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412Y1 - 휴대용 발광봉 - Google Patents

휴대용 발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412Y1
KR200246412Y1 KR2020010017359U KR20010017359U KR200246412Y1 KR 200246412 Y1 KR200246412 Y1 KR 200246412Y1 KR 2020010017359 U KR2020010017359 U KR 2020010017359U KR 20010017359 U KR20010017359 U KR 20010017359U KR 200246412 Y1 KR200246412 Y1 KR 200246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d
light
screw thread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주
박성기
Original Assignee
이운주
박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주, 박성기 filed Critical 이운주
Priority to KR2020010017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412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나사선을 갖으며 내측과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하단부에는 공간부를 갖으며 상기 손잡이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봉체; 상기 봉체를 통해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통공과 결합돌기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엘이디(LED)램프; 상기 엘이디(LED)램프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는 전지;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에 결합되어 상기 전지를 교환하거나 또는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캡; 및 상기 봉체에 빛을 방사하는 엘이디(LED)의 전원을 사용자가 임의로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야광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사용시 전지의 교환만으로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발광봉{carry for radiate from bar}
본 고안은 휴대용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거나 또는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약간의 빛이 필요한 경우, 즉, 음악콘서트, 각종 운동경기, 낚시 또는 자전거 등을 관람하거나 이용할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하기가 매우 용이한 휴대용 발광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에 행사를 할 경우에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된 튜브 내에 별도의 막을 형성하여 각기 다른 물질 즉, 플루오레세인, 나트륨(fluorescein sodium) 약산성 수용액을 타단부 내부에는 수산화나트륨(NaOH)수용액을 각각 장입하고, 사용할 때에는 중간부위에 형성된 막이 터질 수 있도록 몸체를 중심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구부리면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막이 파열되면서 화학물질이 서로 섞이면서 발광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야광물질은 야광물질에 의해 발광되는 야광체는 발광도가 낮고, 발광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사용시간은 약2~3시간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발광도가 낮아지면 다른 발광체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용하여 내부에 있는 화학물질을 섞은 후에 다시 발광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를 사용하지 않고 오랜 시간을 방치하였거나 또는 습기를 흡수한 경우에는 광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야광물질은 오염물질이므로 사용하고 난 후에 처리하지 않고 폐기하면 환경오염의 원흉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발광용 보은 자신의 위치를 알리거나 또는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약간의 빛이 필요한 경우, 즉, 음악콘서트, 각종 운동경기, 낚시 또는 자전거 등을 관람하거나 이용할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발광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은 상단부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나사선을 갖으며 내측과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하단부에는 공간부를 갖으며 상기 손잡이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봉체; 상기 봉체를 통해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통공과 결합돌기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엘이디(LED)램프; 상기 엘이디(LED)램프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는 전지;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에 결합되어 상기 전지를 교환하거나 또는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캡; 및 상기 봉체에 빛을 방사하는 엘이디(LED)의 전원을 사용자가 임의로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엘이디(LED)의 빛에 의해 발산될 시에 다양한 색의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유색의 봉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돌기의 체결공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리와 줄이 일체로 형성된 걸이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체 외주면에는 빛의 발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학물질이 도포되어 그 표면에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미세하게 요철이 형성되면서 불투명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봉 10 : 봉체
11 : 공간부 12 : 요철
13, 24, 31 : 나사선 14 : 고정돌기
15 : 절개부 20 : 손잡이
21 : 수용부 22 : 결합돌기
23 : 통공 24 : 나사선
24a 홈 25 : LED
26 : 고정부재 27 : 관통공
28 : 전지 29 : 스위치
30 : 캡 32 : 체결돌기
33 : 체결공 40 : 걸이구
41 : 고리 42 : 끈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1)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3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20)에는 원통형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 내측에는 나사선(24)이 형성되며, 내측 소정부위에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2)의 하방향에는 수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2)에는 통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선(13)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나사선(31)이 형성된 캡(30)이 결합되고, 상기 캡(30)의 하단부에는 하단부에 체결공(33)이 형성된 체결돌기(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0)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선(24)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부 외주연에 나사선(13)이 형성되며, 하단부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공간부(11)를 갖는 봉체(10)가 상기 손잡이(20)와 결합한다.
상기 손잡이와 상기 봉체(10)에 형성된 나사선(13)에 형성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체(10)에는 고정돌기(14)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20) 상단에는 고정돌기(14)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홈(24a)이 형성되어 상기 봉체(10)가 상기 손잡이(20)에서 원터치형식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봉체(10)가 상기 손잡이(20)에 설치될 시에 원활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절개부(1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체(10)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색을 표현 할 수 있도록 색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색은 여러 가지의 색이 섞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단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봉체(10) 외주면에는 빛의 발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포로 표면을 가공한 후에 무광처리용액을 도포하면 표면에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미세하게 요철(12)이 형성되면서 불투명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무광처리용액을 표면에 도포하여도 되고, 상기 무광처리용액을 사출 시에 같이 넣어서 상기 봉체(10)를 생산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0) 내측 소정부위에 통공(23)을 갖으며 형성된 결합돌기(22)에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엘이디(LED)(25)가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LED)(2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28)는 상기 손잡이(20)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21)에 설치된다.
상기 엘이디(LED)(25)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6)는 단면이 티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공(27)이 형성되며, 상기 LED(25)는 상기 고정부재(26)의 관통공(27)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7)는 상기 손잡이(20)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22)의 통공(23)에 압입 고정되며, 상기 결합돌기(22)에 압입 될 시에 그 주위에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고정을 더욱 견고이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0)의 수용부(21)에 설치된 전지(28)로부터 인가 받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20)의 일측에 스위치(29)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29)는 3단계의 조작단계로 형성되는데 1단은 계속적으로 LED(25)를 점등하고, 2단은 LED(25)를 온시켜다 오프시켰다를 반복하며, 3단계는 상기 LED(25)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봉체(10)에서 빛이 발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손잡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29)를 온 시키면 상기 손잡이(2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전지(28)에서 전원이 엘이디(25)로 인가되며, 상기 엘이디(25)는 상기 전지(28)에 의해 빛을 방사하게 된다.
상기 엘이디(25)에서 방사되는 빛은 상기 봉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공간부(11)를 통해 봉체(10)로 전달되며, 상기 봉체(10)의 외주연에 사포를 이용하여 표면을 가공하고, 가공한 후에 무광처리용액을 도포하여 미세하게 즉,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미세한 요철(12)이 형성된 부위가 불투명한 상태로 형성되어 그 부위로 빛이 방사된다.
미세하게 형성된 요철(12)에 의해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빛이 난 반사되므로 인하여 봉체(10) 주위로 방사되어 더욱 밝게 비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25)로 전가되는 전지(28)의 수명이 다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10) 하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캡(30)을 오픈하고, 상기 손잡이(20) 내측의 수용부(21)에 수용되어 있는 전지(28)를 꺼내어 다른 전지(28)와 교환하여 사용한다.
상기 봉체(10)로 방사되는 빛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낚시터와 같이 빛에 의해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미끼를 교환하거나 찌의 높낮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상기 봉체(10)를 손잡이(20)에서 분리하여 손전등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아니면 상기 봉체(10)를 통해 방사되는 LED(25)빛만을 가지고도 사용할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야간에 타인으로부터 나의 위치를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즉, 야간에 자전거를 이용할 경우 운전자로 하여금 눈에 쉽게 파악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면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야간에 단체적으로 한가지의 색을 통일하여 휴대를 할 경우에는 그 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인원을 바로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야간행군, 콘서트, 각종 운동경기 시에 특정 팀을 응원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발광봉의 효과를 살펴보면,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야광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사용시 전지의 교환만으로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착용 및 휴대가 간편하며, 타인으로부터 나를 표시하기 위하거나 또는 단체의 일원임을 표시할 수 있고, 빛에 의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아니하고 낚시미끼 또는 찌의 높낮이 등을 조절할 시에 손전등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5)

