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818B1 -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 Google Patents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818B1
KR101558818B1 KR1020140139650A KR20140139650A KR101558818B1 KR 101558818 B1 KR101558818 B1 KR 101558818B1 KR 1020140139650 A KR1020140139650 A KR 1020140139650A KR 20140139650 A KR20140139650 A KR 20140139650A KR 101558818 B1 KR101558818 B1 KR 10155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ans
fixing
movable bracket
upper pip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한
김태곤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4013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차선 및 조가선을 지지하는 가동브래키트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 및 조가선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기 위해,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를 상기 가동브래키트를 구성하는 상부파이프에 직접 체결하여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하여, 간편하게 사용가능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는 전주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차선 및 조가선을 지지하되, 상기 전차선 및 조가선의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브래키트에 있어서, 판 형태의 제1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1고정수단; 상기 제1고정수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 상기 제2고정수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3고정수단; 상기 제3고정수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4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차선의 위치 조정 작업 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장선기가 체결되고, 상기 제1몸체, 제2몸체, 제3고정수단 및 제4고정수단 사이에 가동브래키트를 구성하는 상부파이프가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상기 제3고정수단과 제4고정수단은 각각 상기 상부파이프의 지름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Movable bracket adjustment tool for a electric railway}
본 발명은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차선 및 조가선을 지지하는 가동브래키트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 및 조가선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기 위해,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를 상기 가동브래키트를 구성하는 상부파이프에 직접 체결하여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하여, 간편하게 사용가능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인 교통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기철도는, 전기차(전동차)에 전기를 변성하고 공급해 주는 전철변전소와, 전기를 전기차에 공급하는 전차선로와 전차선로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력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 전기차로 구성된다.
전차선로 상에 일정한 높이로 가설되는 전차선에는 전동차의 집진장치 즉, 팬터그래프(PANTOGRAPH)가 접촉되면서 전기차의 전동모터에 전기를 공급해 주는 전기운전방식이 채택되고 있는데, 전기를 공급해 주는 전차선로가선방식은 통상적으로 심플커티너리(Simple CATENARY)가선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전차선로는 전기차의 집진장치에 직접 접촉되는 전차선, 전차선을 궤도 면상에 일정한 높이의 수평상태로 지지해 주는 조가선, 전철변전소로부터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선, 이들을 지지해주는 각종 지지물, 그리고 전기차에 공급되는 전력을 변전소로 되돌려 보내는 귀로선 등으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가동브래키트(10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전주(1)의 상단부에 가동브래키트(100)가 설치되되, 상부파이프(10)의 일단과 주파이프(20)의 일단이 전주(1)에 장착되고, 상기 주파이프(20)의 일측 상부에 상기 상부파이프(10)의 타단(상부파이프 조정봉(10a))이 장착되어 상기 상부파이프(10)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주파이프(20)의 일측 하부에는 조가선 지지금구(61)가 설치되고, 상기 조가선 지지금구(61)에 의해 조가선(60)이 고정된다.
상기 주파이프(20)의 중앙에는 수평파이프(30)가 상기 전주(1)와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파이프(30)의 단부에는 곡선당김금구(52)가 곡선당김금구 지지용 암(51)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곡선당김금구(52)에 의해 전차선(5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차선(50)은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으로, 레일면상으로부터 평균 높이는 5080㎜로 허용 높이는 5060~5140㎜이며, 연속되는 인접 전주(1)에서의 전차선(50) 높이의 차는 ±20㎜이고, 전차선(50)의 궤도 중심면에서의 수평거리인 편위는 200㎜이고, 편위 오차 한계는 ±30㎜로, 전차선(50)의 높이가 기준을 벗어나면 이선현상으로 인한 아크(ARC)가 발생하여 전차선(50)의 마모를 촉진시키고, 전차선(50)의 편위가 기준을 벗어나면 팬터그래프가 전차선(50)에서 벗어나 전차선로 시설물 등을 파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전차선(50)의 높이 및 편위가 기준을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은 온도변화에 의해 신축하면서 높이 및 편위가 변화되므로,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해줘야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의 높이 및 편위 조정을 위하여, 종래에는 먼저 상기 전주(1) 상단에 슬링(70)을 고정시켜주고, 다음으로 상기 주파이프(20)의 단부에 확장기(80)를 설치하며, 다음으로 상기 슬링(70)과 확장기(80) 사이에 장선기(90)를 설치하여 장력을 조정한 후(장력을 줄임), 상기 상부파이프 조정봉(10a)의 고정돌기와 홀을 조절하여 상부파이프(1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작업 방식은 슬링(70)을 설치하기 위해 전주(1)에 직접 승주해야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2명이 작업해야하고, 시간이 오래걸려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6462호에서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138호에서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 중 어느 것도 전차선 및 조가선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공구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6462호(2004.08.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138호(2004.07.