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322Y1 - 발광봉 - Google Patents

발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322Y1
KR200429322Y1 KR2020060021291U KR20060021291U KR200429322Y1 KR 200429322 Y1 KR200429322 Y1 KR 200429322Y1 KR 2020060021291 U KR2020060021291 U KR 2020060021291U KR 20060021291 U KR20060021291 U KR 20060021291U KR 200429322 Y1 KR200429322 Y1 KR 200429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led
ligh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현
Original Assignee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1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3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은 광투과성 재질의 통형상을 갖는 발광부와; 적어도 하나의 LED가 내장된 LED유닛과, LED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LED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스위칭부를 가지며, 발광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발광본체와; 발광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발광부를 따라 발산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발광캡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발광되는 빛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봉

Description

발광봉{LIGHT EMITTING RO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발광캡을 변형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광봉 10 : 발광부
13 : 패턴부 20 : 발광본체
30 : 하우징 31 : 수용부
33 : 후단부캡 40 : LED유닛
41 : LED 43 : PCB보드
45 : 단자연결부재 50 : 배터리
60 : 스위칭부 70 : 발광캡
A : 제1색상 B : 제2색상
C : 제3색상
본 고안은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를 이용한 휴대용 발광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봉은 야간 또는 어두운 공간에서 콘서트 등의 행사를 하는 경우, 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경우, 행군 또는 행렬에서 지휘봉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발광봉은 별도의 분리막이 형성된 통형상의 튜브내에 각기 다른 물질 즉, 일측에는 플루오레세인, 나트륨 약산성 수용액을 장입하고, 타측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장입하여, 사용할 때에는 중간부위에 형성된 분리막이 터질 수 있도록 튜브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구부리면 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막이 파열되어 화학물질이 서로 섞이면서 발광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야광물질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봉은 광도가 낮으며, 사용시간이 약 2~3시간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발광봉을 사용하지 않고 오랜 시간을 방치하였거나 습기에 노출된 경우에는 광도가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야광물질은 환경오염물질이므로 사용하고 난 후에 폐기물처리를 하지 않고 버리게 되면 환경오염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LED를 갖는 발광본체와 형광재를 갖는 발광부로 구성되는 발광봉을 고안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발광봉을 선출원(출원번호20-2002-0009905)한 바 있다.
선출원된 발광봉의 LED는 빛의 직진성이 강하며, 발광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마련되므로 발광봉을 작동시켰을 때 발광부의 LED와 인접한 영역은 빛이 선명하게 나타나는 반면에 발광부의 LED와 이격된 영역은 상대적으로 빛이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광되는 빛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발광봉에 있어서, 광투과성 재질의 통형상을 갖는 발광부와; 적어도 하나의 LED가 내장된 LED유닛과, 상기 LED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LED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스위칭부를 가지며, 상기 발광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를 따라 발산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발광캡을 포함하는 발광봉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LED유닛은 각각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에서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복수의 LED는 점멸함으로써, 다양한 발광효과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1)은 광투과성 재질의 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발광부(10)와, 발광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발광본체(20)와, 발광부(10)의 타측에 마련되어 발광부(10)를 따라 발산되는 빛을 수광하는 발광캡(70)을 포함한다.
발광부(10)는 양측 개구를 가진 통형상을 갖는 배럴(11)과, 배럴(11)의 둘레를 따라 형광물질이 도포된 패턴부(13)를 포함한다. 발광부(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육각통형상 또는 팔각통형상 등의 다각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발광부(10)의 일측 개구에는 발광본체(20)가 결합되며, 타측 개구에는 발광캡(70)이 결합된다.
패턴부(13)는 발광봉(1)에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소정의 패턴을 갖는 발광형상을 제공하도록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마련한다. 패턴부(13)는 발광부(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마련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성 재질로 마련되는 별도의 시트에 형광물질을 도포한 후 발광부(10)에 결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패턴부(13)에는 형광물질이 다양한 형태의 무늬로 도포될 수 있다. 한편, 패턴부(13)는 발광부(10)의 내주면에서 내향 돌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발광본체(20)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에 수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LED(41)가 내장된 LED유닛(40)과, LED유닛(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와, 배터리(50)로부터 LED유닛(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스위칭부(60)를 포함한다. 발광본체(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10)의 일측 개구에 결합된다. 여기서, 발광본체(20)는 발광부(10)와 끼움결합, 스크루결합 또는 후크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배터리(50)와 LED유닛(40)과 스위칭부(6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31)와, 수용부(31)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후단부캡(33)을 포함한다.
후단부캡(33)에는 후술할 단자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34)는 배터리(50)의 전극과 접촉되며, 후술할 단자연결부재(45)에 의하여 LED유닛(40)의 타측단자와 배터리(50)의 전극을 연결한다.
