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222Y1 -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222Y1
KR200356222Y1 KR20-2004-0011148U KR20040011148U KR200356222Y1 KR 200356222 Y1 KR200356222 Y1 KR 200356222Y1 KR 20040011148 U KR20040011148 U KR 20040011148U KR 200356222 Y1 KR200356222 Y1 KR 200356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board
support
loading
cran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곤
Original Assignee
김인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곤 filed Critical 김인곤
Priority to KR20-2004-0011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2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간판적재 보조장치는, 다수 개의 수직부재A와, 각 수직부재A를 연결하는 연결부재A로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차량의 화물칸 앞쪽 바닥 또는 난간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장치A와; 지지장치A의 수직부재A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A와, 회전부재A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간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간판지지부재A로 구성된 간판적재장치A와; 다수 개의 수직부재B와, 각 수직부재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B로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차량의 화물칸 뒷쪽 바닥 또는 뒷문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장치B와; 지지장치B의 수직부재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B와, 회전부재B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간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간판지지부재B로 구성된 간판적재장치B;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크레인차량에 간판을 적재할 때 1인 작업이 가능해지고, 간판 적재 및 이동시 간판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폭이 큰 간판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THE SUPPORTING APPARATUS OF LOADING SIGNBOARD FOR CRANE TRUCK}
본 고안은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판설치용 크레인차량은 화물칸에 소형 크레인이 장착되어 있어 화물칸에 간판을 적재한 채 간판 설치장소로 이동한 후 크레인으로 간판을 높은 곳으로 이동시켜 간판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간판설치용 크레인차량은 크레인으로 무게가 가벼운 간판을 들어올리게 되므로 '경트럭용 크레인'(한국 특허등록 제10-0278973호)에 안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소형 트럭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간판의 길이나 폭이 커지게 되면 화물칸에 간판을 적재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적재된 간판 일측의 높이가 높아져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평용 화물 적재대'(한국 실용신안등록제20-0226119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수평용 화물 적재대는 화물칸에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어 크레인의 동작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레인 상부에 간판받침대가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차량도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다른 크레인이 간판받침대에 간판을 올려주거나 여러 사람이 함께 간판을 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간판을 적재하기 위한 크레인차량의 크레인으로 간판을 적재하지 못하고, 다른 크레인으로 간판을 적재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크레인차량에 간판을 적재할 때 다른 크레인을 사용하거나 여러 사람을 고용할 필요 없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으로 간판적재 보조장치에 간판을 임시 적재한 후 1인 수작업으로 크레인의 간판받침대에 간판을 적재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간판을 지지하는 간판지지부재가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간판 적재 작업시에는 간판 적재를 보조하고, 간판 적재 후 차량 이동시에는 간판의 하중을 분할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간판을 운반시키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간판지지부재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간판 폭이 커질 경우에도 간판을 적재, 운반시킬 수 있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회전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전면부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후면부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지지장치A와 간판적재장치A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지지장치B와 간판적재장치B의 분해사시도.
