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205B1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6205B1 KR100196205B1 KR1019960079586A KR19960079586A KR100196205B1 KR 100196205 B1 KR100196205 B1 KR 100196205B1 KR 1019960079586 A KR1019960079586 A KR 1019960079586A KR 19960079586 A KR19960079586 A KR 19960079586A KR 100196205 B1 KR100196205 B1 KR 1001962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rope
- unit
- link
- operat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로 운행할 때 작동되는 운행 제동장치와 함께 동작하면서 엘리베이터가 정지상태에서 로우프의 슬립(slip)현상으로 서서히 미끄러져 이동되거나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는 경우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브레이크라이닝이 설치된 가동판을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엘리베이터 견인로우프를 협지고정토록 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미끄럼이나 과속을 예방할 수 있는 보조제동장치로서 작동케함으로서 엘리베이커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콘트롤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되는 구동부와, 상기에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링크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에 링크부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로우프를 록킹 또는 해제하는 록킹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이터용 로우프제동장치이다.
Description
제1도의 (a)(b)도는 본 발명의 설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5도의 (a)(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6도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록킹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록킹부의 가동판에 설치되는 라이닝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 2 : 구동부
3 : 동력전달부 4 : 링크부
5 : 록킹부 6 : 로우프
8 : 하우징 21 : 구동모터
22 : 감속기 31 : 하부전달부재
32 : 상부전달부재 34,313,323 : 스프라킷
33,35 : 체인 36 : 고정구
41 : 주링크 42 : 작동링크
51 : 고정판 51a,52a : 라이닝
52b : 록킹홈 52 : 기동판
53 : 연결부재 54 : 스프링
312,322 : 전달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로우프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로 운행할 때 작동되게 운행 제동장치와 함께 동작하면서 엘리베이터가 정지상태에서 로우프의 슬립(slip) 현상으로 서서히 미끄러져 이동되거나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는 경우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브레이크라이닝이 설치된 가동판을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엘리베이터견인로우프를 협지록킹토록 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미끄럼이나 과속을 예방할 수 있는 보조제동장치로서 작동케 함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는 모터에 의해 견인되는 로우프에 연결되어 승,하강되고, 그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은 엘리베이터의 양측에서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슈에 의해 유동없이 승하강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 탑승객이 내부에서 가고자 하는 층의 버튼을 누르거나 각층 외부에서 엘리베이터용 버튼을 누르면 콘트롤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표시된 층에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운행제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운행제동장치의 제동력저하와 견인로우프와 권상풀리의 마찰력 저하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정지한 후 승객이 타고 내리는 순간 미끄러짐이 발생되거나 규정속도를 초과하여 급승,하강할 때 동작되는 로우프 제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있다.
종래에 개발된 각종 비상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쐐기형 조로 구속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운행은 제어하는 장치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비상제동장치는 가버너에 의한 과속검출시 가바너 스위치가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며, 나아가 가버너 로우프를 구속, 쐐기형 비상제동장치가 가이드레일을 구속하여 정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상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를 초과하는 급하강시에만 작동하며, 정지상태에서는 저속으로 미끄러지는 경우와 정상속도를 초과하는 급상승시에는 로우프를 효과적으로 제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로 실린더 로드를 록킹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운행 신호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에서 실린더 로드를 해지하고, 해지된 실린더 로드는 브레이크 슈를 당겨 로우프에 면 접속시킴으로서 엘리베이터를 비상제동할 수있도록 한 비상제동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와같은 장치는 제동압력이 약 1000kg 정도를 유지해야만 하는 것이므로 제동장치의 규모가 커져야 할 뿐만 아니라, 비상제동된 브레이트 슈를 개방할 때는 동력원이 유압이나 공압인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므로 생산제조원가가 고가이고, 이로 인하여 그 구입 사용을 배제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을 편리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한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로 운행할 때 동작되는 운행제동장치와 함께 로우프 제동장치가 동작되도록 함에 있어, 이때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거나 정지상태에서 미끄러지듯이 서서히 이동되는 이상운행시에는 엘리베이터를 로우프를 순간적으로 강력하게 록킹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제동장치의 고장이나 불량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가 비정상적으로 하강하거나 상승할 때도 엘리베이터를 순간적으로 비상제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른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콘트롤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링크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링크부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로우프를 록킹 또는 해제하는 록킹부 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적 요소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권상기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7)에 걸린 로우프(6)중 엘리베이터(1)가 설치된 로우프(6)측 또는 균형추(9)가 설치된 로우프(6)측을 제동하는 로우프제동장치(A)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의 콘트롤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되는 구동부(2)와, 상기 구동부(2)로부터의 구동력을 링크부(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와, 상기 링크부(4)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로우프(6)를 록킹 또는 해제하는 록킹부(5)로서 구성된다.
