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228Y1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228Y1
KR200356228Y1 KR20-2004-0011350U KR20040011350U KR200356228Y1 KR 200356228 Y1 KR200356228 Y1 KR 200356228Y1 KR 20040011350 U KR20040011350 U KR 20040011350U KR 200356228 Y1 KR200356228 Y1 KR 200356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brake shoe
sector gea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수
Original Assignee
박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수 filed Critical 박중수
Priority to KR20-2004-0011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2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 제어이상에 의해 과속이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운행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과 브레이크의 파손,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나 감속기 풀리와 로프의 미끄러짐 등으로 인한 제동마찰력상실에 따른 비상사태 발생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엘리베이터카를 정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브레이크슈(80)의 배면에 베어링내륜부(70)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측에는 홀(61)과 외주면에 기어를 갖는 섹터기어부(60)와; 섹터기어부(60)의 홀(61)에 수평지게 끼워지며, 섹터기어부(60)의 상하 회전시 동시에 선회가능한 크랭크축(66)과; 크랭크축(66)을 항시 상부측으로 밀치는 탄성부(120)와; 그 일단부에는 크랭크축(66)의 양단에 형성되고, 타일 단은 이동브레이크슈(82)에 결합되어, 섹터기어부(60)에 의해 전후로 당기고 밀치는 연동링크편(62)과; 섹터기어부(60)를 상하로 선회시키도록 이맞물림되는 구동기어부(98)를 포함한 구동축(99)과; 구동기어부(98)와 상기 구동축(99)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클러치(90)와; 구동축(99)을 회전시키는 기어드모터(101)와; 구동축(99)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캠클러치(108);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ROPE BRAKING DEVICE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작동 중 제어이상에 따른 과속 또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운행등과 같은 비정상적 상황 발생과 메인 브레이크의 파손,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또는 감속기 풀리와 로프 사이에서의 마찰력 부족으로 인한 제동 마찰력 상실에 따른 과속 발생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감속 정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과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를 보면, 감속기 풀리(6)를 갖는 권상기(2)에 설치된 메인 브레이크(4)와, 이상속도를 검출하는 가버너(7)와, 엘리베이터카(20)측에 구성된 세이프티 디바이스(22)와, 로프(8)를 제동시키는 로프제동장치부(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카(20)의 상부측에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검출장치(21)가 형성되어 있다.
권상기(2)에 장착된 메인 브레이크(4)는 엘리베이터카(20)의 목적층 도착시에 제동 유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과속 발생시는 가버너(7)에서 이상속도를 검출받아 급제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메인 브레이크(4)의 라이닝 마모, 파손 등으로 인하여 제동유지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카(20)의 과속상태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엘리베이터가 과속으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버너(7)에 의해 이상속도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카(20)에 설치된 세이프티 디바이스(22)를 작동함으로써 비상제동이 가능하지만, 엘리베이터의 균형추(14)가 무거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카(20)는 상승과속 하게 됨으로써 이를 제어할 수단이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까지는 엘리베이터를 양방향으로 모두 구속할 수 있는 세이프티 디바이스(22)를 사용하거나 균형추(14)측에 추가로 세이프티 디바이스(22)를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상승과속을 방지하는 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성 세이프티 디바이스의 작동은 설계시부터 엘리베이터카(20)의 지정하중 및 속도에 의해 구속되어지는 안내레일(24)의 사양에 따라 많은 종류의 모델을 제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비상제동 후 수동복귀시에는 승강로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구출작업이나 보수 작업성에 있어 상당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엘리베이터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운전되는 개문 발차의 경우에는 가버너(7)의 의한 이상속도 검출범위가 아니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검출 장치와 강제적으로 죠(Jaw)를 파악할 수 있도록 파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구성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기술로 특허등록 제 257491 호에서는 캠에 의한 작동과 유압에 의한 해제장치를 구비한 로프제동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며 국내 등록번호 20-0221450에서는 유압에 의한 작동과 스프링력에의한 해제장치를 구비한 로프제동장치가 제시되고 있고 도 1 에서와 같이 권상기(2) 베드상에 설치되어 로프(8)를 제동하게 된다.