도 8은 간판을 본 고안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위에 적재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간판을 크레인차량의 간판받침대에 간판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지지장치A 11 : 수직부재A
11a : 핀삽입홀A 11b : 고정핀A
12 : 연결부재A 12a : 연결브라켓A
12b : 브라켓 13 : 사다리지지부재A
13a : 핀삽입홀B 14 : 고정장치A
15 : 고정플레이트 15a : 볼트삽입홀A
15b : 볼트A 16 : U볼트
16a : 너트 17 : 길이조절부재A
17a : 핀삽입홀C 17b : 손잡이A
17c : 고정핀B 20 : 간판적재장치A
21 : 회전부재A 21a : 핀삽입홀D
21b : 리브A 22 : 간판지지부재A
22a : 걸림핀삽입홀A 22b : 핀삽입홀E
23 : 길이조절부재B 23a : 앵글A
23b : 핀삽입홀F 23c : 고정핀C
24 : 걸림핀A 24a : 걸림핀케이스A
25 : 보강부재A 30 : 지지장치B
31 : 수직부재B 31a : 핀삽입홀G
31b : 고정핀D 32 : 연결부재B
32a : 연결브라켓B 33 : 사다리지지부재B
33a : 핀삽입홀H 34 : 고정장치B
35 : 고정브라켓 35a : 파이프삽입홀
35b : 볼트삽입홀B 35c : 볼트B
36 : 길이조절부재C 36a : 핀삽입홀I
36b : 손잡이B 36c : 고정핀E
40 : 간판적재장치B 41 : 회전부재B
41a : 핀삽입홀J 41b : 리브B
42 : 간판지지부재B 42a : 걸림핀삽입홀B
42b : 핀삽입홀K 43 : 길이조절부재D
43a : 앵글B 43b : 핀삽입홀L
43c : 고정핀F 44 : 걸림핀B
44a : 걸림핀케이스B 45 : 보강부재B
50 : 보조지지장치A 51 : 수직부재C
51a : 핀삽입홀M 52 : 길이조절부재E
52a : 연결플레이트A 52b : 핀삽입홀N
53 : 고정핀G 60 : 보조지지장치B
61 : 수직부재D 61a : 핀삽입홀O
62 : 길이조절부재F 62a : 연결플레이트B
62b : 핀삽입홀P 63 : 고정핀H
70 : 크레인차량 71 : 화물칸
72 : 크레인 72a : 간판받침대
80 : 간판 90 : 사다리
본 고안은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간판적재 보조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을 이용해 1인 작업으로 차량의 간판받침대에 간판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 간판을 지탱하는 간판지지부재가 회전 하도록 되어 있어 간판 적재후 이동시 간판의 하중을 분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길이조절부재를 통해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보다 쉽게 간판을 적재하고,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는, 다수 개의 수직부재A와, 각 수직부재A를 연결하는 연결부재A로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차량의 화물칸 앞쪽 바닥 또는 난간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장치A와; 지지장치A의 수직부재A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A와, 회전부재A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간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크레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간판받침대와 상면 높이가 갖도록 되어 있는 간판지지부재A로 구성된 간판적재장치A와; 다수 개의 수직부재B와, 각 수직부재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B로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차량의 화물칸 뒷쪽 바닥 또는 뒷문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장치B와; 지지장치B의 수직부재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B와, 회전부재B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간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크레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간판받침대와 상면 높이가 갖도록되어 있는 있는 간판지지부재B로 구성된 간판적재장치B;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지지장치A(10)는 다수 개의 수직부재A(11)와, 각 수직부재A(1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A(12)로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차량(70)의 화물칸(71) 앞쪽 바닥 또는 난간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장치A(10)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인차량(70)의 화물칸(71) 앞쪽 모서리에 설치되고, 원형파이프로 되어 있는 두 개의 수직부재A(11)와;
상기 수직부재A(11) 양측에 용접 고정되어 있고, 원형파이프로 되어 있는 연결부재A(12)와;
양측에 상기 수직부재A(11) 하단이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다수 개의 볼트삽입홀A(15a)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A(15b)에 의해 화물칸(71)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5)와;
