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723Y1 - 방진형 스위치 - Google Patents

방진형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723Y1
KR200358723Y1 KR20-2004-0013721U KR20040013721U KR200358723Y1 KR 200358723 Y1 KR200358723 Y1 KR 200358723Y1 KR 20040013721 U KR20040013721 U KR 20040013721U KR 200358723 Y1 KR200358723 Y1 KR 200358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switch
foreign matter
cover
swit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일
채기병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주)
채기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주), 채기병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04-0013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01H2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름버튼 하측으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물질에 의한 누름버튼의 작동불능을 방지하고, 누름버튼이 세게 눌려져 스위치커버 내로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방진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한 쌍의 접점이 내설된 스위치몸체(10)와, 이 스위치몸체(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스위치몸체(10) 내부의 접점을 개폐하는 누름버튼(12)과, 상기 스위치몸체(10) 전면을 커버하되 상기 누름버튼(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스위치커버(14)로 구성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커버(14)에서 누름버튼(12)과 면하는 단부에는 누름버튼(12) 내벽면(16)으로 연장되는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형 스위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진형 스위치{Dustproof switch}
본 고안은 방진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침입되어 누름버튼의 조작을 방해하거나, 누름버튼이 세게 눌려져 스위치커버 내로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방진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전등이나 기타 전기기기를 온오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부분 옥내의 벽면에 매입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매입형 스위치의 일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는 적어도 한 쌍의 접점이 내설된 스위치몸체(1)와, 이 스위치몸체(1)의 전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스위치몸체(1) 내부의 접점을 개폐하는 누름버튼(3)과, 상기 스위치몸체(1) 전면을 커버하되 상기 누름버튼(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위치몸체(1)에 결합되는 스위치커버(5)로 구성된다.
이러한 매입형 스위치에서, 누름버튼(3)이 자유로이 회동 조작되기 위해서는, 스위치커버(5)의 단부와 누름버튼(3)의 단부가 불가피하게 이격 배치될 수밖에 없다. 즉, 도 2의 단면도에서 보여지듯이, 스위치커버(5)와 누름버튼(3) 사이에 소정의 갭(7)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 갭(7)을 통해 이물질(9)이 침입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물질(9)이 누름버튼(3) 하측에 끼어 누름버튼(3)의 조작을 방해함으로써 스위치가 작동불능 상태로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과도한 세기로 누름버튼(3)을 누를 경우, 누름버튼(3)이 회동반경을 벗어나 스위치커버(5)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작불능 상태로 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버튼 하측으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물질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불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름버튼이 회동반경 이상으로 조작되어 스위치커버 내로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방진형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매입형 스위치의 일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매입형 스위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진형 스위치의 일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형 스위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위치몸체 12. 누름버튼
14. 스위치커버 16. 내벽면
20. 이물질 침입방지턱 22. 연장부
24. 임계부 26. 차단벽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한 쌍의 접점이 내설된 스위치몸체(10)와, 이 스위치몸체(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스위치몸체(10) 내부의 접점을 개폐하는 누름버튼(12)과, 상기 스위치몸체(10) 전면을 커버하되 상기 누름버튼(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스위치커버(14)로 구성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커버(14)에서 누름버튼(12)과 면하는 단부에는 누름버튼(12) 내벽면(16)으로 연장되는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형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턱(20)은 스위치커버(14)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2)와, 이 연장부(22)에서 누름버튼(12)측으로 절곡되며 누름버튼(12)이 회동반경 이상으로 조작되는 것을 차단하는 임계부(24)와, 이 임계부(24)에서 누름버튼(12) 내벽면(16)으로 입설되어 이물질이 누름버튼(12) 하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형 스위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진형 스위치의 일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형 스위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방진형 스위치는 누름버튼(12)과 면하는 스위치커버(14)의 단부에서 누름버튼(12)의 내벽면(16)으로 연장되는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은 스위치커버(14)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2)와, 이 연장부(22)에서 누름버튼(12)측으로 절곡되어 누름버튼(12)의 회동반경 임계점 역할을 하는 임계부(24)와, 이 임계부(24)에서 누름버튼(12) 내벽면(16)을 향하여 입설되어 이물질이 누름버튼(12) 하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26)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방진형 스위치는 스위치몸체(10), 누름버튼(12), 스위치커버(14)로 구성되며, 여기서, 스위치몸체(10)와누름버튼(12)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누름버튼(12)이 하나만 구비된 매입형 스위치를 예시하여 도시하였지만, 누름버튼(12)의 수는 더 증가할 수도 있으며, 본 고안은 노출형 스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커버(14)는 스위치몸체(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개구된 중앙부를 통해 누름버튼(12)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스위치커버(14)에서 누름버튼(12)과 면하는 단부에는 누름버튼(12)의 내벽면(16)으로 연장되는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이 구비된다. 