상기에 구성에 있어, 제2도 및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구동부(2)는 하우징(8)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와 감속기(22)로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3)는 감속기(22)로부터의 구동력을 스프라킷(34) 및 체인(33)을 개재하여 전달받는 하부전달부재(31)와 이 하부전달부재(31)와 체인(35)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상부전달부재(32)로서 구성된다.
상기 하부전달부재(31)는 도중에 비틀림코일스트링(311)을 설치한 전달축(312) 양측에 스프라킷(313)을 고정설치하며, 상기 상부전달부재(32)는 일단의 링크부(4)와 작동링크(42)에 연결되는 전달축(322) 양측에 스프라킷(323)을 고정 설치하여 체인(35)으로서 상기 상,하부 스프라킷(323)(313)을 각각 연결하고 있다. 이때 상기 체인(35)은 그 일단을 하부 스프라킷(313)의 임의 이빨에 고정하고 그 타단은 상부 스프라킷(323)에 치합된 상태로 하우징(8)에 설치된 고정구(36)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전달부재(32)의 양단은 하우징(8) 양측벽에 형성된 안내홈(81)을 타고 이동할 수있게 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단은 하우징(8)의 측에 피봇축(43)에 의해 피봇 고정된 링크부(4)의 주링크(41)일측에 연결 고정 되며 상기 주링크(41)의 타측에는 상기 록킹부(5)와 연결되는 작동링크(42) 일단이 피봇연결 고정 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5)는 하우징(8)에 고정설치된 고정판(51), 이 고정판(51)측으로 스프링(54)에 의해 가압되도록 다수의 연결부재(53)로서 연결된 가동판(5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51)에는 평판상의 라이닝(51a)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가동판(52)에는 전면의 다수의 사다리꼴형 록킹홈(52b)을 갖는 라이닝(52a)이 부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판(52)의 양단은 상기 링크부(4)의 작동링크(42)에 연결 고정되어 링크부(4)의 동작에 의해 가동판(52)으로 하여금 스프링(54)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고정판(51)측으로부터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36) 설치측 하우징(8)에는 상기 상부전달부재(32)를 이루는 전달축(322)의 하강 범위를 제한 하는 동시에 록킹부(5)에 대한 개방완료 신호를 콘트롤부로 보내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A)의 실시 작동상태 및 작동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구동부(2)에 대한 전원이 단락된 상태, 즉 엘리베이터(1)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제5도의(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54)의 탄발력에 의해 가동판(52)이 고정판(51)측으로 밀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동판(52)과 고정판(51)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로우프(6)를 라이닝(52a)(51a)으로서 록킹 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부 전달부재(32)는 하우징(8)양측에 형성된 안내홈(81)의 정상부에 위치한 상태, 즉 제4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1)가 승,하강 할 경우, 록킹 상태인 로우프(6)를 록킹해제상태로 하기 위해 먼저 구동부(2)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모터(21)가 작동하게 되고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은 감속기(22)를 거치면서 일정비율 감속된 상태로 일측의 스프라킷(34)과 체인(33)을 거쳐 동력전달부(3)를 이루는 하부전달부재(31)에 전달된다.