상기 수직부재A(11)와 화물칸(71) 난간을 고정시키는 U볼트(16)와 너트(16a);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위와 같은 구성에서 연결부재A(12) 일측에 브라켓을 고정시키고, 브라켓에 볼트삽입홀을 형성한 후 브라켓의 볼트삽입홀을 통해 화물칸(71) 상부난간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간판적재장치A(20)는 지지장치A(10)의 수직부재A(11)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A(21)와, 회전부재A(21)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간판(8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크레인(72)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간판받침대(72a)와 상면 높이가 같도록 되어 있는 간판지지부재A(22)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부재A(21)는 수직부재A(11)에 하부가 삽입된 채 회전가능하도록 원형파이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재A(21)는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부재A(11)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회전부재A(21)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수직부재A(11) 상부 외주면에 핀삽입홀A(11a)를 형성한 후, 회전부재A(21) 하부에 핀삽입홀A(11a)와 일치되도록 다수 개의 핀삽입홀 D(21a)를 형성하여 회전시키고, 고정핀A(11b)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A(21) 하부 외주면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두 개의 핀삽입홀 D(21a)를 형성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관통되게 두 개의 핀삽입홀 D(21a)를 형성하여 회전부재A(21) 하부가 수직부재A(11) 상부에삽입되어 회전하되 차량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거나 직각이 되는 경우 고정핀A(11b)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간판지지부재A(22)는 회전부재A(21)에 일측이 용접하여 고정하는데, 간판지지부재A(22)의 상면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72)의 간판받침대(72a)의 높이와 같도록 형성되어 있고, 휨모멘트를 감안하여 중간 정도의 지점에서 회전부재A(2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간판지지부재A(22)와 회전부재A(21)를 연결하는 보강부재A(25)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간판지지부재A(22)와 회전부재A(21)를 연결하는 리브A(21b)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지지장치B(30)는 다수 개의 수직부재B(31)와, 각 수직부재B(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B(32)로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차량(70)의 화물칸(71) 뒷쪽 바닥 또는 뒷문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장치B(30)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장치A(10)와 같이 두 개의 수직부재B(31)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B(32)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화물칸(71)의 뒷문을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수직부재B(31)를 2단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지지장치A(10)와 같이 화물칸(71) 뒷쪽 모서리에 2열로 수직부재B(31)를 설치하되 수직부재B(31)를 2단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부의 수직부재B(31)는 화물칸(71) 뒷문의 높이만큼 형성하고, 상부의 수직부재B(31)는 하부 일측이 하부의 수직부재B(31)에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 상부의 수직부재B(31)와 하부의 수직부재B(31)는 화물칸(71) 앞쪽과 마찬가지로 각각 연결부재B(32)로 연결해 하중을 분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부의 수직부재B(31)는 화물칸(71) 앞쪽의 수직부재A(11)가 고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부 두 개의 수직부재B(31)를 고정플레이트에 용접시키고,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다수 개의 볼트삽입홀을 형성해 볼트로 화물칸(71) 뒷쪽 바닥과 고정시킨다.
이때, 상부의 수직부재B(31) 하부를 하부의 수직부재B(31)에 삽입시키는 것만으로는 결속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부의 수직부재B(31)와 하부의 수직부재B(31)가 연결되는 지점에 고정브라켓(3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브라켓(35)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파이프삽입홀(35a)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수직부재B(31) 연결부분이 파이프삽입홀(35a)에 삽입되고, 타측에는 볼트삽입홀B(35b)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B(35c)로 화물칸(71) 뒷쪽 문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간판적재장치B(40)는, 지지장치B(30)의 수직부재B(31)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B(41)와, 회전부재B(41)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간판(8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크레인(72)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간판받침대(72a)와 상면 높이가 갖도록 되어 있는 간판지지부재B(42)로 구성되어 있다.
