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044B1 -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044B1
KR101804044B1 KR1020160032610A KR20160032610A KR101804044B1 KR 101804044 B1 KR101804044 B1 KR 101804044B1 KR 1020160032610 A KR1020160032610 A KR 1020160032610A KR 20160032610 A KR20160032610 A KR 20160032610A KR 101804044 B1 KR101804044 B1 KR 10180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eavy object
lifting
slo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535A (ko
Inventor
김경태
신재철
양영록
조민기
임범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3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0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과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으면서 인양시 중량물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는, 중량물(1)을 인양하는 중량물 인양기구에 상단이 체인(31)으로 연결되는 T형 후크(10)와, 중량물(1)에 체결되고, 상기 T형 후크(10)의 하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T형 후크(10)에 연결되는 후크 고정구(20)를 포함하고, 상기 T형 후크(10)는 상기 후크 고정구(20)로 삽입된 후,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킨 후, 중량물이 인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hook assembly for lifting heavy object}
본 발명은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 중량물의 상부에 고정하는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서, 중량물과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으면서 인양시 중량물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중량물은 이동시키려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중량물을 우선 인양한 상태에서 상기 중량물은 원하는 장소에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서 상기 중량물에는 상기 크레인이 상기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후크가 설치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에 천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후크(110)의 하단을 끼운 후, 체인(31)을 이용하여 상기 중량물을 인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후크(110)가 상기 중량물(1)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상기 중량물(1)이 기울어지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 상기 중량물(1)로부터 상기 후크(110)가 분리되어 중량물이 낙하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중량물 인양에 사용되는 반자동 후크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0-0029806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중량물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상기 중량물이 크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의 인용이 용이하도록 한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이 인양되고 상태에서는 중량물이 후크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는, 중량물을 인양하는 중량물 인양기구에 상단이 체인으로 연결되는 T형 후크와, 중량물에 체결되고, 상기 T형 후크의 하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T형 후크에 연결되는 후크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T형 후크는 상기 후크 고정구로 삽입된 후,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킨 후, 중량물이 인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형 후크는, 후크본체와, 상기 후크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후크본체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 고정구는 내부에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 고정구의 상부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출입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T형 후크는 상기 연장부를 기울여 상기 슬롯의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연장부를 상기 슬롯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본체의 상단에 상기 체인에 대하여 상기 후크본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T형 후크가 회전되게 하는 스위블 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 볼트와 상기 체인은 두 개의 고리가 회전축으로 연결된 커플링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물에서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후크 고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후크 고정구마다 상기 T형 후크가 조립되고, 상기 인양기구에서 승강되는 인양지그는 상기 복수의 T형 후크마다 상기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 따르면, T형 후크의 연장부를 후크 고정구의 슬롯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중량물과 인양할 수 있어서, 상기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 상기 중량물과 크레인을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그 반대과정을 통하여 상기 T형후크와 후크 고정구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중량물의 이동후 상기 중량물과 상기 크레인과 분리하는 작업도 용이해진다.
아울러, 상기 중량물이 인양중일 때에는 상기 T형 후크의 연장부가 상기 후크 고정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인양 작업중 상기 중량물이 낙하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중량물은 인양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T형 후크와 후크 고정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T형 후크와 후크 고정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서 T형 후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서 후크 고정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서 T형 후크를 후크 고정구에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서 T형 후크와 후크고정구의 결합조건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는, 중량물(1)을 인양하는 중량물 인양기구에 상단이 체인(31)으로 연결되는 T형 후크(10)와, 중량물(1)에 체결되고, 상기 T형 후크(10)의 하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T형 후크(10)에 연결되는 후크 고정구(20)를 포함하고, 상기 T형 후크(10)는 상기 후크 고정구(20)로 삽입된 후,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킨 후, 중량물이 인양되도록 한다.
