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470Y1 -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 Google Patents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470Y1
KR200356470Y1 KR20-2004-0005764U KR20040005764U KR200356470Y1 KR 200356470 Y1 KR200356470 Y1 KR 200356470Y1 KR 20040005764 U KR20040005764 U KR 20040005764U KR 200356470 Y1 KR200356470 Y1 KR 200356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mirror
back mirror
veh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표
Original Assignee
조용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표 filed Critical 조용표
Priority to KR20-2004-0005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백밀러를 프리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백밀러의 크기를 현저히 줄이고,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는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백밀러의 위치에 거울 대신에 삼각기둥 형태로 두면은 투명하고, 한면은 거울과 같이 검게 처리된 프리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에의해서, 백밀러의 크기를 현재의 백밀러의 크기보다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같은 크기로 형성할 경우 시야를 보다 더 확보할 수 있어서,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Rear View Mirror Using the Prism}
본 고안은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자동차의 백밀러를 프리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백밀러의 크기를 현저히 줄일수 있고,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는 프리즘을 이용한차량용 백밀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현대인의 생활에 빼놓을 수 없을 만큼 귀중한 이동 수단이며, 화물의 수송 등으로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 한다. 그러나 자동차에 의한 사고로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하기도하고,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인해서 좁은 골목은 주차장화 되어버려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를 보다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수장치에 대한 요구가 많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쉽게 주차할 수 있는 자동차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특히 자동차에는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백밀러가 구비되어 있는데, 보통의 거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울의 크기를 일정크기로 형성하지 않으면 후방의 상황을 제대로 살펴볼 수 없으므로 그 크기가 적당하게 커야한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백밀러의 크기가 크더라도 사각지대가 생기므로 보조백밀러를 달기도 한다. 이러한 백밀러는 크기가 크기때문에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자동으로 백밀러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늘날과 같이 주차공간이 부족한 상태에서 사람들이 좁은 골목에 주차를 하고 난 후에는 백밀러를 접어두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을 수 있는 백밀러를 구성하기 위해서 제작비가 비싸지는 단점이 있고, 만약 좁은 골목에서 두대의 차량이 서로 지나가야하거나, 주차한 자동차가 많은 좁은 골목을 지나갈 때에는 백밀러를 접고 지나가는데 이럴때에는 자동차의 측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아서 자동차에 흠집을 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 있다. 또, 사각지대에 대한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백밀러를 프리즘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백밀러의 크기를 현재의 백밀러의 크기보다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같은 크기로 형성할 경우 시야를 보다 더 확보할 수 있어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는 백밀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백밀러 및 사각지대 표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의 장착배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의 장착배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밀러케이스 2 : 백밀러보조대
10 : 후방프리즘 11, 21 : 관측면
12,22 : 입사면 15, 25 : 반사면
20 : 전방프리즘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백밀러의 위치에 거울 대신에 삼각기둥 형태로 두면은 투명하고, 한면은 거울과 같이 검게처리된 프리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백밀러는 백밀러케이스(1)의 내부에 삼각형 형태의 투명한 유리로 입사면(12)과 반사면(15) 그리고 관측면(11)이 형성된다.
상기 입사면(12)으로 후방의 상황이 입사되면, 상기 반사면(15)으로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후방 상황을 관측면(11)을 통해서 운전자가 후방의 상황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프리즘의 특성상 좁은 면적으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서, 백밀러의 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크기로 형성하게되면, 시야를 더 많이 확보하면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백밀러는 백밀러보조대(2)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위쪽에는 후방프리즘(1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프리즘(10)의 하단에는 일정각도로 비틀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된 전방프리즘(2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후방프리즘(10)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입사면(12), 반사면(15), 관측면(11)이 형성된 것이고, 전방프리즘(20)에도 역시 입사면(22), 반사면(25), 관측면(21)이 형성되나 그 방향이 후방프리즘(10)과는 다르게 엇갈려 있어서, 전방의 상황이 입사면(22)을 통해서 입사되면, 상기 반사면(25)으로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전방의 상황은 관측면(21)을 통해서 운전자가 살펴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에 의해서, 백밀러의 크기를 현재의 백밀러의 크기보다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같은 크기로 형성할 경우 시야를 보다 더 확보할 수 있어서,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백밀러에 있어서,
    백밀러케이스에 삼각기둥 형태로 두면은 투명하고, 한면은 거울과 같이 검게 처리된 프리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두개의 프리즘을 상하부에 서로다른 각도로 접착제로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KR20-2004-0005764U 2004-03-04 2004-03-04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KR200356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764U KR200356470Y1 (ko) 2004-03-04 2004-03-04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764U KR200356470Y1 (ko) 2004-03-04 2004-03-04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470Y1 true KR200356470Y1 (ko) 2004-07-15

Family

ID=4943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764U KR200356470Y1 (ko) 2004-03-04 2004-03-04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4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8439A (ko) 보조 밀러를 갖는 접을 수 있는 차량 외부 밀러
KR200356470Y1 (ko)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백밀러
US20050099706A1 (en) Driver observation system
KR100552436B1 (ko) 자동차용 뒷유리의 후방시야 확보구조
KR20024849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418021Y1 (ko) 자동차 백미러용 거울
US20060256458A1 (en) Rear view mirror
CN103029627B (zh) 多功能汽车后视镜
CN210337752U (zh) 一种汽车a柱盲区视镜
CN2551513Y (zh) 汽车广角倒车镜
JP2008213592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KR102038514B1 (ko)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미러
CN206664462U (zh) 一种无边框后视镜及汽车后视系统
KR200374560Y1 (ko) 차량용 후측방 사각 미러
KR200164347Y1 (ko) 사각지대가 없는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00285417B1 (ko) 자동차용 미러장치
KR20025879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JP3019361U (ja) 反射鏡
KR0117541Y1 (ko) 자동차용 절첩식 아웃사이드 미러
KR200146067Y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KR200297628Y1 (ko) 사각지대 가시경
KR970005370Y1 (ko)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JP3004719U (ja) 広角アウトサイドミラー
JP5020996B2 (ja) サイド後方死角確認用ミラー
KR20140074054A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