간판적재장치B(40)는 간판적재장치A(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회전부재B(41)는 수직부재B(31)에 하부가 삽입된 채 회전가능하도록 원형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B(41)는 간판적재장치A(20)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간판적재장치A(20)와 마찬가지로 수직부재B(31)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회전부재B(41)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수직부재B(31) 상부 외주면에 핀삽입홀G(31a)를 형성한 후, 회전부재B(41) 하부에 핀삽입홀G(31a)와 일치되도록 다수 개의 핀삽입홀J(41a)를 형성하여 회전시키고, 고정핀D(31b)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B(41) 하부 외주면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두 개의 핀삽입홀G(31a)를 형성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관통되게 두 개의 핀삽입홀G(31a)를 형성하여 회전부재B(41) 하부가 수직부재B(31) 상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되 차량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거나 직각이 되는 경우 고정핀D(31b)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간판지지부재B(42)는 회전부재B(41)에 일측이 용접하여 고정하는데, 간판지지부재A(22)의 상면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72)의 간판받침대(72a)의 높이와 같도록 형성되어 있고, 휨모멘트를 감안하여 중간 정도의 지점에서 회전부재B(4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간판지지부재B(42)와 회전부재B(41)를 연결하는 보강부재B(45)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간판지지부재B(42)와 회전부재B(41)를 연결하는 리브B(41b)를 설치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간판(80)을 적재하지 않을 때는 간판적재장치A(20)와 간판적재장치B(40)가 회전하지 않게 하여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간판(80)을 적재할 때는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를 차량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회전시켜 간판(80)을 보다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에 각각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B(23)와 길이조절부재D(43)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B(23)와 길이조절부재D(43)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로 되어 있는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 일측 끝단에 핀삽입홀E(22b), 핀삽입홀K(42b)를 형성한 후, 길이조절부재B(23)와 길이조절부재D(43)를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에 삽입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파이프로 형성하고,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핀삽입홀F(23b), 핀삽입홀L(43b)을 형성해 고정핀C(23c), 고정핀F(43c)로 핀삽입홀E(22b), 핀삽입홀K(42b) 과 핀삽입홀F(23b), 핀삽입홀L(43b)을 관통시킴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에 형성된 각각의 핀삽입홀은 원형파이프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고정핀이 관통할 수 있도록 각각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길이조절부재B(23)와 길이조절부재D(43)의 끝단에 앵글A(23a), 앵글B(43a)를 설치할 수도 있다.
앵글A(23a), 앵글B(43a)를 설치하는 이유는 간판(80)을 적재한 상태에서 간판(80)이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가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와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 간에 높이차가 발생되는데, 앵글A(23a), 앵글B(43a)을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의 바닥면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해 간판(80) 적재시 간판(80)이 상하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려는 이유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앵글A(23a), 앵글B(43a)이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항상 위로 향해 있으면 간판(80)을 적재할 때 간판(80) 밑부분을 파손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판적재시에는 고정핀C(23c), 고정핀F(43c)를 뺀 후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를 돌려 앵글A(23a), 앵글B(43a)가 저면을 향하도록 한 후 간판(80)을 적재시키고, 적재가 끝난 후에 다시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를 돌려 앵글A(23a), 앵글B(43a)가 상부를 향하도록 한 후 고정핀C(23c), 고정핀F(43c)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앵글A(23a), 앵글B(43a)는 꼭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에만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런데, 간판(80) 적재시 간판(80)의 하중이 크거나 간판(80)의 하중이 회전부재A(21), 회전부재B(4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몰리게 되면 회전부재A(21), 회전부재B(41)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도 6,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 일측 하부에 각각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보조지지장치A(50)와 보조지지장치B(60)를 설치하고, 보조지지장치A(50)와 보조지지장치B(30)를 지지장치A(10)와 지지장치B(30)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A(14)와 고정장치B(34)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보조지지장치A(50), 보조지지장치B(60)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칸(71) 앞쪽은,
