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167Y1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167Y1
KR200225167Y1 KR2020000029418U KR20000029418U KR200225167Y1 KR 200225167 Y1 KR200225167 Y1 KR 200225167Y1 KR 2020000029418 U KR2020000029418 U KR 2020000029418U KR 20000029418 U KR20000029418 U KR 20000029418U KR 200225167 Y1 KR200225167 Y1 KR 200225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gear
braking devic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준기
Original Assignee
편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준기 filed Critical 편준기
Priority to KR2020000029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16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가 정지상태에서 로프의 슬립(slip)현상으로 서서히 미끄러져 이동되거나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는 경우 및 정상 제동시에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브레이크라이닝이 설치된 가동판을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엘리베이터 견인로프를 협지하여 제동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미끄럼이나 과속을 예방할 수 있는 보조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동장치는 권상기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에 걸린 로프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로프측 또는 균형추가 설치된 로프측에 설치되는데, 양 하우징은 양 끝단이 안 쪽으로 직각으로 꺾여 돌출부를 형성하여 서로 대칭되게 이격된 절편으로서, 그 외측에서 양 하우징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 내측에는 상부에 크랭크축에 연결된 캠 회전축과 하부에 지지봉고정축이 각각 설치되고, 돌출부의 타 외측의 고정판과 하우징 내측의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판이 각각 장방형의 연결부재들에 의하여 관통되어 지지·고정되어 각각 동력전달부, 작동개시부 및 록킹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BRAKE SYSTEM FOR ROPE OF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정지상태에서 견인로프와 도르레(sheave)의 마찰력 저하 및 제동장치의 이상으로 서서히 미끄러져 이동되거나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는 경우 및 정상 제동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브레이크라이닝이 설치된 가동판을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엘리베이터 견인 로프를 협지/록킹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미끄럼이나 과속을 예방할 수 있는 보조제동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승객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는 모터에 의해 견인되는 로프에 연결되어 승·하강되고,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은 엘리베이터의 양측에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슈에 의해 유동없이 승·하강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는 견인 로프와 권상풀리의 마찰력 저하 또는 엘리베이터카와 균형추의 무게차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정지한 후 승객이 타고 내리는 순간 미끄러짐이 발생되거나 규정속도를 초과하여 급승·하강하는 비상의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각종 리미트스위치에 의한 제동장치, 권상모터의 안전장치 등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각종 비상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쐐기형 죠(jaw)로 구속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운행을 제어하는 장치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비상제동장치는 가바너에 의한 과속검출시 가바너 스위치가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며, 나아가 가바너 로프를 구속하는 쐐기형 비상제동장치가 가이드레일을 구속하여 정지하는 것이어서, 엘리베이터가 정상속도를 초과하는 급하강시에만 작동하며, 정지상태에서는 저속으로 미끄러지는 경우와 정상속도를 초과하는 급상승시에는 로프를 효과적으로 제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번호 97-71595호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제안하였다(도 1 참조). 상기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콘트롤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되는 유압발생부와; 지지판에 관통지지된 상태로 유압실린더(S) 및 스프링이 설치된채 지지판에 관통/설치되는 연결부재(13`)로 구성되는 반력(反力)부와; 하우징에 양단이 고정된 채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고정판(43`)과; 상기 연결부재의 말단에 고정 설치되어 고정판 측으로 다수의 스프링에 대항하여 진퇴 작동하는 가동판(45`)으로 구성되어, 상기 반력부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 로프(3`)를 록킹 또는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지지판과 가동판(45`)의 이동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로프를 제동하기 때문에 모든 브레이크 부하가 고정판(43`)에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큰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판이 과부하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유압장치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상기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제동하는 가동판(45`)의 작동 시점부터 제동완료까지의 소요시간이 상대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의 문제점과 아울러 특허출원번호 97-71595호 고안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동할 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큰 부하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고정판의 구조가 보다 견고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저가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제동할 수 있는 기계적인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동장치는 