도 2 에 제시된 캠작동방식의 제동장치는 로프(8)를 제어하는 브레이크슈(32)를 링크(40a),(40b)에 의해 고정브레이크슈(30)로 밀착시키는 것으로, 양 링크(40a),(40b)의 사이에 승하강수평프레임(42)이 탄성 스프링(43)에 의해 측판에 형성된 캠면(45)을 따라 이동하면서 로프를 가압하게 되며 작동 후 제동해제를 위해서는 승하강수평프레임(42) 하부에 유압실린더(44)를 장착하고 유압발생부의 지령에 따라 유압실린더(44)를 제어하고 있다.
도 3 에 제시된 유압작동식 제동장치는 유압발생부에 의해 유압실린더(25)와 연동되는 유압판(35)을 고정판(33) 쪽으로 밀어 로프(3)를 가압하여 제동하게 되며 제동해제시는 유압실린더(25)내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보냄으로써 유압판(35)과 고정판(33) 사이에 구성된 탄발스프링(29)에 의해 로프(3)의 록킹을 해제한다.
상기 내용과 같이 제동장치의 제동력 발생이나 제동력 해제를 위해 유압발생부 및 유압실린더(25)를 적용할 경우 기술적 구성의 증가와 더불어 유압실린더(25)를 제어하기 위한 유압발생부 및 제어장치의 구성으로 제품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유압작동식 제동장치인 경우는 밸브의 손상 , 호스의 파열 , 실린더 또는 공기압축기와 같은 요소부품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제동력 상실에 따른 위험성을 근본적으로 내포하고 있으며 기계실 온도가 작동유의 유동점 부근까지 떨어질 경우에는 비상사태가 발생해도 작동유의 점도상승으로 인해 유압작동에 의한 로프제동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동 및 제동 해제를 위한 모든 구성을 기계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유압 장치 구성에 따른 제품비용의 상승을 해소하고 동시에 제동력 발생을 위한 동력원을 스프링으로 적용하고 제동해제를 위한 동력원으로 모터구동을 채택함으로써 유압제동방식의 부품 손상으로 인한 제동력 상실 및 온도특성에 따른 제동 불가능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 는 제동해제를 위한 유압장치가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제동을 위한 유압장치가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배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라이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라이닝에 형성된 홈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 도 12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섹터기어 및 베어링내륜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섹터기어부 61: 홀
62: 연동링크편 66: 크랭크축
70: 베어링내륜부 77: 가이드봉
78: 안내홀 80: 고정브레이크슈
82: 이동브레이크슈 84,86: 라이닝
87: 언더컷부 89: 홈라인부
90: 클러치 98: 구동기어부
99: 구동축 100: 로프
101: 기어드모터 108: 캠클러치
120: 탄성부 130: 스위치
132: 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고정브레이크슈의 배면 중심부에 설치된 베어링내륜부를 따라 상하 선회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은 기어로 구성된 섹터기어부와; 상기 섹터기어부의 홀에 수평지게 끼워지며, 상하 이동시 동시에 선회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형성된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이 항상 로프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쳐지도록 형성된 탄성부와; 상기 크랭크축의 일단부에 연동되게 형성되고, 타일단은 상기 이동브레이크슈에 연동되게 결합되어, 섹터기어부의 이동시 전후방향으로 당겨지고 밀쳐지도록 형성된 연동링크편과; 상기 섹터기어부를 상하로 선회시키도록 이맞물림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갖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축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클러치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어드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캠클러치 또는 전자 브레이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부만을 분리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6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배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라이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라이닝에 형성된 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 , 도 12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a 및 도 13b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도 14 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섹터기어 및 베어링내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레이크슈(80)쪽으로 이동브레이크슈(82)가 이동하여 브레이크슈(80),(82) 사이에서 이동하고 있는 로프(100)를 가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프(100)를 가압시켜 정지시키기 위한 이동브레이크슈(82)의 작동을 위해서 이동브레이크슈(82)와 대향되어 있는 고정브레이크슈(80)의 배면에는 베어링내륜부(70)를 따라 상하 선회 가능하게 이동하는 홀(61)을 갖는 섹터기어부(60)가 형성된다.