LED유닛(40)은 적어도 하나의 LED(41)와, 배터리(50)로부터 LED(41)로 전원이 공급되면 LED(41)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PCB보드(43)와, PCB보드(43)와 후단부캡(33)에 형성된 단자부(34)를 연결하는 단자연결부재(45)를 포함한다.
LED(41)는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본 발광봉(1)에서는 제1색상LED(41a), 제2색상LED(41b), 제3색상LED(41c)로 3개가 마련된다. LED(41a, 41b, 41c)는 각각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게 마련된다. LED(41a, 41b, 41c)는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았을 때 다양하게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LED(41a, 41b, 41c)가 동시에 점멸될 수도 있으며, 각각 무순위적으로 점멸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교차점멸될 수도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발광되게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LED(41a, 41b, 41c)의 일측단자는 PCB보드(43)에 연결된다.
PCB보드(43)는 LED(41a, 41b, 41c)의 일측 단자를 스프링(47)에 의하여 배터리(50)의 양극과 연결시키며, 스위칭부(60)의 신호에 따라 LED(41a, 41b, 41c)를 제어한다. 여기서, 발광본체(20)의 내주면에는 PCB보드(43)가 결합되는 안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PCB보드(43)는 안내부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부(31)의 내부공간에서 PCB보드(43)가 임의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스프링(47)은 수용부(31) 내부에서 배터리(50)를 지지하여 배터리(50)가 임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PCB보드(43)는 발광본체(20) 외부에 배치된 스위칭부(60)의 작동에 따라 LED유닛(40)을 켜짐, 꺼짐 또는 점멸 되도록 IC칩이 설치되어있다.
단자연결부재(45)는 PCB보드(43)에 결합되어 LED(41a, 41b, 41c)의 타측 단자를 후단부캡(33)에 형성된 단자부(34)에 연결시킨다. 단자연결부재(45)의 일단은 PCB보드(43)에서 LED(41a, 41b, 41c)의 타측단자와 연결되며, 타단은 후단부캡(33)의 단자부(34)에 연결된다. 단자연결부재(45)의 타단은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부분은 수용부(31)의 단부에 결합되어 후단부캡(33)의 단자부(34)에 접촉된다.
배터리(50)는 수용부(31)에 수용된다. 배터리(50)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된다. 배터리(50)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
스위칭부(60)는 배터리(50)로부터 LED유닛(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광봉(1)에서 스위칭부(60)는 버튼형식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PCB보드(43)는 스위칭부(60)의 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LED(41a, 41b, 41c)를 켜짐, 꺼짐, 점멸 등 다양하게 제어한다. 스위칭부(60)는 버튼형식으로 마련된다고 전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31)에 스크루결합되는 후단부캡(33)의 잠김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캡(70)은 발광부(10)의 타측 개구에 마련된다. 발광캡(70)은 스위칭부(60)에서 LED유닛(40)으로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발광부(10)를 따라 발산되는 빛을 수광한다. 발광캡(70)은 발광부(10)에 끼움 결합되어 발광본체(20)와 함께 발광부(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여기서, 발광캡(70)은 발광부(10)와 스크루결합 또는 후크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발광캡(70)은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광캡(70)은 반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LED유닛(40)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광할 수 있게 된다.
발광캡(7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캡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발광캡(70a)을 꽃봉우리형상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LED유닛(40)에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더욱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발광캡(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되어 발광부(10)의 타단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발광캡(70)이 발광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발광캡(70)은 발광부(10)의 LED유닛(40)과 대향되는 면에 반투명한 재질이 도색되는 등의 방법으로 마련된다. 한편, 발광캡(70)에는 전술한 패턴부(13)와 마찬가지로 형광물질로 도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의 작동과정을 도 3을 참조하 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스위칭부(60)를 조작하여 LED유닛(4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복수의 LED(41a, 41b, 41c)가 순차적으로 점멸하면 부채꼴형상으로 발광봉(1)을 왕복이동시킨다. 발광봉(1)의 이동위치에 따라 점멸하는 LED(41a, 41b, 41c)의 광이 패턴부(13)의 형상에 따라 잔상으로 남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형상으로 발광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광봉(1)에서는 3개의 LED(41a, 41b, 41c)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므로 제1색상(A), 제2색상(B), 제3색상(C)의 광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LED(41a, 41b, 41c)에서 발산되는 광을 발광캡(70)에서 수광하므로, 발광봉(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하는 광의 광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선명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발광되는 빛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봉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발광봉에 있어서,
    광투과성 재질의 통형상을 갖는 발광부와;
    적어도 하나의 LED가 내장된 LED유닛과, 상기 LED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LED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스위칭부를 가지며, 상기 발광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를 따라 발산되는 빛을 수광하도록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발광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유닛은 각각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에서 상기 LED로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복수의 LED는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광봉.
KR2020060021291U 2006-08-08 2006-08-08 발광봉 KR200429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91U KR200429322Y1 (ko) 2006-08-08 2006-08-08 발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91U KR200429322Y1 (ko) 2006-08-08 2006-08-08 발광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322Y1 true KR200429322Y1 (ko) 2006-10-20