T형 후크(10)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기구측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T형 후크(10)는 후크본체(11)와, 상기 후크본체(11)의 하단에서 현장되는 연장부(12)와, 상기 후크본체(11)의 상단에 체결되는 스위블 볼트(13)와, 상기 T형 후크(10)를 체인(31)에 연결시키는 연결고리(14)를 포함한다.
후크본체(11)는 상기 T형 후크(10)의 상하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본체(11)를 통하여 중량물(1)의 하중이 인양기구로 전달된다.
연장부(12)는 상기 후크본체(11)의 하단에서 상기 후크본체(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후크본체(11)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장부(1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후크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고, 'T'자를 뒤집은 것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 연장부(12)는 그 단면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스위블 볼트(13)는 상기 후크본체(11)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블 볼트(13)는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가능한 구조로, 상기 스위블 볼트(13)의 양단에 연결되는 두 물체가 서로 상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블 볼트(13)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본체(11)를 상기 체인(31)에 대하여 상기 후크본체(11)의 축으로 기준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서, 상기 체인(31)에 대하여 상기 T형 후크(10)를 상대회전 시킨다.
연결고리(14)는 상기 스위블 볼트(13)와 상기 체인(31)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연결고리(14)는 상기 스위블 볼트(13)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고리(14)는 상기 체인(3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32)을 매개로 하여 상기 체인(3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링(32)은 두 개의 고리가 힌지축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양쪽 고리에 각각 상기 스위블 볼트(13)와 상기 체인(31)이 각각 연결된다.
후크 고정구(20)는 상기 중량물(1)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T형 후크(10)가 상기 후크 고정구(20)를 들어 올림으로써, 중량물(1)이 인양되도록 한다.
상기 후크 고정구(20)는 블록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 고정구(20)의 둘레가 상기 중량물(1)과 용접 등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크 고정구(20)와 상기 중량물(1)이 일체가 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고정구(20)에는 상기 연장부(12)가 출입될 수 있도록 슬롯(21)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21)의 방향은 상기 체인(31)에 의해 작용하는 장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21)은 정해진 길이를 갖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1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21)의 길이가 상기 연장부(12)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연장부(12)를 상기 슬롯(21)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연장부(12)는 기울여야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12)가 상기 슬롯(21)과 같은 방향이 되더라도 상기 T형 후크(10)의 후크본체(11)가 수직하다면,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슬롯(21)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T형 후크(10)가 상기 후크 고정구(2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슬롯(21)의 폭은 상기 연장부(1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롯(21)의 일단은 상기 슬롯(21)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슬롯(21)에서 상기 중량물(1)의 인양시 상기 T형 후크(10)가 위치하는 곳의 반대쪽은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21)에서 상기 중량물(1)의 인양시 상기 T형 후크(10)가 위치하는 곳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슬롯(21)은 상기 후크 고정구(2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후크 고정구(20)에 상기 슬롯(21)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슬롯(21)은 상기 슬롯(21)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슬롯(21)의 내측면은 상기 후크본체(11)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면접촉한다. 상기 후크본체(11)의 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장부(12)가 상기 후크 고정구(2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T형 후크(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앞서 상기 슬롯(21)의 폭이 상기 연장부(12)의 직경보가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연장부(12)를 상기 슬롯(21)에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장부(12)가 상기 슬롯(21)에 삽입되면,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21)의 내측면은 상기 후크본체(11)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면접촉한다.
