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383Y1 -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 Google Patents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383Y1
KR200358383Y1 KR20-2004-0012636U KR20040012636U KR200358383Y1 KR 200358383 Y1 KR200358383 Y1 KR 200358383Y1 KR 20040012636 U KR20040012636 U KR 20040012636U KR 200358383 Y1 KR200358383 Y1 KR 200358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ine
movable bracket
bracket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읍
최주상
호명재
김희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한국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한국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2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주파이프에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조가선고정금구에 있어서, 주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이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가선을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조가선이 처짐에 의해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주파이프상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가선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조가선을 설치시 조가선이 주파이프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가선의 설치작업 및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상에서의 조가선의 위치변경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며, 조가선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가동브래킷에 고정시킴으로써 전차설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BRACKET FOR FIXING A WIRE OF A MOVABLE BRACKET FOR A ELECTRIC RAILWAY}
본 고안은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가선을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조가선이 처짐에 의해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주파이프상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에서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선로를 전차선로라 하며, 이러한 전차선로는 그 집전구조상으로 가공식과 제 3 궤조식(第三軌條式)으로 구분된다.
가공식은 동선을 궤조 상부에 가설하여 그 밑에서 팬터그래프(pantagraph)에 의하여 집전하며, 제 3 궤조식은 가선이 없는 방식으로 지하철 등에서 제 2의 급전레일을 노면 위에 설치하고 집전편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가공식 전차선로의 경우 전차선로는 그 양측 또는 일측에 전철주가 설치되며, 전철주의 상측에 전기공급선인 급전선이 설치되며, 급전선의 하측에는 가동브래킷에 의해 조가선과 전기차의 집전장치인 팬터그래프에 접촉되는 전차선이 각각 지지된다.
가동브래킷은 조가선과 전차선의 위치가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며,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동브래킷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은 전철주(2)에 일단이 설치됨과 아울러 절연애자(11)가 연결되는 주파이프(10)와, 전철주(2)에 일단이 설치됨과 아울러 절연애자(21)가 연결되며, 끝단이 주파이프(10)에 결합되는 경사파이프(20)와, 주파이프(10)상에 설치되어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조가선고정금구(30)와, 연결금구(40,50)에 의해 양측이 경사파이프(20)와 주파이프(10)에 각각 연결되는 진동방지파이프(60)와, 주파이프(10), 경사파이프(20) 및 진동방지파이프(60)를 연결시키는 연결각재(70)와, 진동방지파이프(60)에 고정되는 곡선당김지지금구(80)와, 곡선당김지지금구(80)에 고정됨과 아울러 끝단에 전차선을 고정시키는 곡선당김금구(90)를 포함한다.
주파이프(10)는 절연애자(11)가 일렬로 연결되고, 일단에 구비되는 브래킷지지금구(12)로 전철주(2)에 설치되며, 경사파이프(20)의 끝단이 힌지결합된다.
경사파이프(20)는 절연애자(21)가 일렬로 연결되고, 일단에 구비되는 브래킷지지금구(22)로 전철주(2)에 설치되며, 끝단이 주파이프(10)에 힌지결합됨으로써 경사지게 설치된다.
조가선고정금구(30)는 하측에 형성되는 부착부(31)가 주파이프(10)상에 형성되는 나사홀(13)에 볼트(B)로 체결됨으로써 주파이프(10)상에 설치되며, 상측에 구비되는 지지부(32)에 조가선이 지지되어 고정된다.
진동방지파이프(60)는 경사파이프(20)에 결합되는 연결금구(40)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주파이프(10)의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금구(50)에 타단이 고정됨으로써 경사파이프(20)의 하측에 수평되게 설치되며, 연결각재(70)에 의해 볼트(B)로 주파이프(10) 및 경사파이프(20)에 연결된다.