고정브레이크슈(80)의 배면에 구성된 섹터기어부(60)의 홀(61)에는 동일하게 연동되면서 선회 가능하게 운동하는 크랭크축(66)이 관통된 상태로 끼워져 있다.
상기 섹터기어부(60)와 연동되는 크랭크축(66)의 양단에는 연동링크편(62)이 이동브레이크슈(82)측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링크편(62)의 일단에는 고정브레이크슈(80)와 대향되게 위치된 이동브레이크슈(82)가 연결되어 있어 이동브레이크슈(82)를 고정브레이크슈(80)측으로 당겼다 밀쳤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축(66)의 하부측에는 도 5 와 같이, 항시 상부측으로 밀치도록 탄성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레이크슈(80)의 양단 측에는 ㄷ형으로 형성되도록 측면플레이트 (76)가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레이크슈(80)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플레이트(76)에 조립되어 회전되도록 구동축(9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99)에는 섹터기어부(6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와 이맞물림 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부(98)가 형성된다.
상기 도 4의 구동기어부(98)의 내경측은 베어링(133)으로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99)과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으며 구동기어부(98)의 측면은 클러치(90)의 이동아마츄어(92b)가 고정 조립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99)의 하부측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기어드모터(101)가 형성되며 스프로켓(102),(104)과 체인(106)에 의해 구동축(99)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상기 섹터기어부(60)는, 구동기어부(98)와 맞물려 고정브레이크슈(80)의 배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반원 운동되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베어링내륜부(70)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내륜부(70)의 내경측에는 반원형태의 가이드홈부(8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원형태의 가이드홈부(83)가 형성된 위치보다 내경측의 위치에는 반원형으로 다수의 원형봉롤러(72)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내륜부(70)의 가이드홈부(83)에는 섹터기어부(60)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홀에 배치된 롤러(79)가 끼워져 구름 구동을 하게되며, 내경부는 원형봉롤러(72)의 면에 맞닿음되면서 회전 이동된다.
상기 크랭크축(66)의 양 하부측에는 이동브레이크슈(82)가 고정브레이크슈 (80)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구비한 탄성부(120)가 형성된다.
반원형의 베어링내륜부(70)의 회전중심과 연동링크편(62)과 맞물려 조립되는 이동브레이크슈(82)의 중심선상은 서로 높낮이 편차가 있게 구성된다.
이동브레이크슈(82) 및 고정브레이크슈(80)에 형성된 라이닝(84),(86)면에는 도 9 및 도 10 와 같이, 자체에 홈라인부(89)를 가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홈라인부(89)의 하부 형상은 로프(100) 중심경을 기준으로 50도 이하인 언더컷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측면플레이트(76)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구동축(99)의 일단에는 고정아마츄어(92a) 및 이동아마츄어(92b)를 구비하고 맞물림 형상이 도 13 에서와같이 물림치(a) 또는 걸림치(b)로 구성된 클러치(90)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드모터(101)의 출력축 및 구동축(66) 중 어느 한곳에 역회전 방지용 캠클러치(108)를 형성하며 캠클러치(108)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자브레이크가 장착된 기어드모터(101)가 형성된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120)의 압축완료시점 및 라이닝(84),(86)의 마모한계시점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동기어부(98)와 체결된 복수의 캠(132)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부(98)와 같이 회전되는 캠(132)의 높낮이에 따라 각각 요구되는 위치에서 작동되는 복수의 스위치(130)가 구성된다.