권상기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에 걸린 로프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로프측 또는 균형추가 설치된 로프측에 설치되는데, 양 하우징은 양 끝단이 안 쪽으로 직각으로 꺾여 돌출부를 형성하여 서로 대칭되게 이격된 절편으로서, 그 외측에서 양 하우징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 내측에는 상부에 크랭크축에 연결된 캠 회전축과 하부에 지지봉고정축이 각각 설치되고, 돌출부의 타 외측의 고정판과 하우징 내측의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판이 각각 장방형의 연결부재들에 의하여 관통되어 지지·고정되어 각각 동력 전달부, 작동개시부 및 록킹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2b는 본 고안 제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도 4a, 4b는 본 고안 가동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발레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부분측면도,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동기어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7a, 7b는 본 고안의 고정판과 가동판에 각각 부착·설치되는 라이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엘리베이터 3: 로프
11: 하우징 13: 연결부재
15: 스프링 21: 동력전달부
23: 모터 25: 감속기
27: 구동기어 29: 피동기어
29a: 역회전방지회전자 29b: 래칫
31: 작동개시부
33: 솔레노이드밸브 34: 격발레버
34a: 걸림쇠 35: 크랭크축
35a: 암걸림쇠 36: 편심캠
36a: 캠회전축 37: 탄발스프링
38: 스프링지지봉 38a: 지지봉고정축
41: 록킹부 43: 고정판
45: 가동판 43a,45a: 라이닝
43b,45b: 요입록킹홈 45c: 돌기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2b는 본 고안 제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3a,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발레버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하우징 내에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개시부와, 하우징에 양단이 고정된 고정판과 진퇴 작동하는 가동판으로 이루어진 록킹부를 포함하여, 권상기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에 걸린 로프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로프측 또는 균형추가 설치된 로프측을 제동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로프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11)은 양 끝단이 안 쪽으로 직각으로 꺾여 돌출부(11a)를 형성하여 서로 대칭되게 이격된 절편이고; 상기 동력전달부(21)는 모터(23)를 통하여 연동되는 구동기어(27)와, 상기 구동기어(27)에 의하여 연동되고 크랭크축(35)을 구동하며, 역회전방지 래칫(29b)을 갖는 회전자(29a)를 내포한 피동기어(29)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개시부(31)는 솔레노이드밸브(33)에 의하여 격발되는 걸림쇠(34a)가 설치된 격발레버(34)와, 편심캠(36)을 갖는 캠회전축(36a)이 그 양 끝단에 연결된 크랭크축(35)과, 스프링지지봉고정축(38a)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발레버(34')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상기 작동개시부(31)의 격발레버(34')에는 수(雄)걸림쇠(34a')가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축(35)에는 그 중앙에 수(雄)걸림쇠(34a')와 개폐되는 암(雌)걸림쇠(35a)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5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로서, 상기 동력전달부(21)는 모터(23)에 의하여 연동되는 구동체인기어(27')와, 상기 구동체인기어(27')와 연결된 체인(28')에 의하여 연동되고 크랭크축(35)을 구동하는 피동체인기어(29')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21)의 상기 역회전방지회전자(29a)와 래칫(29b)은 피동기어(29) 대신에 구동기어(27)에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3a와 도 6을 보면, 엘리베이터(1)의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동력전달부(21)는 모터(23)와 감속기(25)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 받아서 연동되는 구동기어(27)와, 상기 구동기어(27)에 의하여 연동되고 크랭크축(35)을 구동하며, 역회전방지 래칫(29b)을 갖는 회전자(29a)를 내포한 상기 구동기어(27) 보다 크기가 큰 피동기어(29)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개시부(31)는 엘리베이터(1)의 콘트롤러에 의해 신호를 받아 솔레노이드밸브(33)에 의하여 탄발스프링(37)의 반발력으로 격발되는 걸림쇠(34a)가 설치된 격발레버(34)와, 상기 걸림쇠(34a)와 개폐되어 해제/록킹상태가 되고, 편심캠(36)을 갖는 회전축(36a)이 그 양 끝단에 연결된 크랭크축(35)과, 스프링지지봉(38) 고정축(38a)으로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축(35)과 지지봉(38) 고정축(38a)은 텔레스코핑(telescoping) 작용을 하는 다중으로 구성된 스프링지지봉(38)에 의하여 그 접점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축(38a)의 텔레스코핑 작용이란, 망원경이나 라디오 안테나가 뽑히고 접히듯이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외주에 탄발스프링(37)이 안착되는 스프링지지봉(38)의 설치 개수는 그 수를 증감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지지봉(38)의 수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록킹부(41)는 하우징(11)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일측면에 상기 작동개시부(31)를 이루는 캠회전축(36a)의 편심캠(36)이 밀접되어 있는 가동판돌기부(45c)를 갖는 가동판(45)과, 다수의 연결부재(13)로 연결되어 하우징돌기부(11a)의 일외측에 설치/고정된 고정판(43)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43)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로프(3)가 접촉되는 다수의 요입록킹홈(43b)을 갖는 라이닝(43a)이 부착·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판(45)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전면에 로프(3)가 접촉되는 다수의 요입록킹홈(45b)이 형성된 라이닝(45a)이 부착·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원 고안의 작동상태 및 작용효과를 도 3a,3b와 도4a, 4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동장치(A)는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 또는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데, 먼저 정상운행시의 제동시의 작동을 설명하겠다.
