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343Y1 - 낚시용 발광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발광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343Y1
KR200355343Y1 KR20-2004-0009590U KR20040009590U KR200355343Y1 KR 200355343 Y1 KR200355343 Y1 KR 200355343Y1 KR 20040009590 U KR20040009590 U KR 20040009590U KR 200355343 Y1 KR200355343 Y1 KR 200355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uoyancy body
fishing
bobb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박성운
Original Assignee
김영대
박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박성운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20-2004-0009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발광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간에는 일반 낚시찌로 사용하고, 찌톱상에 발광수단을 장착시켜 야간에는 발광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찌가 수중에 침수된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자동 발광되는 낚시용 발광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이 발광되도록 발광수단이 수용된 찌톱과, 상기 찌톱과 연결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고 낚싯줄과 찌를 연결하는 찌꼬리로 구성되는 낚시용 발광찌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찌톱(30)과 연결되는 상단 부력체(10)와, 상기 상단부력체(10)와 결합되고 상기 발광수단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가 수용되는 전원부력체(20)와, 상기 전원부력체(20)와 결합되고 상기 찌꼬리(71)와 연결되는 하단부력체(7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용 발광찌{LUMINOUS FLOAT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용 발광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간에는 일반 낚시찌로 사용하고, 찌톱상에 발광수단을 장착시켜 야간에는 발광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찌가 수중에 침수된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자동 발광되는 낚시용 발광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찌는 물고기의 낚시바늘을 물었을 경우의 신호, 즉 어신을 전달시켜주는 부표물을 말한다. 찌는 낚시에 필요한 소품 중의 하나로서 그 모양새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찌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시각적으로 잘 인식될 수 있는 가시력과, 어신을 감지하기 위한 예민한 감도와, 원거리까지 채비를 보낼 수 있는 원투력과, 어신이나 외력이 없는 경우에 흔들림이나 기울림이 없어야 하는 안정감과,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력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찌를 야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광체를 찌톱상에 끼워 사용하고 있다. 이에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02708호에서는 찌몸체의 내부에 배터리와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찌톱으로 조사되도록 형성된 낚시용 발광찌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90146호에서는 찌톱의 상단부에 배터리와 적색및 녹색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하고, 찌톱상에 2개의 센서를 장착하여 어신이 올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구성된 낚시발광찌용 회로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02708호는 야간에 낚시하기는 편리하지만, 일정 색상의 빛만 조사되므로 어신의 감지를 확신할 수 없으며 야간용으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90146호는 찌톱의 상단부에 배터리와 발광 다이오드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찌의 무게가 증가되고, 무게중심을 맞추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시된 발광찌는 주간이나 야간에 따라 발광여부를 쉽게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모량이 많아 자주 배터리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고, 단순히 찌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간에 발광되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어신감지의 감도와, 구조적인 불균형으로 인한 찌의 안정감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을 제어할 수 있고, 원거리에 투척된 찌의 발광색만으로도 어신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낚시용 발광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단부력체 11~15: 수분센서
20: 전원부력체 30: 찌톱
31∼36: 고휘도 엘이디(LED) 40: 반사체
41: 발광필름 42: 편광필름
43: 플랙시블기판 50: 배터리
51: 전선 52, 55: 전원단자
53: 상단나사부 54: 배터리 수용부
63: 하단나사부 64: 암나사부
65: 메인스위치 70: 하단부력체
71: 찌꼬리 81~86: 이엘쉬트(E.L. Sheet)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이 발광되도록 발광수단이 수용된 지톱과, 상기 찌톱과 연결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고 낚싯줄과 찌를 연결하는 찌꼬리로 구성되는 낚시용 발광찌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찌톱과 연결되는 상단부력체와, 상기 상단부력체와 결합되고 상기 발광수단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전원부력체와, 상기 전원부력체와 결합되고 상기 찌꼬리와 연결되는 하단 부력체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력체는 일측면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와, 타측면에 상기 하단부력체가 나사결합되도록 일정 깊이로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력체는 상측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단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력체는 상기 전원부력체의 배터리 수용부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상단나사부(53)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력체의 배터리 수용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찌톱에 공급되도록 전선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단부력체와 전원부력체의 연결부분은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수단은 고휘도 엘이디이고, 상기 찌톱은 일정 직경을 갖으며 일정간격으로 발광물질이 도포된 발광필름과, 상기 발광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상단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고휘도 엘이디가 장착되고, 타측의 종단부에는 