고정브레이크슈(80)는 일면에 돌출 되게 형성된 가이드봉(77)과, 상기 가이드봉(77)에 끼워져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이동브레이크슈(82)에 안내홀(7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작동 후 이동브레이크슈(82)가 로프(100)를 가압하고 있는 경우, 제동해제를 위한 신호가 발생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90)의 코일부(92c)에 전류가 인가되고 이동아마츄어(92b)와 고정아마츄어(92a) 사이에는 자력이 발생된다.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이동아마츄어(92b)는 고정아마츄어(92a)로 이동하여 일체가 되며 도 13a와 같이 이동아마츄어(92b)와 고정아마츄어(92a)의 외주에 형성된 치형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3b와 같이 이동아마츄어(92b)의 측면에는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핀부(135)가 복수개 형성되고 고정아마츄어(92a)는 핀부(135)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홀부(136)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력 단속 장치의 구성은 작은 크기로 큰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핀부(135)의 물림면 경사각은 6도 이상 45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아마츄어(92b)와 일체로 구성된 구동기어부(98)와, 상기 고정아마츄어(92a)와 일체로 구성된 구동축(99)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러치(90)로의 전류인가와 동시에 기어드모터(101)에도 기동을 위한 전류가 공급되며 기어드모터(101)의 회전과 함께 기어드모터(101) 출력축에 장착된 스프로켓(102)이 회전하면 체인(106)을 매개로 연동되는 구동축(99)의 스프로켓(104)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프로켓(104)과 동시에 구동축(99)이 회전되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클러치(90)의 자력발생으로 구동축(99)과 구동기어부(98)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맞물려 있는 섹터기어부(60)가 연동됨으로써 상기 섹터기어부(60)를 하부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부(98)의 회전력에 의해 하강하는 섹터기어부(60)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브레이크슈(80)상에 형성된 베어링내륜부(70)를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회전 이동된다.
섹터기어부(60)가 하부측으로 하강하게 되면, 섹터기어부(60)의 외주 측에 형성된 홀(61)에 끼워져 있는 크랭크축(66)도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도 6 과 같이, 상기 크랭크축(66)의 양측 하부에 설치된 탄성부(120)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축(66)의 하강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66)의 양끝에 조립된 상기 연동링크편(62)과 연동되는 상기 이동브레이크슈(82)를 로프(100)에서 멀어지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제동을 해제한다.
탄성부(120)의 압축은 지정된 위치까지 수행되며 압축 완료는 상기 구동기어부(98)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캠부(132) 작동에 의한 스위치(130)의 검출신호를 받아 수행된다.
상기 캠부(132)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130) 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기어드모터(101)에 공급되던 전류는 차단되고 더 이상 구동기어부(98)로의 동력은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클러치(90)에 공급되는 전류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자력에 의해 구동기어부(98)와 구동축(99)은 일체로 유지된다.
상기 기어드모터(101)에 공급되던 전류가 차단되어 더 이상의 동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구동기어부(98)의 회전에 의해 압축된 탄성부(120)는 반대로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되어 상기 구동기어부(98)를 포함한 구동축(99)을 역회전 시키게되고 로프(100)에서 분리된 이동브레이크슈(82)를 다시 고정브레이크슈(80)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프(100)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섹터기어부(60)의 역전 방지를 위한 고정유지장치가 필요하며 본 고안에서는 도 8 에서와 같이 상기 기어드모터(101)의 출력축이나 도12 에서와 같이 구동축(99)중 어느 한곳에 회전을 한 방향으로 구속하는 캠클러치(108)를 설치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도 11 과 같이 전자 브레이크(140)가 포함된 기어드모터(101)를 적용하여 상기 섹터기어부의 역방향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여 상기 탄성부(120)를 압축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120)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면 도 7 의 양 브레이크슈(80),(82)와 로프(100)는 분리된 상태가 지속되고 엘리베이터의 이동은 원활한 상태가 된다.
엘리베이터 사용중에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브레이크슈(82)가 해제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운행중에 발생되는 이상 운행상태의 검출은 도 1 에 도시된바와 같이, 가버너(7)에 의해 과속을 검출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카의 층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장치(21)의 이탈신호를 통해 개문발차의 상황을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 고안의 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구동축(99)상의 일단에 형성된 클러치(9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상기 클러치(90)의 고정아마츄어(92a) 및 이동아마츄어(92b) 내에서 발생하고 있던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부(98)에 장착된 이동아마츄어(92b)가 상기 클러치(90)의 고정아마츄어(92a)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부(98)는 자유상태가 되고 상기 구동기어부(98)와 이맞물림 되어 구동하는 상기 섹터기어부(60)의 크랭크축(66)은 하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120)의 탄성력에 의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순간적으로 상승된다.
