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167Y1 -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167Y1
KR200359167Y1 KR20-2004-0012740U KR20040012740U KR200359167Y1 KR 200359167 Y1 KR200359167 Y1 KR 200359167Y1 KR 20040012740 U KR20040012740 U KR 20040012740U KR 200359167 Y1 KR200359167 Y1 KR 200359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heating
rice cooker
curved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우
Original Assignee
이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우 filed Critical 이형우
Priority to KR20-2004-0012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1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온/오프 스위치와 취사 및 보온표시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밥솥본체와, 밥솥본체의 상부에 개폐가 자유롭게 조립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밥솥본체의 내부 바닥측에 전열선이 매설되어 있고 또 중심부에는 작동스위치를 수용하는 스위치작동구멍이 뚫어져 있는 가열판과, 상기 밥솥본체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사용기로 구성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취사용기는, 거의 수평을 이루는 완만한 곡면상으로 된 바닥면과 단면이 원형으로 된 원통부 사이를 곡면상으로 경사진 단면을 가지는 곡면둘레부가 일체로 이어주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판은, 상기 취사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지지부와, 상기 취사용기의 곡면둘레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전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열선이 매설된 형성되어 상기 가열판의 가열부가 취사용기의 저부에 형성된 곡면둘레부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Electric rice cooker having ceramic container}
본 고안은 밥의 맛과 색상이 변질되지 않도록 밥을 장시간동안 보온할 수 있게 하는 도자기재질로 된 취사용기와, 도기제 취사용기로 취사를 가능하게 하는 취사용기의 구조 및 취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판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된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밥솥본체의 내부 중심에는 전열선이 매설된 가열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판의 중심에는 취사시에는 온(on)작동되었다가 취사가 완료되는 시점에 이르러서는 설정된 고온에 의해 자동으로 오프(off)되는 작동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취사용기는 내면에는 테프론이 코팅되어 있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기밥솥은 취사용기가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 가열판을 밥솥본체의 내부 중심에 형성하여 알루미늄제 취사용기의 바닥 중심부를 가열하게 되더라도 취사가 잘 이루어지게 되지만, 알루미늄제 취사용기는 취사가 완료된 밥을 장시간동안 보온상태로 놔두게 되면 밥의 맛이 떨어지고 특히 밥이 변색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전기밥솥으로 지은 밥을 전기밥솥에 장시간 동안 보온상태로 보관하게 되더라도 밥의 맛과 색상을 변질시키지 않는 도자기재질로 취사용기를 구성하는 한편, 열전도율이 좋지 않은 도자기로도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취사용기 및 가열판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된 전기밥솥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가열용기가 도자기 또는 강화유리 재질로 된 전기식 가열기의 가열판으로도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온/오프 스위치와 취사 및 보온표시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밥솥본체와, 밥솥본체의 상부에 개폐가 자유롭게 조립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밥솥본체의 내부 바닥측에 전열선이 매설되어 있고 또 중심부에는 작동스위치를 수용하는 스위치작동구멍이 뚫어져 있는 가열판과, 상기 밥솥본체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사용기로 구성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취사용기는, 거의 수평을 이루는 완만한 곡면상으로 된 바닥면과 단면이 원형으로 된 원통부 사이를 곡면상으로 경사진 단면을 가지는 곡면둘레부가 일체로 이어주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판은, 상기 취사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지지부와, 상기 취사용기의 곡면둘레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전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열선이 매설된 형성되어 상기 가열판의 가열부가 취사용기의 저부에 형성된 곡면둘레부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취사용기는 게르마늄 성분이 소량 포함된 도자기 재질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가열판의 가열부에는 전열선이 일정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기밥솥의 내부에 가열판과 취사용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가열판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도기제 취사용기의 사시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밥솥본체 11 : 작동스위치
2 : 뚜껑 3 : 가열판
31 : 스위치작동구멍 32 : 바닥지지부
33 : 가열부 4 : 취사용기
41 : 안착단층부 42 : 원통부
43 : 바닥부 44 : 곡면둘레부
5 : 전열선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기밥솥의 내부에 가열판과 취사용기의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인데, 밥솥본체(1)와 뚜껑(2)은 점선표시로 는 표시하였으며, 밥솥본체(1)의 내부 바닥에 고정 설치 및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판(3)과 취사용기(4)는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가열판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열판(3)의 중심부분에는 밥솥본체(1)의 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스위치(11)가 상방을 향해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스위치작동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스위치작동구멍(31) 주위에 형성된 바닥지지부(32)는 취사용기(4)의 저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거의 수평을 이루는 상태의 아주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닥지지부(32)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열부(33)는 상향을 향해 곡면상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판(3)의 가열부(33)에는 전열선(5)이 매설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도자제 취사용기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취사용기(4)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게르마늄이 소량(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이내)을 포함하는 도자기 재질로 성형하되, 상단에는 밥솥본체(1)의 상단에 걸쳐놓을 수 있도록 하는 안착단층부(41)가 마련된 원통부(42)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 바닥면(43) 및 곡면상으로 경사진 채 상기 원통부(42)와 바닥면(43)을 일체로 이어주는 곡면둘레부(44)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밥솥본체(1)의 내부로 취사용기(4)를 삽입하게 되면 그 바닥면(43)은 작동스위치(11)를 탄력적으로 눌러주면서 가열판(3)의 바닥지지부(32)에 긴밀하게밀착되며, 또한 취사용기(4)의 곡면둘레부(44)도 가열판(3)의 가열부(33)에 밀착지지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가열판(3)의 가열부(33)와 이 가열부에 밀착지지되는 취사용기(4)의 곡면둘레부(44)는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접촉면적이 확대된 상태이다.