먼저, 도 3a,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가 정상운행 중인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면, 도 3b,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개시부(31)의 솔레노이드밸브(33)의 작동에 의해 격발레버(34)가 격발되면 걸림쇠(34a)와 크랭크축(35)이 해제되면서, 탄발스프링(37)이 탄발되고 크랭크축(35)과 지지봉고정축(38a)에 연결된 스프링지지봉(38)이 뽑히면서 크랭크축(35)을 회전시키고, 크랭크축(35)과 연결된 캠회전축(36a)의 편심캠(36)이 작용하여 캠(36)과 밀접된 상태에 있는 가동판돌기부(45c)를 밀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35)이 회전하더라도 피동기어(29)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래칫(29b)으로 인해 모터(23)를 역회전시키지 않는다.(도 6 참조)
즉, 엘리베이터(1)가 운행 가능하도록 탄발스프링(37)이 압축된 상태에서, 탄발스프링(37)의 압축과 팽창에 따라 최고점과 최저점을 왕복운동을 하는 크랭크축(35)의 동작에 따라 피동기어(29)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27)와 모터(23)가 연동하게 되지만, 탄발스프링(37)의 압축상태(즉, 엘리베이터(1)의 운행상태)에서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미리 모터(23)의 역회전에 의해 구동기어(27)와 피동기어(29)가 역회전하게 된다. 피동기어(29)가 역회전함에 따라, 래칫(29b) 저면의 스프링(29c)이 눌려서 래칫(29b)이 회전자(29a)의 원주면과 일치하게 되므로 래칫(29b)은 홈(29d)과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축(35) 회전할 경우(즉, 로프(3)를 제동하는 작동의 경우)에 캠회전축(36a)과 역회전방지회전자(29a)는 역회전하지만, 피동기어(29)는 회전자(29a)와 연동되어 역회전하지 않을 각도만큼 미리 되감아져 있으므로 크랭크축(35)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탄발스프링(37)의 탄발로 크랭크축(35)이 역회전하더라도, 피동기어(29)는 래칫(29b)과 피동기어홈(29d)이 일치하여 스프링(29c)의 탄발에 의해 래칫(29b)이 돌출하여 서로 맞물림으로써 구동기어(27)와 모터(23)가 역회전되어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위치만큼 미리 역회전되어 있어서, 캠회전축(36a)과 역회전장지회전자(29a)는 공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역회전방지회전자(29a)와 래칫(29b)은 피동기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캠(36)이 가동판돌기부(45c)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동판(45)은 그 양단이 연결부재(13)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고정판(43) 쪽으로 근접하면서 고정판(43)과 가동판(45) 사이에 있는 스프링(15)에 대향하면서 고정판(43) 측으로 밀착된다.
이렇게 밀착된 가동판(45)과 고정판(43)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로프(3)는 라이닝(43a,45a)에 의해 각각 록킹된 상태, 즉 라이닝(43a,45a)의 요입록킹홈(43b,45b)에 의해 단단히 협지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1)가 승·하강할 경우, 록킹 상태인 로프(3)를 록킹해제상태로 하기 위해, 먼저 엘리베이터(1)의 콘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동력전달부(21)의 모터(23)가 작동하고, 모터(23)의 회전속도를 감속기(25)가 감속하여 그 동력을 구동기어(27)에 전달하여 피동기어(29)를 구동한다. 이때의 기작은 앞서 설명한 역회전방지 회전자(29a)의 동작과 반대로 작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모터(23)가 회전으로 구동기어(27)가 연동되고, 이에 따라 피동기어(29)가 회전하면서 피동기어(29)의 홈(29d)과 래칫(29b)이 일치하게 되면 스프링(29c)이 탄발되면서 래칫(29b)이 돌출되어 홈(29d)과 맞물리면서 피동기어(29)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피동기어(29)와 크랭크축(35)이 연동하게 된다.
