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931Y1 -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931Y1
KR200454931Y1 KR2020080014154U KR20080014154U KR200454931Y1 KR 200454931 Y1 KR200454931 Y1 KR 200454931Y1 KR 2020080014154 U KR2020080014154 U KR 2020080014154U KR 20080014154 U KR20080014154 U KR 20080014154U KR 200454931 Y1 KR200454931 Y1 KR 200454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oor
fastening
hand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538U (ko
Inventor
권영길
Original Assignee
권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길 filed Critical 권영길
Priority to KR2020080014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93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 형태의 도어 양측면에 장착되는 한쌍의 도어용 손잡이에 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 손잡이와 도어를 서로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원형의 밴드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밴드고정부를 절개하여 손잡이에 압착 결합되게 하거나, 별도의 탄성부재가 손잡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고정부재와 손잡이의 고정부가 밴드형 고정부의 압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은 나사 체결에 의한 손잡이의 단면손실이 전혀 없어 해당 결합부의 취약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손잡이와 고정부재 간에 작용하는 도어의 중량에 대한 집중하중 및 부하를 분산시켜 결합 및 연결부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 및 고정부재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어, 손잡이, 고정부재, 체결공, 체결볼트, 밀착수단, 밴드고정부

Description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Door knob improved in fixing structure}
본 고안은 여닫이 형태의 도어 양측면에 장착되는 한쌍의 도어용 손잡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체로 된 손잡이를 도어로부터 이격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에 원형의 고정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밴드고정부는 이격 조립되거나 밀착부재를 통해 원형의 손잡이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므로, 잦은 사용과 하중을 받는 도어 손잡이의 고정부가 느슨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 유리 등으로 된 여닫이 도어에는 상기의 여닫이 도어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수직 원통형의 기둥을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도어의 양측면에 대향 고정 설치하는 것인데, 상기의 손잡이와 고정부재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기한 바와 같이 도어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도, 서로 대향하는 고정부재를 서로 나사 체결하여 도어의 양측면에 손잡이가 자연스럽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 손잡이 및 그 고정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어(100)의 양측부에는 수직의 손잡이(110)(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손잡이(110)(110')는 별도의 고정부재(120)(120')를 통해 도어(100)로부터 이격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고정부재(120)(120') 일측에는 손잡이(110)(110')를 향하여 관통된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120)(120')의 타측에는 한쌍의 고정부재(120)(120')를 서로 나사 체결하기 위한 삽입공(122)과 나사공(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쌍의 손잡이(110)(110')에 형성된 체결공(121)을 통해 고정부재(120)(120')를 손잡이(110)(110')에 각기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의 고정부재(120)(120')를 도어(100)의 양면에 맞댄 후 별도의 체결볼트(130)를 통해 상호 간의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용 손잡이의 고정구조는 잦은 반복 사용이 이루어지는 손잡이의 특수성 및 여닫이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인력이나 도어 하중이 손잡이에 집중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설계되지 못하였으므로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도어용 손잡이는 강화 유리로 된 여닫이 도어를 개폐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도어를 통한 출입이 빈번한 경우에는 이와 비례하여 상기 손잡이에 작용하는 하중의 상승이나 인력의 빈도가 증가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체결볼트 만으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 고정구조는 물리적인 강성이 극히 취약함은 물론 잦은 사용으로 인해 체결볼트가 느슨해지거나 풀리면서 고정부재의 파손 및 강화 유리로 만들어진 도어의 파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강화 유리 등으로 만들어진 여닫이 문은 비교적 고중량체이고 이와 같은 여닫이 문에 금속재 등의 손잡이와 고정부재 등이 장착되므로 상기의 손잡이 및 고정부재에는 집중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결국 해당 고정부위의 취약 파손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손잡이 및 고정부재의 사용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원통형 손잡이와 도어를 서로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원형의 밴드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밴드고정부를 절개하여 손잡이에 압착 결합되게 하거나, 별도의 탄성부재가 손잡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밴드형 고정부를 통해 손잡이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도어의 개폐시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이 밴드형 고정부를 통해 분산되게 하여 손잡이와 도어는 물론 고정부재의 취약 파손이 예방되게 하므로 이들의 사용수명이 크게 연장되는 특징을 갖는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쌍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도어의 양측에 손잡이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의 고정부재에는 서로 대향의 체결공과 나사공을 각기 형성하여, 일측 고정부재의 체결공으로 삽입되어 타측 고정부재의 나사공에 결합되는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도어의 양측으로 고정부재가 밀착 고정되게 하며,