상기 압축 및 팽창되는 탄성부(120)의 내경측에는 안내슬라이더캡(126)에 수직봉(124)이 끼워져 있어 탄성부(120)의 압축과 팽창운동시에 탄성부(120)가 외주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측면으로 휘어지지 않게 길이방향으로 수직운동만 시켜 준다.
또한, 탄성부(120)의 수축 및 팽창운동시에 수직상태로 크랭크축(66)을 밀치도록 탄성부(120)의 상부 크랭크축(66)과 하부에 위치한 회전 고정축(112)상에는 각각 상부스프링시트부(113) 및 하부스프링시트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스프링시트(110)에 의해 탄성부(120)가 섹터기어부(60)를 따라 이동하게될 때 크랭크축(66)은 섹터기어부(60)내에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여기서, 탄성부(120)의 소재는 환형 소재로 인장강도가 140kgf/mm2이상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랭크축(66)이 상승되면 이와 연동되게 결합되어 있는 섹터기어부(60)도 동시에 상부측으로 선회되면서 회전된다. 이때에, 상기 섹터기어부(60)는 고정브레이크슈(80)상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내륜부(70)의 반경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회전반경에 따라 당겨진 크랭크축(66)의 양단에 설치된 연동링크편(62)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이동브레이크슈(82)를 순간적으로 고정브레이크슈(80)쪽으로 이동시켜 로프를 가압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섹터기어부(60)의 회전중심인 베어링내륜부(70) 중심은 연동링크편(62)과 조립되어 연동하는 이동브레이크슈(82)의 중심선상과 일치하지 않고 일정의 편위를 가지고 배치된다.
또한, 반복적인 제동으로 인한 라이닝(84),(86)의 마모로 상기 크랭크축(66)이 상기 베어링내륜부(70)를 따라 점차적으로 상부로 이동하면 탄성부(120)의 탄성력은 줄어들게 되지만 상기 크랭크축(66)의 회전반경에 따라 작용하는 법선력은 항상 일정하도록 탄성부(120)의 작용선상을 설정 배치함으로써 라이닝(84),(86)의 마모에 따른 상기 크랭크축(66)의 위치가 회전 괘적상 어느 지점에 배치되더라도 로프(100)를 가압하는 상기 이동브레이크슈(82)의 가압력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본 고안에서 언급된 종래의 유압장치를 적용한 제동장치 외에 브레이크슈에 수직으로 스프링력을 가압하는 종래의 기계식 제동장치의 경우에 라이닝 마모에 따른 제동 스프링력 감소가 제동 마찰력 감소로 이어지는 근본적인 제동품질의 결함을 개선한 기구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브레이크슈(82)와 크랭크축(66)에 연동되어 있는 연동링크편(62)의 연결부위는 베어링을 조립하여 상기 연동링크편(62)이 승하강 운동시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했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120)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력 발생으로 이동브레이크슈(82) 및 고정브레이크슈(80)는 서로 맞닿게 되고 그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로프(100)를 순간적으로 마찰 제동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이동브레이크슈(80)는 습동을 위한 안내홀(78)이 형성되어있으며 고정브레이크슈(82)에 수직으로 고정된 가이드봉(77)에 끼워져 이동되기 때문에 상하좌우로는 흔들리지 않고 가이드봉(77)을 따라 전후운동만 하게 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브레이크슈(82) 및 고정브레이크슈(80)의 맞닿음 면에는 마찰 제동력 발생을 위한 라이닝(84),(86)이 장착되어 있다.
