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382Y1 -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 Google Patents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382Y1
KR200358382Y1 KR20-2004-0012635U KR20040012635U KR200358382Y1 KR 200358382 Y1 KR200358382 Y1 KR 200358382Y1 KR 20040012635 U KR20040012635 U KR 20040012635U KR 200358382 Y1 KR200358382 Y1 KR 200358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tram line
movable bracket
lin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읍
최주상
호명재
김희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한국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한국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2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100)에 관한 것으로서,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이루는 구성부재에 전차선을 지지하는 곡선당김금구를 고정시키는 곡선당김지지금구에 있어서, 구성부재(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120)과, 곡선당김금구(90)가 결합되는 결합부(111)가 하측에 형성되며, 전차선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착탈수단(120)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 몸체(1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전차선 사이의 수평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가동브래킷이 일정 간격 이내로 설치되더라도 두 개의 전차선간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전차선 사이의 수평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가동브래킷이 일정 간격 이내로 설치되더라도 두 개의 전차선간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의 압상력에 의해 상승하는 곡선당김금구의 압상여유를 확보함으로써 곡선당김금구가 상승시 진동방지파이프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곡선당김금구와 팬터그래프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WIRE SUPPORT BRACKET OF A MOVABLE BRACKET FOR A ELECTRIC RAILWAY}
본 고안은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전차선간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에서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선로를 전차선로라 하며, 이러한 전차선로는 그 집전구조상으로 가공식과 제 3 궤조식(第三軌條式)으로 구분된다.
가공식은 동선을 궤조 상부에 가설하여 그 밑에서 팬터그래프(pantagraph)에 의하여 집전하며, 제 3 궤조식은 가선이 없는 방식으로 지하철 등에서 제 2의 급전레일을 노면 위에 설치하고 집전편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가공식 전차선로의 경우 전차선로는 그 양측 또는 일측에 전철주가 설치되며, 전철주의 상측에 전기공급선인 급전선이 설치되며, 급전선의 하측에는 가동브래킷에 의해 조가선과 전기차의 집전장치인 팬터그래프에 접촉되는 전차선이 각각 지지된다.
가동브래킷은 조가선과 전차선의 위치가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며,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동브래킷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은 전철주(2)에 일단이 설치됨과 아울러 절연애자(11)가 연결되는 주파이프(10)와, 전철주(2)에 일단이 설치됨과 아울러 절연애자(21)가 연결되며, 끝단이 주파이프(10)에 결합되는 경사파이프(20)와, 주파이프(10)상에 설치되어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조가선고정금구(30)와, 연결금구(40,50)에 의해 양측이 경사파이프(20)와 주파이프(10)에 각각 연결되는 진동방지파이프(60)와, 주파이프(10), 경사파이프(20) 및 진동방지파이프(60)를 연결시키는 연결각재(70)와, 진동방지파이프(60)에 고정되는 곡선당김지지금구(80)와, 곡선당김지지금구(80)에 고정됨과 아울러 끝단에 전차선을 고정시키는 곡선당김금구(90)를 포함한다.
주파이프(10)는 절연애자(11)가 일렬로 연결되고, 일단에 구비되는 브래킷지지금구(12)로 전철주(2)에 설치되며, 경사파이프(20)의 끝단이 힌지결합된다.
경사파이프(20)는 절연애자(21)가 일렬로 연결되고, 일단에 구비되는 브래킷지지금구(22)로 전철주(2)에 설치되며, 끝단이 주파이프(10)에 힌지결합됨으로써 경사지게 설치된다.
조가선고정금구(30)는 하측에 형성되는 부착부(31)가 주파이프(10)상에 형성되는 나사홀(13)에 볼트(B)로 체결됨으로써 주파이프(10)상에 설치되며, 상측에 구비되는 지지부(32)에 조가선이 지지되어 고정된다.