  1. 발광봉에 있어서,
    상단부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나사선을 갖으며 내측과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하단부에는 공간부를 갖으며 상기 손잡이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봉체;
    상기 봉체를 통해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통공과 결합돌기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엘이디(LED)램프;
    상기 엘이디(LED)램프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는 전지;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선에 결합되어 상기 전지를 교환하거나 또는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캡; 및
    상기 봉체에 빛을 방사하는 엘이디(LED)의 전원을 사용자가 임의로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광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LED)의 빛에 의해 발산될 시에 다양한 색의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유색의 봉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광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돌기의 체결공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리와 줄이 일체로 형성된 걸이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광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 외주면에는 빛의 발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학물질이 도포되어 그 표면에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미세하게 요철이 형성되면서 불투명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광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설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광봉.
KR2020010017359U 2001-06-11 2001-06-11 휴대용 발광봉 KR200246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59U KR200246412Y1 (ko) 2001-06-11 2001-06-11 휴대용 발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59U KR200246412Y1 (ko) 2001-06-11 2001-06-11 휴대용 발광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412Y1 true KR200246412Y1 (ko) 2001-10-29

Family

ID=7306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359U KR200246412Y1 (ko) 2001-06-11 2001-06-11 휴대용 발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4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43A (ko) * 2002-04-02 2003-10-10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발광봉
KR100462568B1 (ko) * 2002-05-15 2004-12-17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발광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43A (ko) * 2002-04-02 2003-10-10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발광봉
KR100462568B1 (ko) * 2002-05-15 2004-12-17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발광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3313B2 (en) Illumination device
US20080304289A1 (en) LED night light with more than 1 optics means
ATE316805T1 (de) Einrichtung zur lichttherapie
EP1686625A3 (en) Light emitting devices
KR200396903Y1 (ko) 휴대형 발광체
KR200246412Y1 (ko) 휴대용 발광봉
US20030043574A1 (en) Ratchet wrench and lighting circuit
JP2002199828A (ja) 発光釣具
JP2015204298A (ja) 応援道具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200488358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KR200429322Y1 (ko) 발광봉
KR200251663Y1 (ko)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스포츠 경기 응원도구
KR200284457Y1 (ko) 걸이등 겸용 손전등
KR101758782B1 (ko) 플래시 라이트
JP2005210958A (ja) 魚類忌避装置
KR200331765Y1 (ko) 발광봉
KR100648302B1 (ko)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KR200209263Y1 (ko) 다용도 램프
KR100426009B1 (ko) 점멸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된 다색발광 전자라이트
KR200367668Y1 (ko) 발광우산
KR200396902Y1 (ko) 부착형 발광체
KR200249329Y1 (ko) 발광 낚시 받침대
KR200218759Y1 (ko) 장식용 무드램프
JP3114689U (ja) 発光警告灯機能を具えた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