Family

ID=4177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291U KR200429322Y1 (ko) 2006-08-08 2006-08-08 발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3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86B1 (ko) * 2011-09-30 2014-01-09 남궁청수 엘이디 광원 어레이의 회전 이동에 따른 잔상효과로 경제적 조명을 구현하는 회전식 엘이디 조명장치
KR101410307B1 (ko) * 2013-04-25 2014-06-24 주식회사 야광나라 핸드헬드 발광스틱
KR101794613B1 (ko) * 2016-12-30 2017-11-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램프 내장형 스마트 입체광고생성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86B1 (ko) * 2011-09-30 2014-01-09 남궁청수 엘이디 광원 어레이의 회전 이동에 따른 잔상효과로 경제적 조명을 구현하는 회전식 엘이디 조명장치
KR101410307B1 (ko) * 2013-04-25 2014-06-24 주식회사 야광나라 핸드헬드 발광스틱
KR101794613B1 (ko) * 2016-12-30 2017-11-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램프 내장형 스마트 입체광고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955B2 (en) Flashlight system
US7419275B2 (en) Magnetic illumination
KR200429322Y1 (ko) 발광봉
KR200396903Y1 (ko) 휴대형 발광체
JP2006218259A (ja) 照明杖
US6742910B2 (en) LED flashlight with replaceable LED
CN201028299Y (zh) 一种强光防暴led手电筒
JP2002199828A (ja) 発光釣具
JP3130801U (ja) ハイパワー発光ダイオードによるフルカラー懐中電灯
KR20160088736A (ko)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0251663Y1 (ko)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스포츠 경기 응원도구
JP3146255U (ja) 発光グリップ
KR200398127Y1 (ko) 플레시 피싱캡
JP3144332U (ja) Ledブラックライト
KR200465627Y1 (ko) 줌기능을 구비한 ㄱ자형 후레쉬
KR100426009B1 (ko) 점멸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다색발광 전자라이트
KR200246412Y1 (ko) 휴대용 발광봉
KR200279646Y1 (ko) 발광봉
US20060011460A1 (en) Switch structure
KR200393557Y1 (ko) 구조신호 발생이 가능한 전등
KR101034539B1 (ko) 선박용 차트 테이블 라이트의 제조방법
KR200243811Y1 (ko) 조명등 겸용 훈증기
KR200341826Y1 (ko) 광섬유 발광기를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
JP2000173323A (ja) ろうそく形光源
KR200469279Y1 (ko) 엘이디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