진동방지파이프(60)는 경사파이프(20)에 결합되는 연결금구(40)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주파이프(10)의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금구(50)에 타단이 고정됨으로써 경사파이프(20)의 하측에 수평되게 설치되며, 연결각재(70)에 의해 볼트(B)로 주파이프(10) 및 경사파이프(20)에 연결된다.
곡선당김지지금구(80)는 상단이 진동방지파이프(60)에 결합되며, 하단에 곡선당김금구(90)가 고정되며, 곡선당김금구(90)는 끝단에 구비되는 전차선고정부(91)에 전차선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은 주파이프(10)상에서 조가선고정금구(30)의 위치를 변경함과 아울러 진동방지파이프(60)상에서 곡선당김지지금구(8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가선과 전차선을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전차선로 설계에서 전원공급 구분을 위한 에어섹션(Air Section)을 2경간 평행 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구간중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주축전철주(2a)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중간전철주(2b)마다 두 개의 가동브래킷(1,1')이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팬터그래프(4)가 접촉하는 두 개의 전차선(3,3')을 고정 및 지지한다.
이 때, 두 개의 전차선(3,3')은 서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는데, 이격거리에는 어느 방향으로든 절대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전기적 이격거리와, 지지점에서 편위로 주어지는 두 개의 전차선(3,3')사이의 수평거리가 있다.
그러므로, 전철주(2a,2b), 특히 주축전철주(2a)에 두 개의 가동브래킷(1,1')을 나란하게 설치하여 두 개의 전차선(3,3')을 고정 및 지지할 경우 두 개의 전차선(3,3')사이의 수평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주축전철주(2a)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가동브래킷(1,1')사이의 간격은 제한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전철주(2a,2b), 특히 주축전철주(2a)에 설치되는 어느 하나의 가동브래킷(1)의 곡선당김지지금구(80)와 곡선당김금구(90)와 다른 하나의 가동브래킷(1')의 곡선당김지지금구(80')와 곡선당김금구(90')사이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되는 전차선(3,3')사이의 수평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가동브래킷(1,1')이 일정 간격 이내로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서로 인접하는 전차선(3,3')을 비롯하여 곡선당김지지금구(80,80')와 곡선당김금구(90,90')간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가동브래킷(1,1')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전기차의 팬터그래프(4)의 압상력에 의해 곡선당김금구(90)가 상승시 곡선당김지지금구(80)는 곡선당김금구(90)의 압상여유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곡선당김금구(90)가 상승시 진동방지파이프(60)와 충돌하게 되어 곡선당김금구(90)는 물론 팬터그래프(4)에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전차선 사이의 수평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가동브래킷이 일정 간격 이내로 설치되더라도 두 개의 전차선간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의 압상력에 의해 상승하는 곡선당김금구의 압상여유를 확보함으로써 곡선당김금구가 상승시 진동방지파이프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곡선당김금구와 팬터그래프의 손상을 방지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이루는 구성부재에 전차선을 지지하는 곡선당김금구를 고정시키는 곡선당김지지금구에 있어서, 구성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과, 곡선당김금구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하측에 형성되며, 전차선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착탈수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2경간 평행방식의 에어섹션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2경간 평행방식의 에어섹션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사용시 주축전철주 장주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사용시 주축전철주 장주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몸체 111 : 결합부
112 : 스톱퍼 120 : 착탈수단
121 : 클램프 122 : 텐션부
123 : 조임볼트 124,125 : 조임너트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100)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을 이루는구성부재에 전차선을 지지하는 곡선당김금구(9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구성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120)과, 착탈수단(120)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 몸체(110)를 포함한다.
착탈수단(120)은 본 실시예에서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을 이루는 구성부재로서 진동방지파이프(6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경사파이프(20)(도 1에 도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착탈수단(120)은 구성부재, 즉 진동방지파이프(6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클램프(121)와, 클램프(121)의 입구측(121a)이 벌어지도록 클램프(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텐션부(122)와, 클램프(121)에 진동방지파이프(60)가 고정되도록 클램프(121)의 입구측(121a)을 조이는 조임부재(123,124,125)를 포함한다. 따라서, 텐션부(122)의 텐션에 의해 클램프(121)의 입구측(121a)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클램프(121)로 진동방지파이프(60)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한다.