간판지지부재A(22) 일측 하부에 상단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핀삽입홀M(51a)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재C(51)와;
수직부재C(51) 하부에 상부가 삽입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핀삽입홀N(52b)이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플레이트A(52a)가 고정되어 있는 길이조절부재E(52)와;
핀삽입홀M(51a)과 핀삽입홀N(52b) 에 체결됨으로써 길이조절부재E(52)를 수직부재C(5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G(53);로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물칸(71) 뒤쪽도,
간판지지부재B(42) 일측 하부에 상단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핀삽입홀O(61a)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재D(61)와;
수직부재D(61) 하부에 상부가 삽입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핀삽입홀P(62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플레이트B(62a)가 고정되어 있는 길이조절부재F(62)와;
핀삽입홀O(61a) 와 핀삽입홀P(62b) 에 체결됨으로써 길이조절부재F(62)를 수직부재D(6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H(63);로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보조지지장치A(50), 보조지지장치B(60)를 지지장치A(10), 지지장치B(30)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A(14)와 고정장치B(34)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핀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회전봉과, 회전봉에 와셔, 너트가 체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지지장치A(50), 보조지지장치B(60)를 고정장치A(14), 고정장치B(34)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핀G(53), 고정핀H(63)를 핀삽입홀에서 꺼낸 후 길이조절부재E(52), 길이조절부재F(62)가 아래로 내려오도록 한 후 고정장치A(14), 고정장치B(34)의 회전봉을 수직하게 회전시켜 연결플레이트A(52a), 연결플레이트B(62a)의 홈에 회전봉이 끼워지게 한 후 너트와 와셔를 돌려 조이면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연결부재A(12)와 연결부재B(32)에 각각 사다리지지부재A(13)와 사다리지지부재B(33)를 고정시켜 사다리(90) 등의 보조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사다리지지부재A(13), 사다리지지부재B(33)는 도 6,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브라켓A(12a), 연결브라켓B(32a)로 연결부재A(12), 연결부재B(32)에 용접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재A(12)를 설치할 경우 연결브라켓A(12a) 하부에 브라켓(12b)을 고정시키고, 브라켓(12b)에 볼트삽입홀을 형성한 후 브라켓(12b)의 볼트삽입홀을 통해 화물칸(71) 앞쪽 상부난간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 사다리지지부재A(13)와 사다리지지부재B(33)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A(17)와 길이조절부재C(36)를 연결시키고, 길이조절부재A(17)와 길이조절부재C(36) 끝단에는 보조화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 형성된 손잡이A(17b), 손잡이B(36b)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길이조절부재A(17), 길이조절부재C(36)는 위에서 설명한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물칸(71) 앞쪽 부분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로 되어 있는 사다리지지부재A(13) 일측 끝단에 핀삽입홀B(13a)를 형성한 후, 길이조절부재A(17)를 사다리지지부재A(13)에 삽입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파이프로 형성하고,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핀삽입홀C(17a)를 형성해 고정핀B(17c)로 핀삽입홀B(13a)와 핀삽입홀C(17a)를 관통시킴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물칸(71) 뒤쪽 부분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로 되어 있는 사다리지지부재B(33) 일측 끝단에 핀삽입홀H(33a)를 형성한 후, 길이조절부재C(36)를 사다리지지부재B(33)에 삽입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파이프로 형성하고,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핀삽입홀I(36a)를 형성해 고정핀E(36c)로 핀삽입홀H(33a)와 핀삽입홀I(36a)를 관통시킴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간판(80)을 크레인(72)의 로프에 고정시켜 들어올린 후 간판적재장치A(20), 간판적재장치B(40)에 올려놓을 때 간판(80)이 크레인(72) 몸체 방향으로 몰리게 되면 크레인(72)과 간판적재장치A(20), 간판적재장치B(40) 사이의 공간으로 추락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 일측 상면에 걸림핀삽입홀A(22a)와 걸림핀삽입홀B(42a)을 형성하고, 걸림핀삽입홀A(22a)와 걸림핀삽입홀B(42a)에 일측이 삽입되는 걸림핀A(24)와 걸림핀B(4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레인(72)으로 간판(80)을 간판적재장치A(20)와 간판적재장치B(40)에 올려놓을 때 간판(80)이 걸림핀A(24), 걸림핀B(44)에 걸려 일정 거리 이상 크레인(72) 몸체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핀은 분실의 우려가 있으므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핀케이스A(24a), 걸림핀케이스B(44a)를 간판적재장치A(20)와 간판적재장치B(40) 일측에 설치하고, 걸림핀A(24), 걸림핀B(44)와 걸림핀케이스를 철사나 사슬 등의 간단한 철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판(80)을 적재하는 과정은, 먼저 크레인차량(70)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72)의 로프와 간판(80)을 고정시킨다.