내측에 조사된 빛을 전반사시키는 반사체가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찌톱은 일정 직경을 갖으며 일정 간격으로 발광물질이 도포된 발광필름과, 상기 발광필름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고휘도 엘이디와, 상기 고휘도 엘이디의 상단부 발광필름의 외측에 각각 장착되는 수분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발광수단이 이엘쉬트로서, 상기 제품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개의 이엘쉬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수단이 이엘와이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배터리와 플렉시블 기판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낚시용 발광찌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는 상기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도포되어 각각 다른 색상이 발광되는 찌톱(30)과, 상기 찌톱(30)과 연결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고 낚싯줄과 찌를 연결하는 찌꼬리(71)로 구성되어, 종래의 일반적인 찌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찌톱(30)과 연결되는 상단부력체(10)와, 상기 상단부력체(10)와 결합되고 배터리(50)가 수용되는 전원부력체(20)와, 상기 전원부력체(20)와 결합되고 상기 찌꼬리(71)와 연결되는 하단부력체(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력체의 전원부력체(20)는 일측으로만 배터리가 수용되기 때문에 주간에 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면을 상기 하단부력체(70)와 결합시키고, 반대측면에는 상기 상단부력체(10)를 결합시켜 발광되지 않는 찌로써 사용하게 되고, 야간에 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면을 상기 상단부력체(10)와 결합시켜 배터리(50)의 전원을 공급시켜 발광찌로써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력체(20)는 일측면에 배터리(50)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54)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나사를 형성한다. 또한, 타측면에는 일정 깊이로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64)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부력체(70)는 상측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단나사부(63)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부력체(20)의 배터리 수용부(54)나 암나사부(64)에 나사결합되도록 삽입 체결된다. 다시 말해, 주간에는 배터리 수용부(54)측에 결합시키고, 야간에는 암나사부(64)에 나사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상부부력체(10)는 상기 전원부력체(20)의 배터리 수용부(54)나 암나사부(64)에 나사결합되는 상단나사부(53)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력체(20)의 배터리 수용부(54)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50)의 전원이 상기 찌톱(30)에 공급되도록 전선(5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나사부(53)에는 전원단자(52, 55)가 각각 중앙부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51)가 연결된다. 즉, 상기 상단나사부(53)를 상기 배터리 수용부(54)에 완전결합시키는 경우에만, 상기 배터리(50)의 전원이 전원단자(52, 55)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단부력체(10)와 전원부력체(20)의 연결부분에는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찌톱(30)은 일정 직경을 갖으며, 일정 간격으로 발광물질이 도포된 발광필름(41)의 일측은 상기 상단부력체(10)와 연결되며, 타측의 종단부에는 내측에 조사된 빛을 전반사시키는 반사체(4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는, 상기 발광필름(41)이 상기 상단부력체(10)와 연결되는 내측에 상기 배터리(50)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고휘도 엘이디(LED)가 장착된다. 즉, 야간에 발광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부력체(20)를 상단부력체(10) 측에 연결하여, 상기 전원부력체(20)의 배터리(50)의 전원이 상기 고휘도 엘이디(31)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는, 상기 발광필름(41)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휘도 엘이디(31~36)가 장착되고, 상기 고휘도 엘이디(31∼36)의 상단부 발광필름(41)의 외측에 수분센서(11~15)가 각각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분센서(11∼15)는 찌가 수중에 투척되어 움직임이 없이 수중에 일정한 부력으로 뜨게 되는 경우에 수분과 접촉되는 수분센서이다. 즉, 수분이 감지되는 경우엔 수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의 센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면부호 13의 수분센서가 수분을 감지하여 동작되면, 상기 수분센서13 보다 아래쪽에 장착된 고휘도 엘이디 31, 32, 33은 소등되고, 상기 수분센서13 보다 상부쪽에 장착된 고휘도 엘이디 34, 36은 점등된다. 따라서, 야간에 원거리의 찌가 현재 어느 정도 침수되어 있는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어신이 오는 경우에는 상기 찌가 움직이게 되고, 찌의 움직임을 상기 수분센서가 감지하여 해당되는 고휘도 엘이디를 각각 점멸시켜 용이하게 어신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분센서(11~15)의 감지에 따른 고휘도 엘이디(31~36)의 점멸은 아래의 표1과 같다.
도5는 상기 표1과 같이 동작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Tr은 스위칭 트랜지스터이고, 도면부호 R은 저항을 표시하고, 도면부호 65는 상단부력체(10)와 전원부력체(20)의 결합여부에 따른 메인스위치(65)를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 각각의 수분센서(11∼15)가 동작되는 경우에는 고휘도 엘이디(31∼35)의 입출력 전위가 동일하게 되어 소등되는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찌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찌톱(30)이 각각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이엘쉬트(81∼86)로 형성된다. 상기 이엘쉬트(EL Sheet)는 투명한 유기필름 또는 선형구조물에 발광층이 될 형광체를 도포한 후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기장은 형광체로 하여금 빠르게 충전과 방전을 일으키게 하고, 이 순환과정에서 전자의 움직임이 빛으로 보이게 되는 현상을 EL(Electro Luminescence)이라고 한다. 이러한 EL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종이처럼 얇고 가벼운 발광 시트를 이엘(EL Sheet)라고 하며, 초박형(0.17mm sheet)구조로 어느 곳에나 설치가 가능하며, 다양한 색의 칼라연출과 빛의 밝기 및 광도유지시간의 증가를 통해 그 용도가 다양하다.
한편, 상기 이엘쉬트(81∼86)의 외측에는 수분센서(11∼15)가 각각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분센서(11∼15)는 찌가 수중에 투척되어 움직임이 없이 수중에 일정한 부력으로 뜨게 되는 경우에 수분과 접촉되는 수분센서이다. 상기 수분센서(11∼15)와 이엘쉬트(81∼86)의 동작은 상기 표1에서 고휘도 엘이디(31∼36)를 이엘쉬트(81∼86)으로 치환한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된다.
