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314B1 -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 Google Patents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314B1
KR100900314B1 KR1020070081872A KR20070081872A KR100900314B1 KR 100900314 B1 KR100900314 B1 KR 100900314B1 KR 1020070081872 A KR1020070081872 A KR 1020070081872A KR 20070081872 A KR20070081872 A KR 20070081872A KR 100900314 B1 KR100900314 B1 KR 10090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rotrusion
battery
battery terminal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258A (ko
Inventor
박찬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008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3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단자를 조이기 위한 조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단자가 배터리의 전극에 고정할 때 주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조임부재를 조일 수 있는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터리의 전극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개구된 각 단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부의 개구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조임부와, 상기 조임부의 개구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조임부재;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조임부재를 조이기 위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에는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내측으로 상기 안내돌기와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 전극, 배터리 단자, 조임부, 다각도

Description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Battery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Angle Changed Variously}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밧데리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와 조임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2 : 전극
10 : 결합부재 11 : 삽입부
12 : 관통홀 13 : 고정부
15 : 돌출부 16 : 안내돌기
20 : 조임부재 21 : 조임부
22 : 걸림돌기 23 : 체결부
24 : 체결홀 30 : 체결부재
31 : 체결볼트 33 : 체결너트
100 : 배터리 단자
본 발명은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단자를 조이기 위한 조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단자가 배터리의 전극에 고정할 때 주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조임부재를 조일 수 있는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많은 전기장치가 있으며 이들 전기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발전기가 구비된다. 특히, 배터리는 기관의 가동시와 발전기에서 발전량이 부족할 때 또는 점화, 조명,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이용되어진다.
이러한 배터리의 전극에 전원을 각 전기장치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된다. 이때, 각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링 하네스를 배터리에 연결하기 위해서 배터리 단자가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공개특허 제10-2004-0058517호(출원일:2002년 12월 27일 "밧데리 터미널 구조")에 따르면, 밧데리 터미널 단자와 결착되는 접속링(2)과, 상기 접속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밧데리의 전원을 차량내의 전기장치로 연결하는 케이블(9)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 단자 결착부(3)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링(2)은 밧데리 터미널 단자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측 중앙부에 원형의 공간부(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와 연결되어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개구부(5)가 형성되 며, 상부와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이중구조의 접속링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개구부(5)에서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오고, 그 측방향에 조임부재가 결착되는 결착홈(7)이 형성된 접속링 본체 조임부(6)를 포함하는 밧데리 터미널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밧데리 터미널 구조에서는 결착부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결착홈에 결착되는 조임부재가 한 방향에서만 체결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엔진룸과 같이 각종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 설치되는 밧데리 터미널 단자에 밧데리 터미널을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결합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자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랐다. 이러한 결합의 어려움은 자동차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생산공정의 로스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단자를 조이기 위한 조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단자가 배터리의 전극에 고정할 때 주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조임부재를 조일 수 있는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터리의 전극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개구된 각 단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부의 개구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조임부와, 상기 조임부의 개구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조임부재;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조임부재를 조이기 위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에는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내측으로 상기 안내돌기와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사시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와 조임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체결이 가 능한 배터리 단자(100)는 배터리(101)의 전극(10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0)와 결합부재(10)를 조여주는 조임부재(20) 및 체결부재(30)로 이루어진다.
결합부재(10)는 와이어링 하네스(103)가 연결되는 고정부(13)와, 고정부(13)와 일체로 형성되며 배터리(101)의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전극(102)이 삽입되는 삽입부(11) 및 고정부(13)와 대향되는 삽입부(11)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5)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부(13)의 중심부에는 고정볼트(14)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고정볼트(14)에 와이어링 하네스(103)가 그 단부에 터미널(104)이 결착된 상태로 고정너트(17)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또한, 삽입부(11)는 그 내측 중앙부에 배터리(101)의 전극(102)이 삽입되는 관통홀(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2)은 그 일측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2)의 개구부는 고정부(13)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는 삽입부(11)의 개구된 각 단부에서 고정부(13)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15)는 삽입부(11)의 개구부 양측으로 개구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5)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5)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돌기(16)는 돌출부(15)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돌출부(15)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부재(20)는 결합부재(10)의 돌출부(15)를 조이기 위한 것으로 돌출부(15)에 결합되는 조임부(21)와, 조임부(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부(23)로 구성된다.
이때, 조임부(21)는 길이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임부(21)의 일측에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22)는 조임부(21)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조임부재(20)의 조임부(21)와 결합부재(10)의 돌출부(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가 안내돌기(16)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임부재(20)가 결합부재(10)의 돌출부(15)에서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22)가 안내돌기(16)들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조임부재(20)를 돌출부(15)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23)는 조임부(21)의 개구된 각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23)는 조임부(21)의 개구부 양측으로 개구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23)에는 각각 체결홀(24)이 형성된다. 체결홀(24)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0)는 조임부재(20)의 체결홀(24)에 결합되어 조임부재(20)를 조이기 위한 것으로서, 각 체결부(23)에 형성된 체결홀(2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31)와, 체결볼트(31)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33)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단자의 결합 및 작용을 설명한다.
배터리 단자의 결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0)의 고정부(13)에 형성된 고정볼트(14)에 와이어링 하네스(103)의 단부에 결착된 터미널(104)을 끼우고 고정너트(17)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103)가 결합부재(10)와 단단히 결합된다.
이후, 결합부재(10)의 돌출부(15)에 조임부재(20)를 결합시킨다. 이때, 조임부재(20)의 걸림돌기(22)가 돌출부(15)의 안내돌기(16)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임부재(20)는 결합부재(10)의 돌출부(15)에서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고 돌출부(15)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각도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체결볼트(31)를 조임부재(20)의 각 체결부(23)에 형성된 체결홀(24)을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체결홀(24)을 관통하여 돌출된 체결볼트(31)에 체결너트(33)를 결합한다.
이후, 결합부재(10)를 배터리의 전극에 결합한다. 이때, 배터리(101)의 전극(102)은 결합부재(10)의 관통홀(12)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너트(33)를 회전시키면 체결부(23)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조임부(21)의 직경이 줄어든다. 이와 함께, 결합부재(10)의 돌출부(15)에 간격이 좁혀지게되면서 관통홀(12)의 직경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10)가 배터리(101)의 전극(102)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 단자(100)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재(20)가 체결부재(30)의 체결이 용이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4a 는 조임부재(20)를 45°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조임부재(20)를 90°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시된 각도 이외에 조임부재(20)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에 따르면, 배터리 단자를 조이기 위한 조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 단자가 배터리의 전극에 고정할 때 주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조임부재를 조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와이어링 하네스가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터리의 전극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개구된 각 단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부의 개구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조임부와, 상기 조임부의 개구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조임부재;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조임부재를 조이기 위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에는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내측으로 상기 안내돌기와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3. 삭제
KR1020070081872A 2007-08-14 2007-08-14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KR10090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72A KR100900314B1 (ko) 2007-08-14 2007-08-14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72A KR100900314B1 (ko) 2007-08-14 2007-08-14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58A KR20090017258A (ko) 2009-02-18
KR100900314B1 true KR100900314B1 (ko) 2009-06-02