곡선당김지지금구(80)는 상단이 진동방지파이프(60)에 결합되며, 하단에 곡선당김금구(90)가 고정되며, 곡선당김금구(90)는 끝단에 구비되는 전차선고정부(91)에 전차선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은 주파이프(10)상에서 조가선고정금구(30)의 위치를 변경함과 아울러 진동방지파이프(60)상에서 곡선당김지지금구(8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가선과 전차선을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전차선로 설계에서 전원공급 구분을 위한 에어섹션(Air Section)을 2경간 평행 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브래킷(1,1')을 전철주(2,2')마다 평행하도록 설치하여 팬터그래프(4)(도 3에 미도시)가 접촉하는 두 개의 전차선(3,3')을 각각의 가동브래킷(1,1')에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차선로 설계에서 에어 섹션을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인접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1')의 조가선고정금구(30,30') 각각은 조가선(5,5')을 주파이프(10,10')상에 거의 인접되게 단순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가선(5,5') 각각은 처짐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다른 주파이프(10,10'), 즉 "a" 지점에 각각 접하게 됨으로써 조가선(5,5')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가동브래킷(1,1')에 조가선(5,5')을 설치시 조가선(5,5')이 주파이프(10,10')와의 간섭에 의해 조가선(5,5')의 설치작업 및 가동브래킷(1,1')상에서의 전차선(3,3')이나 조가선(5,5')의 위치변경작업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가동브래킷(1,1')에 조가선(5,5')을 설치시 신속하고도 용이한 설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차설비의 시공성 향상 및 전기적 이격거리 확보가 가능한 조가선고정금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의 해결 및 필요성을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가선을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조가선이 처짐에 의해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주파이프상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가선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조가선을 설치시 조가선이 주파이프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가선의 설치작업 및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상에서의 조가선의 위치변경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며, 조가선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가동브래킷에 고정시킴으로써 전차설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주파이프에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조가선고정금구에 있어서, 주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이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2경간 평행방식의 에어섹션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2경간 평행방식의 에어섹션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2경간 평행방식의 에어섹션에서 두 개의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몸체 111 : 결합부
112 : 이격부 113 : 체결볼트
114 : 체결너트 116 : 중공
120 : 고정수단 121 : 고정볼트
122 : 고정대 123 : 커버
124 : 고정너트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100)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의 주파이프(10)(도 7에 도시)에 조가선(5)(도 7에 도시)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주파이프(10)에 결합됨과 아울러 일정 높이를 가지는 몸체(110)와,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조가선(5)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의 주파이프(10)에 결합되는 결합부(111)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이격부(112)가 형성된다.
결합부(111)는 몸체(110) 하단에 주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아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주파이프(10)상에 다양한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으나, 도 5 및 도 6의 본 실시예에서는 주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나사홀(13)(도 7에 도시)에 체결볼트(113)와 체결너트(114)로 고정되며, 이를 위해 양측에 체결홀(111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111)는 주파이프(10)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두 쌍의 체결볼트(113)와 체결너트(114)에 의해 주파이프(10)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체결볼트(113)로부터 체결너트(114)가 이탈됨을 억제하도록 체결볼트(113) 끝단에 너트이탈방지핀(115)이 삽입 장착된다.
이격부(112)는 조가선(5)을 주파이프(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몸체(110)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이격부(112)는 내측을 중공(116)으로 형성하여 후술하는 고정수단(120)의 고정볼트(121)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고정시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수단(120)은 몸체(110)의 이격부(112) 상단에 결합되어 조가선(5)을 고정시키는데, 조가선(5)과 함께 보조조가선(6)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보조조가선(6)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가선(5)이 지지부위 등 마모에 의해 끊어지기 쉬운 부분에 클램프(7)에 의해 양단이 고정됨으로써 조가선(5)이 끊어지더라도 보조조가선(6)을 통해 전력의 공급 및 전차선을 조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수단(120)은 몸체(110)의 이격부(112)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고정볼트(121)와, 고정볼트(121)에 끼워져서 몸체(110)의 상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조가선(5) 및 보조조가선(6)이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의 안착홈(122a)이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대(122)와, 고정볼트(121)에 끼워져서 고정대(122)의 안착홈(122a)을 덮는 커버(123)와, 고정볼트(121)에 나사결합되어 커버(123)를 고정대(122)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24)를 포함한다.