그런다음, 간판적재장치A(20), 간판적재장치B(40)의 회전부재A(21), 회전부재B(41)를 회전시켜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가 차량 진행방향과 직각인 방향이 되도록 한다.
이때, 앵글A(23a), 앵글B(43a)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앵글A(23a),앵글B(43a)가 바닥을 향하도록 한다.
또,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에서 길이조절부재부재B, 길이조절부재D(43)를 이용해 간판(80)을 지탱하는 폭을 넓게 하는 것이 좋다.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를 세팅한 후 크레인(72)을 작동시켜 간판(80)이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 위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핀A(24), 걸림핀B(4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걸림핀A(24), 걸림핀B(44)에 간판(80)이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간판(80)을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 위에 위치시킨 후 간판(80)을 고정하고 있는 로프를 풀고, 크레인(72)을 최초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크레인(72)에 설치되어 있는 간판받침대(72a)와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의 바닥면이 동일하게 한다.
그런 다음 걸림핀A(24), 걸림핀B(44)를 걸림핀삽입홀A(22a), 걸림핀삽입홀B(42a)에서 꺼낸 후 간판(80)을 간판받침대(72a) 위로 밀어 간판받침대(72a)에 형성되어 있는 턱까지 밀착시킨다.
간판(80)을 간판받침대(72a) 위에 완전히 위치시켰을 때 간판(80)의 일측이 차폭을 넘지 않을 경우 간판적재장치A(20), 간판적재장치B(40)의 회전부재A(21)와 회전부재B(41)를 회전시켜 간판지지부재A(22), 간판지지부재B(42)가 차량 진행방향과 평행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걸림핀A(24), 걸림핀B(44)를 다시 걸림핀삽입홀A(22a), 걸림핀삽입홀B(42a)에 끼워 간판(80)이 차폭 너머로 밀려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간판(80)을 간판받침대(72a) 위에 완전히 위치시켰을 때 간판(80)의 일측이 차폭을 넘는 경우 간판적재장치A(20), 간판적재장치B(40)의 회전부재A(21)와 회전부재B(41)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때,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에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길이조절부재B(23), 길이조절부재D(43)를 이용해 차폭 너머 위치한 간판(80)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 앵글A(23a), 앵글B(43a)가 설치되어 있으면 앵글A(23a), 앵글B(43a)를 조작해 간판(80) 일측이 앵글A(23a), 앵글B(43a)에 걸려 밀려 넘어오지 않도록 한다.
간판(80)의 폭이 크거나 하중이 클 경우 보조지지장치A(50), 보조지지장치B(60)를 고정장치A(14), 고정장치B(34)에 연결해 간판적재장치A(20), 간판적재장치B(40)와 지지장치A(10) 지지장치B(30)가 각각 2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사다리지지부재A(13), 사다리지지부재B(3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다리지지부재 A, 사다리지지부재B(33)에 사다리(90)를 적재할 수 있다.
크레인(72)의 간판받침대(72a)에 적재된 간판(80)을 내려놓는 작업은 적재하는 작업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본 고안에 의해, 크레인차량에 간판을 적재할 때 다른 크레인을 사용하거나 여러 사람을 고용할 필요 없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으로 간판적재 보조장치에 간판을 임시 적재한 후 1인 수작업으로 크레인의 간판받침대에 간판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 간판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간판 적재 작업시에는 간판 적재를 보조하고, 간판 적재 후 차량 이동시에는 간판의 하중을 분할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간판을 운반시키게 된다.