모터(23)의 속도는 감속기(25)와 구동(27)/피동기어(29)의 크기차이에 의하여 적당한 속도로 감속되어서, 상기 피동기어(29)에 연결된 캠회전축(36a)을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캠회전축(36a)에 연결된 크랭크축(35)이 회전하면서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지지봉(38)이 접히고, 탄발스프링(37)이 압축되면서 크랭크축(35)이 격발레버(34)의 걸림쇠(34a)에 걸리게 된다. 탄발스프링(37)의 압축이 완료되면,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모터(23)가 역회전하여 구동기어(27)와 피동기어(29)를 역회전시켜서 그 홈(29d)과 역회전방지회전자(29a)의 래칫(29b))을 불일치시킴으로써, 다음 탄발스프링(37)의 탄발로 인한 모터(23)와 구동기어(27)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상기 탄발스프링(37)이 수축됨에 따라, 가동판(45)과 고정판(43) 사이에 있는, 연결부재(13)에 안착된 스프링(15)이 신장하면서 가동판(45)이 고정판(43)으로부터 멀어지게되어 라이닝(43a,45a)에 의해 압착/협지되어 록킹하고 있던 로우프(3)를 도 3a,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해제상태로 두게 되므로 다시 가동판(45)이 고정판(43) 측으로 이동하기 전까지는 로프(3)에 대한 록킹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엘리베이터(1)가 가동상태, 즉, 승·하강 가능상태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1) 제동장치(A)는 정상운행 상태 뿐만 아니라, 비상사태, 즉 엘리베이터 운행 제동장치의 제동력 저하나 견인로프와 권상풀리 마찰력 저하 또는 엘리베이터카와 균형추의 무게 차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정지한 후, 승객이 타고내리는 순간 미끄러짐이 발생되거나 규정속도를 초과해서 급승·하강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1)를 제동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작을 설명하면, 엘리베이터(1)의 콘트롤부는 솔레노이드밸브(33)로 신호를 보내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격발레버(34)가 격발되면 걸림쇠(34a)와 크랭크축(35)이 해제되면서, 탄발스프링(37)이 탄발되고 크랭크축(35)과 지지봉고정축(38a)에 연결된 스프링지지봉(38)이 뽑히면서 크랭크축(35)을 회전시키고, 크랭크축(35)과 연결된 캠회전축(36a)의 편심캠(36)이 작용하여 캠(36)과 밀접된 상태에 있는 가동판돌기부(45c)를 밀게 됨에 따라 가동판(45)이 고정판(43) 쪽으로 이동/가압되어 록킹해제 상태이던 로프(3)를 다시 록킹상태로 두어 엘리베이터(1)를 안전하게 정시시킨다. 이때의 모터(23)와 역회전방지회전자(29a)의 기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록킹부(41)를 이루는 가동판(45) 측면에는 로프 접촉 요입록킹홈(45b)을 다수 형성한 라이닝(45a)이, 고정판(43)에는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요입록킹홈(43b)을 다수 형성한 라이닝(43a)이 각각 부착/설치되어 로프(3)가 양 라이닝(43a,45a)의 요입록킹홈(43b,45b)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쐐기효과로 인해 보다 확실하게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발레버(34')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1)가 정상 또는 비상 상태에서 운행정지하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33)에 의해 격발레버(34')가 격발되면 수(雄)걸림쇠(34a')와 크랭크축(35)의 암(雌)걸림쇠(35a)가 해제되면서, 탄발스프링(37)이 탄발되어 캠(36)에 의해 가동판(45)을 가압하여 로프(3)를 록킹하게 된다. 그 외의 기작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도 5c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2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1)가 운행하도록 록킹해제상태로 하기 위해, 콘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동력전달부(21)의 모터(23)와 감속기(25)가 작동하여 구동체인기어(27')를 구동하면 체인(28')이 회전하면서 피동체인기어(29')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피동체인기어(29')에 연결된 캠회전축(36a)을 돌리게 되고, 이어서 캠회전축에 연결된 크랭크축(35)이 회전하면서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지지봉(38)이 접히고, 탄발스프링(37)이 압축되면서 크랭크축(35) 또는 크랭크축 암걸림쇠(35a)가 격발레버(34)의 걸림쇠(34a) 또는 격발레버(34')의 수걸림쇠(34a')에 걸리고, 탄발스프링(37)은 압축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엘리베이터(1)가 정상 또는 비상시에 정지하게 되면, 상기 체인(28')이 통상의 자전거 체인으로 구성하여 피동체인기어(29')가 공회전하게 되므로 모터(23)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기작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합에 의한 제동장치의 구성 또한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동할 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고정판에 걸리는 큰 부하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고정판의 구조를 보다 