조임부재(123,124,125)는 서로 나사결합됨으로써 클램프(121)의 입구측(121a)을 조이는 조임볼트(123)와 조임너트(124,125)로 이루어진다. 조임볼트(123)는 도 5에서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 두 개로 이루어지며, 조임너트(124,125)는 조임볼트(123)로부터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임볼트(123) 각각에 두 개씩 나사결합된다. 또한, 조임볼트(123)는 끝단에 조임너트(124,125)가 풀려서 이탈됨을 억제하도록 너트이탈방지핀(126)이 끼워진다.
몸체(110)는 착탈수단(120)의 클램프(121)에 용접으로 부착되어 하방으로 형성되되, 전차선(3)(도 2 및 도 3에 도시)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착탈수단(120)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다. 몸체(110)는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α)가 30°∼ 60°임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110)가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α)가 30°미만일 경우 거의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전차선(3)(도 2 및 도 3에 도시)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며, 몸체(110)가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α)가 60°를 초과하는 경우 전기차의 팬터그래프(4)(도 2에 도시)의 압상력에 의해 상승하는 곡선당김금구(90)의 압상 여유가 불충분하게 된다.
몸체(110)는 전차선(3)(도 2 및 도 3에 도시)을 전차선고정부(91)에 의해 지지하는 곡선당김금구(90)가 볼트(113)와 너트(114)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결합부(111)가 하측에 형성되며, 힌지결합된 곡선당김금구(90)가 전기차의 팬터그래프(4)(도 2에 도시)의 압상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일측에 스톱퍼(112)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110)는 결합부(11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탈수단(120)의 중심까지의 수직 높이(H)가 200mm ∼ 26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110)의 결합부(111) 중심으로부터 착탈수단(120) 중심까지의 수직 높이(H)가 200mm 미만인 경우 곡선당김금구(90)가 전기차의 팬터그래프(4)(도 2에 도시)에 의해 압상시 압상여유를 충분하게 확보하기 곤란하게 되며, 260mm를 초과하는 경우 전기차의 레일상에서 전차선이 확보해야 하는 높이인 5200mm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볼트(113)는 너트(114)가 풀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단에 너트이탈방지핀(115)이 끼워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을 이루는 구성부재인 진동방지파이프(60)에 설치시 클램프(121)의 입구측(121a)이 텐션부(122)의 텐션에 의해 벌어지게 됨으로써 클램프(121)로의 진동방지파이프(6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이와 반대로 클램프(121)로부터 진동방지파이프(60)를 분리하기 위해 조임볼트(123)로부터 조임너트(124,125)를 풀면 텐션부(122)의 텐션에 의해 클램프(121)의 입구측(121a)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진동방지파이프(60)를 클램프(12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조임볼트(123) 및 조임너트(124,125)의 나사결합에 의해 진동방지파이프(60)를 클램프(121)내에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몸체(110)는 착탈수단(120)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몸체(110)의 결합부(111)에 힌지결합된 곡선당김금구(90)에 의해 지지되는 전차선(3)(도 2 및 도 3에 도시)의 전기적 이격거리가 연장되도록 하여 전차선(3)(도 2 및 도 3에 도시)의 전기적 이격거리의 확보를 용이하도록 하며,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되는 전차선(3,3')(도 2 및 도 3에 도시)사이의 수평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동브래킷(1)과 이에 인접하여 나란하게 설치되는 다른 가동브래킷(미도시)이 일정 간격 이내로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가동브래킷(1, 다른 하나 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전차선(3,3')(도 2 및 도 3에 도시)을 비롯하여 곡선당김지지금구(100,100')와 곡선당김금구(90,90')간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몸체(110)는 수직선과 30°∼ 60°의 각도(α)를 이룸으로써 전차선(3)(도 2 및 도 3에 도시)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는 물론, 전기차의 팬터그래프(4)(도 2에 도시)의 압상력에 의해 상승하는 곡선당김금구(90)의 압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몸체(110)는 결합부(11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탈수단(120)의 중심까지의 수직 높이(H)가 200mm ∼ 260mm이기 때문에 전기차의 팬터그래프(4)(도 2에 도시)의 압상력에 의해 상승하는 곡선당김금구(90)의 압상여유를 확보함으로써 곡선당김금구(90)가 상승시 진동방지파이프(6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곡선당김금구(90)와 팬터그래프(4)(도 2에 도시)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전차선 사이의 