상기 후크 고정구(20)는 내부에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23)에 상기 연장부(1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23)의 내부에서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슬롯(21)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T형 후크(10)와 상기 후크 고정구(20)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23)는 상기 T형 후크(1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장부(12)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크 고정구(20)에서 상기 중공부(2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후크 고정구(20)는 상판과 하판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은 연결하도록 수직하게 고정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2)를 통하여 상기 후크 고정구(22)를 상기 중량물(1)과 밀폐구조가 되도록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 상기 T형 후크와 상기 후크 고정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T형 후크(10)와 상기 후크 고정구(20)를 서로 조립하기 전에, 상기 중량물(1)에 상기 후크 고정구(20)를 먼저 설치한다. 상기 중량물(1)에 상기 후크 고정구(20)의 둘레 형상으로 천공한다. 천공으로 형성된 구멍에 상기 후크 고정구(20)를 위치시키고, 상기 후크 고정구(20)의 둘레를 따라 용접 등을 통하여 상기 후크 고정구(20)와 상기 중량물(1)을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 고정구(20)는 복수로 상기 중량물(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 고정구(20)가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인양기구의 인양점으로부터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양점은 상기 인양기구가 상기 체인(31)을 끌어올리는 지점으로 인양지그(41)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인양지그(41)는 상기 인양기구에 권취되는 케이블 등에 설치어 승강되고, 상기 인양지그(41)는 샤클(33)을 통하여 상기 체인(31)이 연결된다. 상기 인양지그(41)의 상기 인양지그(41)에 형성된 관통공(4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인양기구의 케이블 등에 연결됨으로써, 무게중심을 조절한다.
도 7에는 T형 후크(10)와 후크 고정구(20)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기 T형 후크(10)를 상기 후크 고정구(20)에 조립하기 위해서, 도 7의 (a)와 같이, 상기 T형 후크(10)의 연장부(12)를 상기 후크 고정구(20)의 슬롯(21)과 평행하게 일치시키고, 상기 T형 후크(10)를 기울인 상태로 상기 연장부(12)의 일측부터 상기 슬롯(21)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23)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T형 후크(10)는 상기 중량물을 인양할 때, 상기 T형 후크(10)가 상기 체인(31)에 의해 당겨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한다.
상기 T형 후크(10)에서 상기 후크본체(11)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연장부(12)가 상기 중공부(23)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T형 후크(10)를 직립시킨다(도 7의 (b) 참조).
상기 연장부(12)가 상기 중공부(23)에 삽입되고, 상기 T형 후크(10)가 직립되면, 도 7의 (c)와 같이, 상기 T형 후크(10)의 상기 후크본체(11)를 회전시킨다. 상기 후크본체(11)를 90도 회전시키면, 상기 연장부(12)가 형성된 방향와 상기 슬롯(21)이 형성된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상기 T형 후크(10)가 상기 후크 고정구(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도 7의 (d)와 같이, 상기 T형 후크(10)를 상기 인양지그(41)가 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인다. 만약 상기 T형 후크(10)가 체인(31)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T형 후크(10)와 상기 체인(31)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각 후크 고정구(20)의 슬롯(21)마다 상기 T형 후크(10)를 조립한다.
상기 T형 후크(10)와 상기 후크 고정구(20)의 조립인 완료되면, 인양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중량물(1)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상기 인양기구가 작동하면, 상기 인양지그(41)가 상승하면서 상기 인양지그(41)에 연결된 체인(31)과 상기 체인(31)에 연결된 상기 T형 후크(10)를 통하여 중량물(1)을 인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T형 후크(10)를 상기 후크 고정구(2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조립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도 8에는 조립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상기 T형 후크(10)와 상기 후크 고정구(20)가 조립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 (b)에는 정상적인 조립으로 상기 T형 후크(10)와 상기 후크 고정구(20)가 조립된 상태로서, 상기 T형 후크(10)가 상기 후크 고정구(20)에 정상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슬롯(21)에 정상적으로 조립되어 안전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형 후크(10)와 상기 후크 고정구(20)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양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충격을 받아, 상기 T형 후크(10)가 후크 고정구(20)의 내부에서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후크 고정구(20)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인양된 중량물이 낙하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8의 (d)에는 상기 T형 후크(10)가 상기 후크 고정구(20)의 내부에 오조립된 상태(연장부와 슬롯이 같은 방향으로 조립)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T형 후크(10)의 연장부가 상기 후크 고정구(20)의 슬롯(21)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T형 후크(10)가 상기 후크 고정구(2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인양된 중량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1 : 중량물 10 : T형 후크