하부전달부재(31)에 전달된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은 전달축(31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전달축(312) 양측에 설치된 스프라킷(313)이 회전하면서 스프라킷(313)의 임의 이빨에 부착 고정된 체인(35)을 감아말면서 하측으로 당겨 내림에 따라 이 체인(35)의 타단측에 치합된 상부 전달부재(32)의전달축(322) 양측의 스프라킷(323)을 그대로 당겨내려 전달축(322)으로 하여금 하우징(8) 양측벽에 형성된 안내홈(81)을 타고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체인(35)의 타단은 하우징(8)에 고정설치된 고정구(36)에 연결 고정된 상태이므로 체인(35)은 무한궤도운동을 하지 않고 그대로 당겨지면서 이 체인(35)에 치합된 상태인 상부전달부재(32)의 스프라킷(323)을 그대로 하부로 당겨 내릴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부전달부재(32)의 전달축(322)이 하우징(8)의 양측벽에 형성된 안내홈(81)을 타고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전달축(322)일측에 연결된 링크부(4)의 주링크(41)는 피봇축(43)을 중심으로 그 타단측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단측에 연결된 작동링크(42)를 밀어내게 된다.
이와같은 링크부(4)에대한 일련의 링크동작, 즉 전달축(322)의 하강에 의해 주링크(41)가 피봇 회전되고 그 회전에 따라 주링크(41)의 타단으로 하여금 연결된 작동링크(42)를 밀어내게 되고 작동링크(42)가 밀려남에 따라 이 밀려나는 힘은 작동링크(42)에 양단이 연결고정된 록킹부(5)의 가동판(52)에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이후 가동판(52)은 스프링(54)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제6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고정판(51)으로부터 벌어져 분리되어 고정판(51)에 대해 라이닝(51a)(52a)을 개재하여 압착협지록킹하고 있던 로우프(6)를 록킹해제상태로 두게되어 엘리베이터(1)가 가동상태, 즉 승,하강 가능상태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록킹부(5)의 고정판(51)과 가동판(52)이 벌어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1)가 임의층에서 승,하강 동작을 멈추게 되면 멈춤과 동시에 엘리베이터(1)의 콘트롤부로부터 구동부(2)로 신호가 전달되어 구동모터(21)에 인가되었던 전원이 차단되면서 하부전달부재(31)의 스프라킷(313)에 감겨져있던 체인(35)이 순간적으로 풀리면서 동시에 록킹부(5)의 가동판(52)을 고정판(51)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54)의 탄발력으로 가동판(52)은 고정판(51)측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면서 제6도의(a)에 도시한 바와같이 록킹해제 상태이던 로우프(6)를 협지 록킹상태로 두어 운행제동장치와 더불어 엘리베이터(1)를 안전하게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부(5)를 이루는 고정판(51)에는 평판상의 라이닝(51a)이 가동판(52)에는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사다리꼴단면형상의 록킹홈(52b)을 다수형성한 라이닝(52a)이 각각 부착 설치되어 로우프(6)가 양 라이닝 (51a)(52a)사이에서 사다리꼴형상의 록킹홈(52b)에 끼인 상태로 되어 쐐기효과로 인해 보다 확실하게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전달부재(31)의 전달축(312)도중에 설치된 비틀림코일스프링(311)은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당겨져 있던 체인(35)이 엘리베이터운행시 구동모터(21)에 대한 전원이 단락됨에 따라 순간적으로 풀리면서 상부전달부재(32)의 전달축(322)이 상승하게 되어 풀려진 체인(35)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달축(312)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되감으려는 일정한 크기의 힘을 부여함으로써 상하부전달부재(32)(31)를 연결하고 있는 체인(35)으로 하여금 항상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우프제동장치(A)는 정전시나 기타 비상상황발생시에는, 하부 전달부재(31)를 구성하고 있는 전달축(312)의 타단(스프라킷(34)설치측의 대향측)을 하우징(8)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몽키 스패너 등의 별도의 공구로 하우징(8)외부로 돌출된 상기 전달축 (312)의 타단을 회전시키게되면 전달축(312)이 회전되게 되어 동력에 의하지 않은 수동작동도 가능하게되어 비상상황하에서의 능동적인 대처도 가능하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우프제동장치에 의하면, 고층건물을 편리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로 운행될 때 작동되는 운행제동장치와 함께 로우프제동장치가 동작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거나 정지상태에서 미끄러지듯이 서서히 이동되는 이상운행시에는 엘리베이터의 로우프를 강력하게 록킹시킴으로서 엘리베이터 제동장치의 고장이나 불량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가 비정상적으로 하강하거나 상승할 때도 엘리베이터를 비상제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른 안전성을 극대화 할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 권상기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7)에 걸린 로우프(6)중 엘리베이터(1)가 설치된 로우프(6)측, 또는 균형추(9)가 설치된 로우프(32)측을 제동하는 로우프제동장치(A)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의 콘트롤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모터(21)와 감속기(22)로 되는 구동부(2)와; 상기 