상기의 고정부재에는 수직의 손잡이가 삽입되게 한 밴드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밴드고정부의 밀착수단을 통해 고정부재와 손잡이가 서로 고정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부재와 손잡이의 고정부가 밴드형 고정부의 압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은 나사 체결에 의한 손잡이의 단면손실이 전혀 없어 해당 결합부의 취약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손잡이와 고정부재 간에 작용하는 도어의 중량에 대한 집중하중 및 부하를 분산시켜 결합 및 연결부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 및 고정부재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손잡이 결합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손잡이 결합구조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손잡이는 별도의 고정부재(10)(10')를 통해 도어(20)의 양측에 고정되어 여닫이 도어의 경우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10)(10')에 의해 장착된 손잡이(30)(30')를 파지하여 상기의 도어(20)를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의 고정부재(10)(10')는 전기한 바와 같이 강화유리 등으로 된 도어(20)와 수직의 봉 형태로 된 손잡이(30)(30')를 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쌍의 고정부재(10)(10') 일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체결공(11)과 나사공(12)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체결볼트(40)를 통해 한쌍의 고정부재(10)(10')가 도어(20)의 양면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즉, 도어(20)의 양면에 고정부재(10)(10')를 각기 대향 밀착시킨 상태에서 일측 고정부재(10)의 체결공(11)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40)가 도어(20)를 관통하여 타측 고정부재(10')의 나사공(12)으로 체결되게 함으로써, 이들 분리상태의 고정부재(10)(10')가 서로 견고하게 대응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0)(10')에는 상기의 손잡이(30)(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고정부(13)(13')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밴드고정부(13)(13')는 평면상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경은 손잡이(30)(30')의 외경보다 근소하게 큰 형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밴드고정부(13)(13')를 통해 손잡이(30)(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고정부(13)(13')에 형성된 밀착수단(50)을 통해 밴드고정부(13)(13')와 손잡이(30)(30')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밀착수단(50)은 밴드고정부(13)(13')를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된 양측단에 고정돌출부(14)(14')를 각각 외향으로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돌출부(14)(14')에는 삽입공(15)과 체결나사공(16)을 각각 형성하여 별도의 밀착볼트(60)를 상기의 삽입공(15)에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나사공(16)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 이격된 상태의 고정돌출부(14)(14')가 서로 근접하면서 밴드고정부(13)(13')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결국 밀착볼트(60)의 회전에 따라 상기의 밴드고정부(13)(13')와 손잡이(30)(30')는 견고한 고정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0)(10')는 단일의 손잡이(30)(30')에 대하여 상,하로 이격하여 적어도 2개소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비교적 넓은 압착 면적을 갖는 밴드고정부(13)(13')에 의해 손잡이(30)(30') 외면을 감싸듯 고정하므로 손잡이(30)(30')에 대한 고정력이 크게 상승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30)(30')에 의한 도어(20)의 개폐작용시 고정부재(10)(10')와 손잡이(30)(30') 간의 연결부에 작용하던 집중하중이나 부하가 밴드고정부(13)(13')를 통해 분산되므로 취약파손이나 체결력이 약화 또는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밴드고정부(13)(13')에 형성되는 밀착수단(50)을 달리 형성한 것인데,
상기의 밴드고정부(13)(13')에는 일측으로 외향 돌출되는 보강돌출부(17)를 형성하고, 상기의 보강돌출부(17)에는 횡방향의 압착나사공(18)을 형성하며, 상기 의 압착나사공(18) 내부에는 탄성부재(19)를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압착볼트(19')를 압착나사공(18)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의 밴드고정부(13)(13') 내측으로 손잡이(30)(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의 압착볼트(19')를 회전시켜 압착볼트(19')가 손잡이(30)(30')를 향하여 전진되게 하면 압착나사공(18) 내의 탄성부재(19)가 손잡이(30)(30')와 가압 밀착되면서 밴드고정부(13)(13') 내면과 손잡이(30)(30') 외면과의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압찰볼트(19')를 조여주는 작업만으로도 손잡이(30)(30')의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짐은 물론 밴드고정부(13)(13')의 내면을 이용하여 손잡이(30)(30')를 밀착 고정시키므로 고정력의 향상은 물론 집중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0)(10')는 손잡이(30)(30')와의 직접적인 나사 체결방식이 아닌 밀착수단(50)에 의한 면접촉 고정방식을 갖게 되므로 상기의 손잡이(30)(30')를 고정부재(10)(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유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지점에 다수의 고정부재(10)(10')를 복수로 설치하여 이들에 의해 손잡이(30)(30')의 더욱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용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도어용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손잡이 결합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손잡이 결합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손잡이 결합구조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고정부재 11 : 체결공
12 : 나사공 13,13' : 밴드고정부
14,14' : 고정돌출부 15 : 삽입공
16 : 체결나사공 17 : 보강돌출부
18 : 압착나사공 19 : 탄성부재
19' : 압착볼트
20 : 도어
30,30' : 손잡이
40 : 체결볼트
50 : 밀착수단
60 : 밀착볼트