고정볼트(121)는 몸체(110)의 이격부(112)의 중공(116)을 통해 삽입되어 조임너트(125)에 조여져서 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끝단에 고정너트(124)가 풀려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너트이탈방지핀(126)이 삽입 장착된다. 또한 커버(123)는 하측면에 고정대(122)의 안착홈(122a)과 대응하는 홈(123a)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에 조가선(5)과 보조조가선(6)을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몸체(110)의 결합부(111)를 주파이프(10)상에 위치시킨 후 주파이프(10)상의 복수의 나사홀(13)중 원하는 위치의 나사홀(13)에 두 쌍의 체결볼트(113)와 체결너트(114)로 고정시키고, 조가선(5)과 보조조가선(6)을 각각 고정수단(120)의 고정대(122)의 안착홈(122a)상에 각각 위치시킨 다음 커버(123)로 고정대(122)의 안착홈(122a)을 덮고, 고정너트(124)를 고정볼트(123)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커버(123)를 고정대(122)에 고정시킨다. 이처럼 고정볼트(123)와 고정너트(124)의 조임만으로도 조가선(5)과 보조조가선(6)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여 전차설비의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조가선(5)을 2경간 평행방식에 의해 설치할 경우 두 개의 조가선(5) 각각을 두 개의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1) 각각으로 지지하게 되는데, 이 때,몸체(110)의 이격부(112)에 의해 조가선(5)이 주파이프(10)(도 7에 도시)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어느 정도 처지게 되더라도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미도시)의 주파이프(미도시)상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가선(5)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조가선(5)을 설치시 몸체(110)의 이격부(111)에 의해 주파이프(10)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조가선(5)이 주파이프(10)에 걸리는 등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조가선(5)의 설치작업 및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상에서의 전차선(3)(도 2 및 도 3에 도시) 및 조가선(5)의 위치변경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전차설비의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는 조가선을 2경간 평행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조가선이 처짐에 의해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주파이프상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가선의 전기적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조가선을 설치시 조가선이 주파이프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가선의 설치작업 및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상에서의 조가선의 위치변경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며, 조가선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가동브래킷에 고정시킴으로써 전차설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주파이프에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조가선고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주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이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가선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져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조가선과 상기 조가선에 양단이 고정되는 보조조가선이 각각 위치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볼트에 끼워져서 상기 고정대의 상기 안착홈을 덮는 커버와,
    상기 고정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고정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KR20-2004-0012636U 2004-05-06 2004-05-0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KR200358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36U KR200358383Y1 (ko) 2004-05-06 2004-05-0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36U KR200358383Y1 (ko) 2004-05-06 2004-05-0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383Y1 true KR200358383Y1 (ko) 2004-08-06

Family

ID=4943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636U KR200358383Y1 (ko) 2004-05-06 2004-05-06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3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87B1 (ko) 2009-04-15 2012-04-02 오성기전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87B1 (ko) 2009-04-15 2012-04-02 오성기전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907Y1 (ko)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JP2009511320A (ja) 剛体電車線用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
KR101902361B1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CN202243063U (zh) 刚性悬挂接触网汇流排定位线夹
KR200358383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조가선고정금구
KR101925149B1 (ko) 신축이음장치
KR200358382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KR200357138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
US5810137A (en) Double-beam cut-out section insulator
CN206528368U (zh) 电气化铁路接触网用限位定位装置
KR101810796B1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JP3779149B2 (ja) 剛体電車線
JP4067459B2 (ja) 剛体電車線の終端装置
JP3617301B2 (ja) 車輌の電力供給システム
JP4067458B2 (ja) トンネル用剛体電車線装置
KR101316676B1 (ko) 전차선 보수용 클램핑장치
KR20030065938A (ko)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KR102376386B1 (ko) 강체 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2579550B1 (ko) 전차 선로용 급전선 지지앵글 클램프
KR200282204Y1 (ko) 일체형 가동브래킷
KR20160092200A (ko) 터널브래키트용 암지지금구 및 곡선당김금구
RU127000U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заземления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абеля заземления к рельсам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JP3652040B2 (ja) 吊架線支持装置
KR101216599B1 (ko) 전철 전동차용 급전선의 애자장치
KR100319508B1 (ko) 전선로 가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