또한, 간판지지부재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간판 폭이 커질 경우에도 간판을 적재, 운반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수직부재A(11)와, 각 수직부재A(1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A(12)로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차량(70)의 화물칸(71) 앞쪽 바닥 또는 난간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장치A(10)와;
    상기 지지장치A(10)의 수직부재A(11)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A(21)와, 회전부재A(21)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간판(8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크레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간판받침대(72a)와 상면 높이가 갖도록 되어 있는 간판지지부재A(22)로 구성된 간판적재장치A(20)와;
    다수 개의 수직부재B(31)와, 각 수직부재B(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B(32)로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차량(70)의 화물칸(71) 뒷쪽 바닥 또는 뒷문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장치B(30)와;
    상기 지지장치B(30)의 수직부재 일측에 하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B(41)와, 회전부재B(41) 상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간판(8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크레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간판받침대(72a)와 상면 높이가 갖도록 되어 있는 있는 간판지지부재B(42)로 구성된 간판적재장치B(40);를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는 각각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B(23)와 길이조절부재D(43)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길이조절부재B(23)와 길이조절부재D(43) 끝단에 앵글A(23a), 앵글B(43a)가 용접결합되어 있어 간판적재시 간판 일측이 앵글A(23a), 앵글B(43a)에 걸려 길이조절부재B(23)와 길이조절부재D(43) 바깥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 일측 하부에는 각각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보조지지장치A(50)와 보조지지장치B(60)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부재A(12), 연결부재B(32) 상부에 보조지지장치A(50)와 보조지지장치B(60)를 지지장치A(10)와 지지장치B(30)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A(14)와 고정장치B(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장치A(10)와 지지장치B(30)의 연결부재A(12), 연결부재B(32)에는 각각 사다리지지부재A(13)와 사다리지지부재B(33)가 고정되어 있어 사다리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지지부재A(13)와 사다리지지부재B(33)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C(36)와 길이조절부재D(43)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길이조절부재C(36)와 길이조절부재D(43) 끝단에는 사다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 일측 상면에 걸림핀삽입홀A(22a)와 걸림핀삽입홀B(42a)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핀삽입홀A(22a)와 걸림핀삽입홀B(42a)에 일측이 삽입되는 걸림핀A(24)와 걸림핀B(44)가 더 구비되어 있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으로 간판(80)을 간판지지부재A(22)와 간판지지부재B(42) 상면에 적재할 때 걸림핀A(24), 걸림핀B(44)에 간판(80)이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KR20-2004-0011148U 2004-04-22 2004-04-22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KR200356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148U KR200356222Y1 (ko) 2004-04-22 2004-04-22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148U KR200356222Y1 (ko) 2004-04-22 2004-04-22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222Y1 true KR200356222Y1 (ko) 2004-07-14

Family

ID=4943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148U KR200356222Y1 (ko) 2004-04-22 2004-04-22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2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387A (en) Device and method to lift and manipulate poles which are mounted onto a base
JP4767929B2 (ja) トラック用の親綱支柱及び親綱架設装置
WO2012045160A1 (en) Support device for truss system
US11021847B2 (en) Bell hole box
US6663065B1 (en) Portable boom
KR200356222Y1 (ko) 크레인차량의 간판적재 보조장치
US5248157A (en) Tent pole hoisting apparatus
JP3152426U (ja) 船艙またはバラストタンクの足場用ブラケットの構造
US10449986B1 (en) Transport cart for ballast block
JP7274334B2 (ja) 折り畳み式仮設足場の吊り上げ装置及びその吊り上げ方法
JPH11292457A (ja) 鋼矢板吊り上げ具
KR102022044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JP4399343B2 (ja) パネル吊り込み方法
KR101804044B1 (ko)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CN112573344A (zh) 超大混凝土预制看台板吊装、翻身装置及其使用方法
JP2001020528A (ja) 外壁施工方法
JP6223874B2 (ja) 揚重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るポールの取付および取外方法
EP2853512B1 (en) Device to connect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to an object that shall be lifted
JP2006299520A (ja) 共同溝蓋開閉装置
JP7216600B2 (ja) 折り畳み式仮設足場
WO2020202672A1 (ja) 建設機械の足場装置
JP2569862Y2 (ja) 杭打機の昇降装置
JP2017166207A (ja) 床付き布わくのつかみ金具
FR2774414A1 (fr) Dispositif de soutien provisoire de poutrelle
JP2002037589A (ja) 地下埋設設備の吊上装置、及び該設備の吊上作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