라이닝(84),(86)면에는 라이닝 홈라인부(89)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라이닝 홈라인부(89)상에 로프(100)가 위치되어 끼워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닝 홈라인부(89)에 언더컷부(87)를 형성하여 제동 마찰력을 높이고 있다.
도 10의 (a)와 같이 U형 홈라인부 및 도 9의 (b)와 같이 V형 홈라인부보다 본 고안의 도 10의 (C)와 같은 U형 홈라인부에 언더컷부(87)가 형성된 구성이, U형 홈라인부만이 형성된 형상보다 마찰력을 결정하는 홈형상의 계수가 크므로 작은 가압력에도 높은 마찰력을 얻을 수 있고, V형 홈라인부에 비해서는 마찰력은 떨어지지만 V형 홈라인부의 문제점인 급격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다.
본 고안에서는 언더컷부(87)의 각도를 로프(100) 중심을 기준으로 50도 이하로 하여 마찰력은 높이고 마모율은 낮출 수 있도록 했으며 언더컷부(87) 각도가 50도일 경우, 일반적인 U형 홈라인부에 비해 마찰력을 20%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일반적으로 U형 홈라인부보다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U형 홈라인부(89)에 언더컷부(87)가 포함된 홈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형 홈라인부(89)에 형성된 언더컷부(87)는 작은 압력으로도 큰 마찰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압축해야할 탄성부(120)의 탄성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제동 해제를 위한 탄성부(120)의 압축시에도 필요 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부(98)상에는 제동해제시 탄성부(120)의 압축완료를 검출하는 캠부(132)와 함께 이동브레이크슈(82) 및 고정브레이크슈(80)상에서 진행중인 라이닝(84),(86) 마모량에 따른 교체시기를 알려줄 수 있는 캠부(132)를 추가하여 설치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의해, 라이닝의 마모에 따라 감소하는 탄성력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제동력으로 로프를 가압할 수 있어 제동품질면에서 매우 안정적이며 제동 및 제동 해제를 위한 모든 구성을 기계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유압 장치 구성에 따른 제품비용의 상승을 해소하고 동시에 유압제동방식의 부품 손상으로 인한 제동력 상실 및 온도특성에 따른 위험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언더컷을 적용한 라이닝 홈형상, 클러치, 인장강도가 140kgf/mm2이상의 환형 탄성소재, 캠클러치 적용으로 소형의 제동장치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기계실에서의 설치 제약조건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1)

  1. 내측면에 라이닝을 갖는 이동브레이크슈(82)와 고정브레이크슈(80)가 서로 밀쳐져 사이에 위치된 로프(100)를 가압하여 제동시키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레이크슈(80)의 배면에 상하 선회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측에는 홀(61)을 갖는 섹터기어부(60)와;
    상기 섹터기어부(60)의 홀(61)에 수평지게 끼워지며, 상하 이동시 동시에 이동되도록 형성된 크랭크축(66)과;
    상기 크랭크축(66)을 항시 상부측으로 밀치도록 형성된 탄성부(120)와;
    그 일단부에는 크랭크축(66)의 양단에 연동되게 형성되고, 타 일단은 상기 이동브레이크슈(82)에 연동되게 결합되어, 섹터기어부(60)의 이동시 전후방향으로 당겨지고 밀쳐지도록 형성된 연동링크편(62)과;
    상기 섹터기어부(60)를 상하로 선회시키도록 이맞물림 형성된 구동기어부(98)를 갖는 구동축(99)과;
    상기 구동축(99)과 상기 구동기어부(98)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클러치(90)와;
    상기 구동축(99)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어드모터(101)와;
    상기 구동축(99)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 브레이크(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2. 내측면에 라이닝을 갖는 이동브레이크슈(82)와 고정브레이크슈(80)가 서로 밀쳐져 사이에 위치된 로프(100)를 가압하여 제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레이크슈(80)의 배면에 상하 선회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측에는 홀(61)을 갖는 섹터기어부(60)와;
    상기 섹터기어부(60)의 홀(61)에 수평지게 끼워지며, 상하 이동시 동시에 이동되도록 형성된 크랭크축(66)과;
    상기 크랭크축(66)을 항시 상부측으로 밀치도록 형성된 탄성부(120)와;
    그 일단부에는 크랭크축(66)의 양단에 연동되게 형성되고, 타 일단은 상기 이동브레이크슈(82)에 연동되게 결합되어, 섹터기어부(60)의 이동시 전후방향으로 당겨지고 밀쳐지도록 형성된 연동링크편(62)과;
    상기 섹터기어부(60)를 상하로 선회시키도록 이맞물림 형성된 구동기어부(98)를 갖는 구동축(99)과;
    상기 구동축(99)과 상기 구동기어부(98)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클러치(90)와;
    상기 구동축(99)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어드모터(101)와;