Claims (3)

  1. 한쌍의 고정부재(10)(10')를 이용하여 도어(20)의 양측에 손잡이(30)(3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의 고정부재(10)(10')에는 서로 대향의 체결공(11)과 나사공(12)을 각기 형성하여, 일측 고정부재(10)의 체결공(11)으로 삽입되어 타측 고정부재(10')의 나사공(12)에 결합되는 별도의 체결볼트(40)에 의해 도어(20)의 양측으로 고정부재(10)(10')가 밀착 고정되게 한 도어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부재(10)(10')에는 수직의 손잡이(30)(30')가 삽입되게 한 밴드고정부(13)(13')를 형성하여, 상기 밴드고정부(13)(13')의 밀착수단(50)은 밴드고정부(13)(13')를 절단하여 그 절단 단부에 고정돌출부(14)(14')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출부(14)(14')에는 삽입공(15)과 체결나사공(16)을 각기 형성하여 별도의 밀착볼트(60)를 상기 체결나사공(16)에 결합함에 따라 내경 축소되는 밴드고정부(13)(13')에 의해 손잡이(30)(3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밴드고정부(13)(13')의 밀착수단(50)은, 평면상 원형의 밴드고정부(13)(13') 일측으로 보강돌출부(17)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돌출부(17)에는 압착나사공(18)을 형성하여, 상기의 압착나사공(18)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9)가 상기 압착나사공(18)에 나사 결합되는 압착볼트(19')의 회전을 통해 밴드고정부(13)(13') 내의 손잡이(30)(30')와 가압 밀착되며 고정부재(10)(10')와 손잡이(30)(3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KR2020080014154U 2008-10-24 2008-10-24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KR200454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54U KR200454931Y1 (ko) 2008-10-24 2008-10-24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54U KR200454931Y1 (ko) 2008-10-24 2008-10-24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38U KR20100004538U (ko) 2010-05-04
KR200454931Y1 true KR200454931Y1 (ko) 2011-08-04

Family

ID=4419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154U KR200454931Y1 (ko) 2008-10-24 2008-10-24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9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716B1 (ko) * 2021-07-05 2022-03-15 (주)파인 손잡이 연결수단
KR102583642B1 (ko) * 2021-07-05 2023-09-27 정영호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6952U (ko) * 1979-06-06 1980-12-18
JPH0530372U (ja) * 1991-09-24 1993-04-20 英昭 石附 ドアーのノブに合体する簡易取り付け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6952U (ko) * 1979-06-06 1980-12-18
JPH0530372U (ja) * 1991-09-24 1993-04-20 英昭 石附 ドアーのノブに合体する簡易取り付け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38U (ko) 201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735B1 (en) Sucker-type suspension structure
AU2016218510B2 (en) Pipe clamp
KR100736696B1 (ko) 모서리 연결구
US4753137A (en) Hand tool, such as a sledgehammer, with replaceable head
KR200454931Y1 (ko) 개선된 고정구조를 갖는 도어용 손잡이
AU2015314158B2 (en) Nut for a clamping mechanism of a vulcanizing press, clamping mechanism, vulcanizing press, and support device for components of a vulcanizing press
US20080313853A1 (en) Handle with insert
US7036403B2 (en) Articulated wrench
US6626307B1 (en) Detachable coat hanger
US20060137143A1 (en) Door push bar structure
KR200391188Y1 (ko) 볼팅이 용이한 와셔볼트의 와셔 구조
KR100820541B1 (ko) 체결용 보스
KR101251496B1 (ko) 연료 탱크 프레임 세트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KR20130072488A (ko) 풀림방지용 볼팅구조
KR100686618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363045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331763Y1 (ko)
KR200394536Y1 (ko) 에어필터 고정프레임
KR200285253Y1 (ko) 콘크리트 형틀용 세퍼레이터
KR20110053569A (ko) 중자를 이용한 주조공법을 통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퍼 맨홀커버
KR101629660B1 (ko) 유리고정용 앵커
KR101167771B1 (ko) 구조물 체결용 클립
JP2006138365A (ja) 回り止めバネ長板及び回り止めバネボルト
KR101402836B1 (ko) 복합재 구조물 결합용 볼트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