11 : 후크본체 12 : 연장부
13 : 스위블 볼트 14 : 연결고리
20 : 후크 고정구 21 : 슬롯
22 : 고정부 23 : 중공부
31 : 체인 32 : 커플링
33 : 샤클 41 : 인양지그
42 : 체결공 110 : 후크

Claims (7)

  1. 중량물을 인양하는 중량물 인양기구에 상단이 체인으로 연결되는 T형 후크와,
    중량물에 체결되고, 상기 T형 후크의 하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T형 후크에 연결되는 후크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T형 후크는, 후크본체와, 상기 후크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후크본체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T형 후크는 상기 후크 고정구로 삽입된 후,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킨 후, 중량물이 인양되고,
    상기 후크 고정구는 내부에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 고정구의 상부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출입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T형 후크는 상기 연장부를 기울여 상기 슬롯의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연장부를 상기 슬롯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연장부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서 상기 체인에 의해 당겨지는 일단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본체의 양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본체의 상단에 상기 체인에 대하여 상기 후크본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T형 후크가 회전되게 하는 스위블 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볼트와 상기 체인은 두 개의 고리가 회전축으로 연결된 커플링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에서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후크 고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후크 고정구마다 상기 T형 후크가 조립되고,
    상기 인양기구에서 승강되는 인양지그는 상기 복수의 T형 후크마다 상기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KR1020160032610A 2016-03-18 2016-03-18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KR10180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10A KR101804044B1 (ko) 2016-03-18 2016-03-18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10A KR101804044B1 (ko) 2016-03-18 2016-03-18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35A KR20170108535A (ko) 2017-09-27
KR101804044B1 true KR101804044B1 (ko) 2017-12-01

Family

ID=6003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610A KR101804044B1 (ko) 2016-03-18 2016-03-18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453B1 (ko) * 2021-09-07 2024-01-02 정동진 복공판 인양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복공판의 인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813A (ja) * 2000-09-05 2002-03-19 Taiyo Seiki Kogyo Kk ロープ緊張保持具
US20150123418A1 (en) 2013-11-01 2015-05-07 Wear Applications and Management Services Pty Ltd. Lifting devi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813A (ja) * 2000-09-05 2002-03-19 Taiyo Seiki Kogyo Kk ロープ緊張保持具
US20150123418A1 (en) 2013-11-01 2015-05-07 Wear Applications and Management Services Pty Ltd. Lifting devi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35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0047B1 (en) Releasable locking, coupling or support device
US9663330B2 (en) Raising devic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tower segment
US20060219649A1 (en) Portable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JP5755846B2 (ja) 穴吊り治具
KR101804044B1 (ko)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JP2007022789A (ja) 吊り治具および竪管施工方法
KR102141314B1 (ko) 전도방지가 가능한 말뚝 인양장치
CN112777478B (zh) 航空发动机翻转工装及其吊具
JP3225269U (ja) 吊りピース
JP6801692B2 (ja) 揺動接続構造及びクレーン
US10919737B2 (en) Rotatable anchoring assembly
CN114516588A (zh) 一种吊装工装、吊装组件及吊装方法
JP2016023021A (ja) 柱吊り治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6158093A (en) Line connector mechanis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358216B1 (ko) 핀타입 리프팅프레임 및 핀타입 리프팅프레임을 이용한 데릭 설치 공법
JP4402543B2 (ja) 位置合わせ用ガイド治具及びそれらを用いた杭の縦継ぎ方法。
CN212198128U (zh) 一种油田用吊装锁具
CN210480590U (zh) 吊具及起重装置
KR101956209B1 (ko) 크레인 스윙부의 결합구조
CN211173168U (zh) 预制墙体吊装工具
JP6597758B2 (ja) 抜け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械
WO2020217105A1 (en) Modular recovery or lifting system
KR20170089290A (ko) 권상용 지그의 체결구조
JPH0733389A (ja) ワイヤ仕込み装置
CN112660977A (zh) 吊装装置及使用所述吊装装置的吊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