수평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가동브래킷이 일정 간격 이내로 설치되더라도 두 개의 전차선간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의 압상력에 의해 상승하는 곡선당김금구의 압상여유를 확보함으로써 곡선당김금구가 상승시 진동방지파이프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곡선당김금구와 팬터그래프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는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전차선 사이의 수평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가동브래킷이 일정 간격 이내로 설치되더라도 두 개의 전차선간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의 압상력에 의해상승하는 곡선당김금구의 압상여유를 확보함으로써 곡선당김금구가 상승시 진동방지파이프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곡선당김금구와 팬터그래프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이루는 구성부재에 전차선을 지지하는 곡선당김금구를 고정시키는 곡선당김지지금구에 있어서,
    상기 구성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과,
    상기 곡선당김금구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차선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수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 몸체
    를 포함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수직선으로부터 30°∼ 60°의 각도를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착탈수단의 중심까지의 수직 높이가 200mm ∼ 260mm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KR20-2004-0012635U 2004-05-06 2004-05-0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KR200358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35U KR200358382Y1 (ko) 2004-05-06 2004-05-0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35U KR200358382Y1 (ko) 2004-05-06 2004-05-0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382Y1 true KR200358382Y1 (ko) 2004-08-06

Family

ID=4943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635U KR200358382Y1 (ko) 2004-05-06 2004-05-0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3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94B1 (ko) * 2007-11-14 2009-12-17 송홍준 전차선로의 곡선당김구용 지지금구
KR200463795Y1 (ko) * 2010-12-14 2012-11-26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전철용 급전선의 가선지지금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94B1 (ko) * 2007-11-14 2009-12-17 송홍준 전차선로의 곡선당김구용 지지금구
KR200463795Y1 (ko) * 2010-12-14 2012-11-26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전철용 급전선의 가선지지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8194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уть, шпала и компоновочный узел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варианты)
KR100938752B1 (ko) 전차선로 균압 드롭퍼
KR200454907Y1 (ko)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KR20180012483A (ko) 진동과 충격의 완충기능을 가진 컨덕터 레일지지 완충장치
CN201663385U (zh) 一种用于安装驱鸟装置的近电作业工具
KR200358382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KR101507428B1 (ko) 철도차량용 차륜 복선유도기
KR200358383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KR200357138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
KR100446462B1 (ko)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KR20130013940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직결합이 가능한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738591B1 (ko) 분기기용 잠금장치
KR101195168B1 (ko) 보호덮개가 구비된 제3궤조 전차선로
KR20080081422A (ko)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KR100920338B1 (ko) 가동 브래킷 홀더
JP4067458B2 (ja) トンネル用剛体電車線装置
KR101558818B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KR102579550B1 (ko) 전차 선로용 급전선 지지앵글 클램프
CN203157760U (zh) 便于安装的刚性悬挂接触网
KR200272317Y1 (ko) 전차선로 순환전류의 장애발생방지용 조가선 절연지지금구
JP2004278266A (ja) Atc信号線支持金具
KR200494542Y1 (ko) 강체전차선용 급전클램프
KR102376386B1 (ko) 강체 전차선용 지지클램프
CN215071570U (zh) 一种用于地铁供电的弓形固线装置
KR200256209Y1 (ko) 전철용 급전선의 지지애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