이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은 스위치커버(14)와 누름버튼(12) 사이에 존재하는 갭(18)을 통해 누름버튼(12) 하측으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은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에서와 같이, 스위치커버(14)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22)와, 이 연장부(22)에서 누름버튼(12)측으로 절곡된 임계부(24)와, 이 임계부(24)에서 누름버튼(12)의 내벽면(16)측으로 입설되는 차단벽(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22)는 누름버튼(12)이 눌려졌을때 누름버튼(12)의 저면이 위치되는 깊이만큼 소정길이 하향 연장되는 것으로서, 이 연장부(22)에서 누름버튼(12)측으로 절곡되는 임계부(24)는 누름버튼(12)이 회동반경이 이상으로 조작되는 것을 차단하는 임계점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벽(26)은 상기 임계부(24)에서 누름버튼(12)의 내벽면(16)을 향해 입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갭(18)을 통해 들어온 이물질이 누름버튼(12) 하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해 누름버튼(12)의 조작이 방해되는 일이 발생하지않는다.
한편, 상기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은 바람직하게 도 3의 사시도에서 보여지듯이, 스위치커버(14)의 개구된 중앙부에서 각각 모서리가 절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이 누름버튼(12)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또한, 누름버튼(12)이 복수개 구비된 스위치의 경우,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은 각각의 누름버튼(12)에 대응되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방진형 스위치는 스위치커버(14)의 내측 단부, 즉 누름버튼(12)과 면하는 단부에서 누름버튼(12) 내벽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이 구비되어, 스위치커버(14)와 누름버튼(12) 사이의 갭(18)으로 들어온 이물질이 누름버튼(12) 하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해 누름버튼(12)이 조작불능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 침입방지턱(20)에는 누름버튼(12)이 회동반경 이상으로 조작되는 것을 차단하는 임계부(24)가 마련되어, 누름버튼(12)이 세게 눌려져도 이 임계부(24)가 누름버튼(12)의 회동반경 임계점 역할을 하므로, 누름버튼(12)이 스위치커버(14) 내로 삽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위치커버의 내측 단부에 이물질 침입방지턱이 구비되어 누름버튼 하측으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누름버튼이 작동불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 침입방지턱에 마련된 임계부가 누름버튼의 회동반경 임계점 역할을 함으로써, 누름버튼이 세게 눌려져도 스위치커버 내로 삽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방진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적어도 한 쌍의 접점이 내설된 스위치몸체(10)와, 이 스위치몸체(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스위치몸체(10) 내부의 접점을 개폐하는 누름버튼(12)과, 상기 스위치몸체(10) 전면을 커버하되 상기 누름버튼(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스위치커버(14)로 구성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커버(14)에서 누름버튼(12)과 면하는 단부에는 누름버튼(12) 내벽면(16)으로 연장되는 이물질 침입방지턱(20)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형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턱(20)은 스위치커버(14)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2)와, 이 연장부(22)에서 누름버튼(12)측으로 절곡되며 누름버튼(12)이 회동반경 이상으로 조작되는 것을 차단하는 임계부(24)와, 이 임계부(24)에서 누름버튼(12) 내벽면(16)으로 입설되어 이물질이 누름버튼(12) 하측으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형 스위치.
KR20-2004-0013721U 2004-05-18 2004-05-18 방진형 스위치 KR200358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21U KR200358723Y1 (ko) 2004-05-18 2004-05-18 방진형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21U KR200358723Y1 (ko) 2004-05-18 2004-05-18 방진형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723Y1 true KR200358723Y1 (ko) 2004-08-12

Family

ID=4943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721U KR200358723Y1 (ko) 2004-05-18 2004-05-18 방진형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7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7494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312739B2 (ja) スイッチ装置
EP0565959A1 (en) A keypad
KR101704836B1 (ko) 푸시 스위치
US6512827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60087500A1 (en) Electric-circuit-containing box
JP2003257278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0358723Y1 (ko) 방진형 스위치
JP4508957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5521045A (ja) 照準装置を備えた距離測定装置
JP2005143138A (ja) カバーの防滴合わせ構造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KR100747221B1 (ko) 키버튼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메탈돔 시트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890005147Y1 (ko) 시이소 스위치
GB2307367A (en) A pager with a cover for a display and keys wherein one key protrudes through the cover when closed
JPH08148056A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2002014735A (ja) スイッチ操作装置
US7012205B1 (en) Bezel assembly
CN107539230B (zh) 电子装置以及开关防水机构
KR0140661B1 (ko) 푸시버튼 스위치
JP2002108538A (ja) シートキーボード
JPH06314528A (ja) 防水型押釦スイッチ
JPH1027052A (ja) 防塵防水型キーボード
JP3176257B2 (ja) 小型スイッチの防塵構造
KR20029537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