다리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