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주의 일측에 구비된 가동브래키트에 의해 지지되는 전차선 및 조가선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가동브래키트를 구성하는 상부파이프에 직접 체결하여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간편하게 사용가능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주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차선 및 조가선을 지지하되, 상기 전차선 및 조가선의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브래키트에 있어서, 판 형태의 제1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1고정수단; 상기 제1고정수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 상기 제2고정수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3고정수단; 상기 제3고정수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4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차선의 위치 조정 작업 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장선기가 체결되고, 상기 제1몸체, 제2몸체, 제3고정수단 및 제4고정수단 사이에 가동브래키트를 구성하는 상부파이프가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상기 제3고정수단과 제4고정수단은 각각 상기 상부파이프의 지름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는 전차선 및 조가선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는 작업을 위한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공구로,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기존 작업방법에 비해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1명의 작업자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공정의 개선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주에 승주를 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기존 작업의 위험요소였던 전주에 슬링을 설치하는 작업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차선 및 조가선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는 작업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를 이용하여 전차선 및 조가선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는 작업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가 가동브래키트를 구성하는 상부파이프에 체결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가 가동브래키트를 구성하는 상부파이프에 체결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가동브래키트(100)를 나타내는 예시도로, 전주(1)의 상단부에 가동브래키트(100)가 설치되되, 상부파이프(10)의 일단과 주파이프(20)의 일단이 전주(1)에 장착되고, 상기 주파이프(20)의 일측 상부에 상기 상부파이프(10)의 타단(상부파이프 조정봉(10a))이 장착되어 상기 상부파이프(10)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주파이프(20)의 일측 하부에는 조가선 지지금구(61)가 설치되고, 상기 조가선 지지금구(61)에 의해 조가선(60)이 고정된다.
상기 주파이프(20)의 중앙에는 수평파이프(30)가 상기 전주(1)와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파이프(30)의 단부에는 곡선당김금구(52)가 곡선당김금구 지지용 암(51)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곡선당김금구(52)에 의해 전차선(5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차선(50)은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으로, 레일면상으로부터 평균 높이는 5080㎜로 허용 높이는 5060~5140㎜이며, 연속되는 인접 전주(1)에서의 전차선(50) 높이의 차는 ±20㎜이고, 전차선(50)의 궤도 중심면에서의 수평거리인 편위는 200㎜이고, 편위 오차 한계는 ±30㎜로, 전차선(50)의 높이가 기준을 벗어나면 이선현상으로 인한 아크(ARC)가 발생하여 전차선(50)의 마모를 촉진시키고, 전차선(50)의 편위가 기준을 벗어나면 팬터그래프가 전차선(50)에서 벗어나 전차선로 시설물 등을 파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전차선(50)의 높이 및 편위가 기준을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은 온도변화에 의해 신축하면서 높이 및 편위가 변화되므로,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해줘야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의 높이 및 편위 조정을 위하여, 종래에는 먼저 상기 전주(1) 상단에 슬링(70)을 고정시켜주고, 다음으로 상기 주파이프(20)의 단부에 확장기(80)를 설치하며, 다음으로 상기 슬링(70)과 확장기(80) 사이에 장선기(90)를 설치하여 장력을 조정한 후(장력을 줄임), 상기 상부파이프 조정봉(10a)의 고정돌기와 홀을 조절하여 상부파이프(1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작업 방식은 슬링(70)을 설치하기 위해 전주(1)에 직접 승주해야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2명이 작업해야하고, 시간이 오래걸려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200)를 발명하게 되었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200)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전주(1)에 슬링(70)을 설치하는 작업 대신 조정공구(200)를 상기 상부파이프(10)에 직접 체결하여 장력을 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의 높이 및 편위 조정을 위하여, 조정공구(200)를 상기 상부파이프(10)에 체결한 뒤, 다음으로 상기 주파이프(20)의 단부에 확장기(80)를 설치하며, 다음으로 상기 조정공구(200)와 확장기(80) 사이에 장선기(90)를 설치하여 장력을 조정한 후(장력을 줄임), 상기 상부파이프 조정봉(10a)의 고정돌기와 홀을 조절하여 상부파이프(1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의 높이 및 편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전주(1)에 승주를 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장선기(90)가 설치되는 조정공구(200)와 확장기(8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1명의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정공구(2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판 형태의 제1몸체(210)와, 상기 제1몸체(2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2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몸체(220)와,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1고정수단(230)과, 상기 제1고정수단(23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240)과, 상기 제2고정수단(24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3고정수단(250)과, 상기 제3고정수단(25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4고정수단(2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차선(50)의 위치 조정 작업 시, 상기 제1고정수단(230)은 장선기(90)가 체결되고, 상기 제1몸체(210), 제2몸체(220), 제3고정수단(250) 및 제4고정수단(260) 사이에 상부파이프(10)가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 상기 제3고정수단(250)과 제4고정수단(260)은 각각 상기 상부파이프(10)의 지름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3고정수단(250)은 하부가 원형태인 상기 상부파이프(10)의 상부 형태와 대응되도록 아치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200)와 상기 상부파이프(10) 체결 시 사이각이 40 ~ 50°가 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어 결합력을 높인다.
또한, 상기 제4고정수단(260)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파이프(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와 너트를 분리하여 상기 조정공구(200)를 상기 상부파이프(10)에 체결한 뒤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작업이 끝나면 다시 볼트와 너트를 분리하여 상기 조정공구(200)를 상기 상부파이프(10)로 부터 분리한다. 이로써 작업 시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조정공구(200)가 상기 상부파이프(10)에 체결된 후, 상기 상부파이프(10)의 크기에 맞도록 조정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200)는 상기 제1몸체(210) 또는 제2몸체(220)의 표면에 형광색 테이프가 부착되어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로써,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200)는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기존 작업방법에 비해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공정의 개선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주(1)에 승주를 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기존 작업의 위험요소였던 전주(1)에 슬링(70)을 설치하는 작업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 : 전주
10 : 상부파이프 10a : 상부파이프 조정봉
11 : 상부파이프용 장간애자
20 : 주파이프
21 : 주파이프용 장간애자
30 : 수평파이프
40 : 수평파이프 지지용 현수파이프
50 : 전차선
51 : 곡선당김금구 지지용 암
52 : 곡선당김금구
60 : 조가선
61 : 조가선 지지금구
70 : 슬링
80 : 확장기
90 : 장선기
100 : 가동브래키트
200 : 조정공구
210 : 제1몸체
220 : 제2몸체
230 : 제1고정수단
240 : 제2고정수단
250 : 제3고정수단
260 : 제4고정수단