또한, 상기 이엘쉬트 대신에 이엘와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엘와이어는 이엘시트와 마찬가지로 EL현상을 전선 제조기술에 접목시킨 것으로 발광선을 EL와이어(wire)라고 하며, 직경이 2.3 ∼ 3.2mm이고 완전방수, 고내구성 실현 등으로 어느곳에서나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깔과 자외선에 견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발광필름(41)과, 다른 실시예에서 이엘쉬트(81∼86) 또는 이엘와이어의 외피는 발광빛이 상부쪽으로만 조사되도록 하고, 상기 발광필름(41)과 이엘쉬트(81∼86)를 보호하는 편광필름(42)이 접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고휘도엘이디(31~36)과 수분센서(11∼15) 및 다른 실시예에서 이엘쉬트(81∼86) 또는 이엘와이어는 매우 가볍고 유연성이 좋은 플렉시블 기판(FPCB)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을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 편리성을 제공하고 배터리를 장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거리에 투척된 찌의 발광색만으로도 어신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 낚시를 더욱 흥미롭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다양한 색상이 발광되도록 발광수단이 수용된 찌톱과, 상기 찌톱과 연결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고 낚싯줄과 찌를 연결하는 찌꼬리로 구성되는 낚시용 발광찌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찌톱(30)과 연결되는 상단부력체(10)와, 상기 상단부력체(10)와 결합되고 상기 발광수단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가 수용되는 전원부력체(20)와, 상기 전원부력체(20)와 결합되고 상기 찌꼬리(71)와 연결되는 하단부력체(70)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부력체(20)는 일측면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50)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54)와, 타측면에 상기 하단부력체(70)가 나사결합되도록 일정 깊이로 암나사부(64)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력체(70)는 상측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단나사부(6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력체(10)는 상기 전원부력체(20)의 배터리 수용부(54)나 암나사부(64)에 나사결합되는 상단나사부(53)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원부력체(20)의 배터리 수용부(54)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50)의 전원이 상기 찌톱(30)에 공급되도록 전선(51)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고휘도 엘이디이며,
    상기 찌톱은 일정 직경을 갖으며 일정 간격으로 발광물질이 도포된 발광필름(41)과, 상기 발광필름(41)의 일측에는 상기 싱단부력체(10)와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50)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고휘도 엘이디가 장착되고, 타측의 종단부에는 내측에 조사된 빛을 전반사시키는 반사체(40)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고휘도 엘이디이며,
    상기 찌톱은 일정 직경을 갖으며 일정 간격으로 발광물질이 도포된 발광필름(41)과, 상기 발광필름(41)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고휘도 엘이디(31∼36)와, 상기 고휘도 엘이디(31∼36)의 상단부 발광필름(41)의 외측에 각각 장착되는 수분센서(11∼1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배터리(50)와 플렉시블 기판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은 상기 발광수단에 의한 빛이 일정 방향으로 조사되도록편광필름(42)이 더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찌.
KR20-2004-0009590U 2004-04-02 2004-04-02 낚시용 발광찌 KR200355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90U KR200355343Y1 (ko) 2004-04-02 2004-04-02 낚시용 발광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590U KR200355343Y1 (ko) 2004-04-02 2004-04-02 낚시용 발광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728A Division KR20040038935A (ko) 2004-03-29 2004-03-29 낚시용 발광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343Y1 true KR200355343Y1 (ko) 2004-07-06

Family

ID=4943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590U KR200355343Y1 (ko) 2004-04-02 2004-04-02 낚시용 발광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3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8047Y1 (ko) 2023-02-03 2024-06-03 김윤임 양방향 led 플립칩을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8047Y1 (ko) 2023-02-03 2024-06-03 김윤임 양방향 led 플립칩을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580B1 (en) Fishing bobber having light device
KR20190143171A (ko) 입질반응 변색 발광 낚시찌
KR20120033400A (ko) 전자찌
US7047687B2 (en)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JP2014110208A (ja) 装飾用の発光装置
KR200355343Y1 (ko) 낚시용 발광찌
KR200292616Y1 (ko) 어신감지용 발광 낚시찌
KR20040038935A (ko) 낚시용 발광찌
KR100820574B1 (ko) 축광식 바다낚시용 전자찌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JP2011160714A (ja) 疑似餌および竿先振動検知具
KR200429322Y1 (ko) 발광봉
KR20120086601A (ko) 휴대용 발광밴드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JP2017528168A (ja) 釣り用発光浮き
JP2009181834A (ja) センサーライト
CN214485543U (zh) 发光球体
KR200304880Y1 (ko) 스위칭 발광부가 구비된 낚싯대 거치구의 전원공급구조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0394624Y1 (ko) 터치식 발광 악세사리
KR200306613Y1 (ko) 낚시찌
JPH09224537A (ja)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100842106B1 (ko) 기능성 낚시찌
KR20110003900U (ko) 엘이디램프를 구성한 낚시용 루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