    상기 구동축(99)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캠클러치(10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기어부(60)는, 구동기어부(98)와 연동되게 결합된 타단이 고정브레이크슈(80)측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반원 운동되도록 형성된 반원형의 베어링내륜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의 베어링내륜부(70)의 회전중심은 상기 연동링크편(62)과 조합되어 연동되는 이동브레이크슈(82)의 중심선상에 있지 않고 높낮이 위치에 편차를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의 표면에 형성된 라이닝 홈라인부 상에 언더컷부(87)가 형성되며, 상기 언더컷부(87) 각도는 50도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99)상에는, 베어링으로 지지된 구동기어부(98)와 고정 조립된 이동아마츄어(92b) 및 이동아마츄어(92b)와 연동되며 구동축(99)에 고정되어있는 고정아마츄어(92a)를 포함하는 클러치(90)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아마츄어(92b)와 고정아마츄어(92a)의 내면에 치형 또는 한쌍의 핀부(135)/홀부(136)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90)의 치형과 핀부(135) 및 홀부(136)의 경사각은 6도 이상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역회전 방지용 캠클러치는 상기 기어드모터(101)의 출력축 또는 구동축(99)중 어느 한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브레이크(140)는, 기어드모터(101) 또는 구동축(99)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98)와 연동되는 캠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캠부(132)의 외주면상에 스위치(1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120)는, 환형소재의 인장강도가 140kgf/mm2이상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KR20-2004-0011350U 2004-04-23 2004-04-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200356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50U KR200356228Y1 (ko) 2004-04-23 2004-04-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50U KR200356228Y1 (ko) 2004-04-23 2004-04-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052A Division KR100609836B1 (ko) 2004-04-23 2004-04-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228Y1 true KR200356228Y1 (ko) 2004-07-14

Family

ID=4934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350U KR200356228Y1 (ko) 2004-04-23 2004-04-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2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805A (zh) * 2021-03-24 2021-07-09 苏州东方富力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偏心轮与制动盘啮合的甩片式无机房限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805A (zh) * 2021-03-24 2021-07-09 苏州东方富力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偏心轮与制动盘啮合的甩片式无机房限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1290B2 (ja) 歯車駆動アセンブリに連結されたバネによって作動されるシューを有するエレベータかごブレーキ
KR100257491B1 (ko) 브레이크장치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EP1908721B1 (en) Mechanism for detecting overspeed in lifting apparatuses, overspeed prevention safety actuation device and lifting apparatus
CN105000446B (zh) 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装置
CN103434912B (zh) 电梯钢丝绳夹绳器
CN102196986A (zh) 用于电梯的速度限制器
JP5850754B2 (ja) 調速機及びこの調速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CN100581971C (zh) 一种电梯的无绳限速系统
EP0708051A1 (en)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KR20050102791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JP4868807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EP1749785B1 (en) Elevator controller
KR200356228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UA57837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екстреного гальмування преса
CN111348518A (zh) 电梯安全促动器系统
KR10073119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KR100388156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US7607515B2 (en) Elevator evacuation apparatus
JP3146458U (ja) 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
JP5029983B2 (ja) 開閉機のブレーキ構造
KR100196205B1 (ko)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KR200225167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100712197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JP452748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トラクション式巻上機装置
CZ20003598A3 (cs) Zařízení pro náhlé zastavení lis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