견고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효과와 저비용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계적인 스프링의 순간적인 탄발력으로 엘리베이터 로프를 제동하므로 상대적으로 신속하고, 기계적인 제동장치의 구성으로 작동오류로 인한 위험성을 제거하여 보다 신뢰성이 큰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우징 내에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개시부와, 하우징에 양단이 고정된 고정판과 진퇴 작동하는 가동판으로 이루어진 록킹부를 포함하여, 권상기가 구비된 기계실의 권상풀리에 걸린 로프 중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로프측 또는 균형추가 설치된 로프측을 제동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로프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11)은 양 끝단이 안 쪽으로 직각으로 꺾여 돌출부(11a)를 형성하여 서로 대칭되게 이격된 절편이고;
    상기 동력전달부(21)는 모터(23)를 통하여 연동되는 구동기어(27)와, 상기 구동기어(27)에 의하여 연동되고 크랭크축(35)을 구동하며, 역회전방지 래칫(29b)을 갖는 회전자(29a)를 내포한 피동기어(29)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개시부(31)는 솔레노이드밸브(33)에 의하여 격발되는 걸림쇠(34a)가 설치된 격발레버(34)와, 편심캠(36)을 갖는 캠회전축(36a)이 그 양 끝단에 연결된 크랭크축(35)과, 스프링지지봉고정축(38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개시부(31)의 격발레버(34')에는 수(雄)걸림쇠(34a')가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축(35)에는 그 중앙에 수(雄)걸림쇠(34a')와 개폐되는 암(雌)걸림쇠(35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1)는 모터(23)에 의하여 연동되는 구동체인기어(27')와, 상기 구동체인기어(27')와 연결된 체인(28')에 의하여 연동되고 크랭크축(35)을 구동하는 피동체인기어(2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1) 피동기어(29)의 역회전방지회전자(29a)와 래칫(29b)은 구동기어(27)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
KR2020000029418U 2000-10-23 2000-10-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KR200225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18U KR200225167Y1 (ko) 2000-10-23 2000-10-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18U KR200225167Y1 (ko) 2000-10-23 2000-10-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173A Division KR100388156B1 (ko) 2000-10-21 2000-10-21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167Y1 true KR200225167Y1 (ko) 2001-05-15

Family

ID=7305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18U KR200225167Y1 (ko) 2000-10-23 2000-10-23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1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797B1 (ko) 기어 드라이브 조립체에 결합된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슈를 구비하는 승강기 카 제동장치
KR200221450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JP5026743B2 (ja) プログレッシブ安全装置
KR100257491B1 (ko) 브레이크장치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RU2576366C2 (ru) Способ активации ловителя
CA2456627C (en) Safety device for a lift
US8550217B2 (en) Elevator
WO2019176160A1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US7475756B2 (en) Mechanism for indenting a safety gear for an elevator car
CN105819302B (zh) 夹绳器
JP4166475B2 (ja) エレベータの乗客の避難方法及び避難装置
FI96838C (fi) Hissin turvajarru
KR20090122934A (ko) 승강기
EP3381855B1 (en) Safety brake actuation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KR100388156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US20220242704A1 (en) Lifting gear
CN111032555B (zh) 具有制动蹄的电梯紧急制动器
KR200225167Y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KR20050102791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N113498399B (zh) 用于安全钳的触发系统、电梯设备和运行电梯设备的方法
JPH107350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0221960B1 (ko)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CN108928707A (zh) 载货电梯总成
KR100269685B1 (ko)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