구동부(2)의 구동력을 체인(33) 및 스프라킷(34)을 개재하여 전달축(312)으로서 전달받는 하부전달부재(31) 및 이 하부전달부재(3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상부전달부재(32)로 되는 동력전달부(3)와; 상기 상부전달부재(32)의 전달축(322)과 연결되어 피봇 작동되도록 하우징(8)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주링크(41) 및 주링크(41)의 피봇회동동작에 따라 전후왕복 이동하는 작동링크(42)로 되는 링크부(4)와; 상기 링크부(4)와 작동링크(42)에 양단이 고정설치된 채 스프링(54)에 의해 고정판(51)측으로 가압되도록 고정판(51)에 다수의 연결부재(53)로서 연결설치되는 가동판(52)으로 되는 록킹부(5)와; 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우프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3)는, 하부전달부재(31)의 전달축(312)에 설치된 스프라킷(313)에 체인(35)의 일단을 연결고정 설치하고, 상기 체인(35)의 타단은 상부전달부재(32)에 설치된 전달축(322)의 스프라킷(323)에 치합된 채 하우징(8)에 부착설치된 고정구(36)에 고정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우프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5)를 이루는 고정판(51) 및 가동판(52)중 고정판(51)에는 평판상의 라이닝(51a)을, 가동판(52)에는 전면에 사다리꼴단면형상을 갖는 록킹홈(52b)을 형성한 라이닝(52a)을 각각 부착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우프제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9586A KR100196205B1 (ko) | 1996-12-31 | 1996-12-31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9586A KR100196205B1 (ko) | 1996-12-31 | 1996-12-31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9085A KR980009085A (ko) | 1998-04-30 |
KR100196205B1 true KR100196205B1 (ko) | 1999-06-15 |
Family
ID=1949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79586A KR100196205B1 (ko) | 1996-12-31 | 1996-12-31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620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6533B1 (ko) | 2004-08-26 | 2007-09-10 | 주식회사 케이.알 | 엘리베이터용 에어식 로프스토퍼의 제어방법 |
-
1996
- 1996-12-31 KR KR1019960079586A patent/KR1001962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6533B1 (ko) | 2004-08-26 | 2007-09-10 | 주식회사 케이.알 | 엘리베이터용 에어식 로프스토퍼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9085A (ko) | 1998-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32200B2 (ja) | ばねにより作動されるシューを備えた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 | |
RU2495290C2 (ru) | Тормоз кабины лифта с колодками, приводимыми в действие пружинами, соединенными с зубчатым приводом | |
KR200221450Y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US7575099B2 (en) | Remotely resettable ropeless emergency stopping device for an elevator | |
KR102605526B1 (ko) | 승강형 구조체용 제동 시스템 및 승강형 구조체 제동 제어 방법 | |
US6021872A (en) |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 |
JP2002249288A (ja) | エレベータの乗客の避難方法及び避難装置 | |
CN111348518B (zh) | 电梯安全促动器系统 | |
JPWO2005115905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196205B1 (ko)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
CN111278758A (zh) | 安全装置、以及具备该安全装置的电梯 | |
KR100388156B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KR100221960B1 (ko)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
KR100609836B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JP5040667B2 (ja) | エレベータかご救出装置 | |
KR100196206B1 (ko)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
EP0363800B1 (en) | Hoist apparatus | |
KR200213918Y1 (ko) | 엘리베이터용 제동장치 | |
KR100370300B1 (ko) | 엘리베이터용 제동장치 | |
CN113498399B (zh) | 用于安全钳的触发系统、电梯设备和运行电梯设备的方法 | |
JP7569268B2 (ja) |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 |
KR980009086A (ko)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
KR200225167Y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KR100566951B1 (ko) |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 | |
KR20000021522A (ko) |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12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