따라서 밥솥본체(1)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온/오프 스위치(도시 생략)를 온조작하여 상기 가열부(33)에 매설된 전열선(5)에 전원인 인가되어 가열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열선(5)에 의하여 가열된 가열부(33)가 상기 취사용기(4)의 곡면둘레부(44)를 가열하게 되는데, 상기 곡면둘레부(44)는 취사용기(4)의 원통부(42)와 바닥면(43)을 이어주는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곡면둘레부(44)에 가열된 열은 원통부(42)와 바닥면(43)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취사용기(4) 내부 전체를 고르게 가열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취사용기(4)에 담긴 쌀은 균일한 가열온도로 가열되는 상태가 되어 취사가 잘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만약, 도자기재질로 된 취사용기의 바닥면을 가열하게 될 경우에는 열이 취사용기의 내부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지 못하고 바닥면에 인접한 부분은 밥이 제대로 될 수 있는 반면에 바닥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은 설익은 밥이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의 취사용기(4)는 원통부(42)와 바닥면(43)을 이어주는 중간부분에 형성된 곡면둘레부(44)를 가열하게 되므로서 가열된 열이 원통부(42)와 바닥면(43)으로의 열전도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며, 이에 의하여 취사용기(4)를 열전도율이 낮은 도자기 재질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도 취사용기에 담긴 쌀을 균일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게 되어 잘 익은 밥을 취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도자기 재질은 일단 가열되면 그 가열된 열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취사가 완료된 밥의 보온성이 뛰어나며, 나아가 도자기 재질은 자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게는 성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게르마늄성분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중금속물질, 발암물질을 분해시키는 전자파가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고 있는바, 이러한 원적선방출 및 전자파방출 효과에 의해 밥을 보온할 때 산화방지 등의 효과가 있어 밥을 오랫동안 보온상태로 보관하게 되더라도 밥의 맛과 색상이 변질되지 않고 취사 당시의 상태 그대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한편, 본 고안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가열판(3)은 도자기 또는 내열유리로 된 가열용기가 장착되는 전기식 가열기 예를 들어, 약탕기 및 홍삼제조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밥솥의 취사용기를 도자기재질로 형성함에 있어 저부의 둘레부분을 곡면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취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판의 가열부는 취사용기의 저부에 형성된 곡면둘레부를 가열토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취사용기의 곡면둘레부로 가열된 열이 취사용기의 원통부와 바닥부를 동시에 가열시킴과 동시에 취사용기 내부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여 밥이 잘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도자가 재질로 된 취사용기는 일단 가열된 후에도 오랫동안 열으로 보유하고 있게 되어 밥의 보온성이 우수하고 또한 취사용기 자체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서 밥의 맛을 좋게 하며, 산화방지효과가 있어 밥을 보온상태로 오랫동안 보관하게 되더라도 밥을 취사 당시의 맛과 색상을 띠도록 보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온/오프 스위치와 취사 및 보온표시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밥솥본체와, 밥솥본체의 상부에 개폐가 자유롭게 조립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밥솥본체의 내부 바닥측에 전열선이 매설되어 있고 또 중심부에는 작동스위치를 수용하는 스위치작동구멍이 뚫어져 있는 가열판과, 상기 밥솥본체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사용기로 구성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취사용기는, 거의 수평을 이루는 완만한 곡면상으로 된 바닥면과 단면이 원형으로 된 원통부 사이를 곡면상으로 경사진 단면을 가지는 곡면둘레부가 일체로 이어주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판은, 상기 취사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지지부와, 상기 취사용기의 곡면둘레부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전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열선이 매설된 형성되어 상기 가열판의 가열부가 취사용기의 저부에 형성된 곡면둘레부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용기는 게르마늄 성분이 소량 포함된 도자기 재질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의 가열부에는 전열선이 일정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KR20-2004-0012740U 2004-05-07 2004-05-07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KR200359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740U KR200359167Y1 (ko) 2004-05-07 2004-05-07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740U KR200359167Y1 (ko) 2004-05-07 2004-05-07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167Y1 true KR200359167Y1 (ko) 2004-08-21

Family

ID=4943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740U KR200359167Y1 (ko) 2004-05-07 2004-05-07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1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061B1 (ko) 2006-04-11 2007-02-06 (주)복돼지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과 그 취사방법 및 도자기를이용한 전기홍삼 중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061B1 (ko) 2006-04-11 2007-02-06 (주)복돼지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과 그 취사방법 및 도자기를이용한 전기홍삼 중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292B1 (ko)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
CN101969822B (zh) 便携式烹饪装置
KR101539900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090017682A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EP2392242B1 (en) Two-way heating cooker
JP2007260323A (ja) 電気炊飯器
KR100928392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0495152B1 (ko) 가열 조리기
KR100588152B1 (ko) 조리장치
JP2004065553A (ja) 加熱調理器
KR200359167Y1 (ko) 도기제 취사용기 전기밥솥
US2434166A (en) Tent office
JPH11267018A (ja) 加熱調理器具
KR101043790B1 (ko) 구이기
KR200182399Y1 (ko) 전기밥솥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JP6197167B2 (ja) 電気炊飯器
KR20080006689U (ko) 할로겐세라믹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200166371Y1 (ko) 구이기
CN204813364U (zh) 煮饭器
JPH0316585Y2 (ko)
JP4036265B2 (ja) 加熱調理器
KR200185547Y1 (ko) 고기 구이기 열판
JP2000205573A (ja) オ―ブント―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