Family

ID=4068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872A KR100900314B1 (ko) 2007-08-14 2007-08-14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8676A1 (de) 2013-11-26 2015-05-28 Hyundai Motor Company Klemme zum Verbinden von Batterieanschlussklemm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4110B1 (en) * 2017-02-10 2017-09-26 Ema-Us, Inc. Battery post terminal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045Y1 (ko) 2004-06-29 2004-09-23 김환창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15888Y1 (ko) 2006-02-23 2006-05-10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045Y1 (ko) 2004-06-29 2004-09-23 김환창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15888Y1 (ko) 2006-02-23 2006-05-10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8676A1 (de) 2013-11-26 2015-05-28 Hyundai Motor Company Klemme zum Verbinden von Batterieanschlussklemmen
US9263810B2 (en) 2013-11-26 2016-02-16 Hyundai Motor Company Clamp for connecting battery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58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187B2 (en) Chargin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harging connector assembly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JP6638014B2 (ja) 電気接続装置
US8684759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2012252858A (ja) コネクタ
US10637173B2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JP2007159260A (ja) 配線固定部材
US9368919B2 (en) Plug connector comprising a protective conductor bridge
KR100900314B1 (ko) 다각도로 체결이 가능한 배터리 단자
US6793534B2 (en) Power distribution outlet with fuse
JP4560011B2 (ja) 電流センサーを備えた電源回路構造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6261121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08040A (ja) 電気接続箱
KR100700045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GB2374987A (en) Cable terminal for battery post
JP6530984B2 (ja) 配線ユニット
KR20090017141A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US6817907B2 (en) Power distribution outlet
KR20043110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1744660B1 (ko) 컷아우트스위치의 상하 접속부 배전선로 연결체
JP2014040862A (ja) 締結固定具とこれを用いた電源接続構造
JP6464137B2 (ja) 電気接続箱
CN111817069A (zh) 一种插头
JP7311410B2 (ja) 電気接続箱
KR20100053918A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