Claims (5)

  1. 전주(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을 지지하되, 상기 전차선(50) 및 조가선(60)의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브래키트(100)에 있어서,

    판 형태의 제1몸체(210);

    상기 제1몸체(2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2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몸체(220);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1고정수단(230);

    상기 제1고정수단(23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240);

    상기 제2고정수단(24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3고정수단(250);

    상기 제3고정수단(25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제4고정수단(260);을 포함하며,

    상기 전차선(50)의 위치 조정 작업 시, 상기 제1고정수단(230)은 장선기(90)가 체결되고,

    상기 제1몸체(210), 제2몸체(220), 제3고정수단(250) 및 제4고정수단(260) 사이에 가동브래키트(100)를 구성하는 상부파이프(10)가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 상기 제3고정수단(250)과 제4고정수단(260)은 각각 상기 상부파이프(10)의 지름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수단(250)은,
    하부가 원형태인 상기 상부파이프(10)의 상부 형태와 대응되도록 아치형태로 구성되어 결합력을 높이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수단(250)은,
    하부가 아치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200)와 상기 상부파이프(10) 체결 시 사이각이 40 ~ 50°가 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어 결합력을 높이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고정수단(260)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파이프(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200)는,
    상기 제1몸체(210) 또는 제2몸체(220)의 표면에 형광색 테이프가 부착되어 야간에 식별이 용이한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KR1020140139650A 2014-10-16 2014-10-1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KR10155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650A KR101558818B1 (ko) 2014-10-16 2014-10-1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650A KR101558818B1 (ko) 2014-10-16 2014-10-1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818B1 true KR101558818B1 (ko) 2015-10-08

Family

ID=5434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650A KR101558818B1 (ko) 2014-10-16 2014-10-1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7441A (zh) * 2021-11-15 2022-03-08 中铁电气化局集团有限公司 一种简统化斜腕臂的生产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62B1 (ko) 2002-02-02 2004-09-04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JP2013230706A (ja) 2012-04-27 2013-11-14 Nhk Spring Co Ltd 架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62B1 (ko) 2002-02-02 2004-09-04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JP2013230706A (ja) 2012-04-27 2013-11-14 Nhk Spring Co Ltd 架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7441A (zh) * 2021-11-15 2022-03-08 中铁电气化局集团有限公司 一种简统化斜腕臂的生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7691A (zh) 机车底架部件安装方法及其安装座
JP2016160075A (ja) 物品搬送設備
KR101558818B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EP2607148B1 (en) Clamp for suspending a section of a rigid catenary
JP2007196953A (ja) トロリ線の引き止め装置
JP4846478B2 (ja) 隧道内剛体電車線の支持装置
CN202542706U (zh) 一种吊轨的固定调节装置
JP3925782B2 (ja) 隧道内の電車線関連部材の支持装置
KR101507428B1 (ko) 철도차량용 차륜 복선유도기
CN107745656B (zh) 门式钢架厂房接触网悬吊装置及其施工方法
KR20110010940U (ko) 지하철용 전차선 고정장치
KR102295061B1 (ko)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체
CN204096988U (zh) Kbk内置滑触线轨道
CN101648679A (zh) 组合式电动单梁起重机
CN202668069U (zh) 导轨在横梁上的安装装置
CN112376331A (zh) 钢轨伸缩调节器施工支撑装置以及施工系统
KR20030065938A (ko)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CN105480237A (zh) 一种用于地铁电气化架空接触网的接触网作业梯车
JP2009089562A (ja) 平行クレビス
KR200357138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
JP4968911B2 (ja) 隧道内の電車線支持装置
KR200358382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KR20150057549A (ko) 전차선로 이설금구
KR102338633B1 (ko) 탈부착 안전 난간
CN218479566U (zh) 一种钢结构柱的辅助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