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302B1 -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302B1
KR100648302B1 KR1020040116466A KR20040116466A KR100648302B1 KR 100648302 B1 KR100648302 B1 KR 100648302B1 KR 1020040116466 A KR1020040116466 A KR 1020040116466A KR 20040116466 A KR20040116466 A KR 20040116466A KR 100648302 B1 KR100648302 B1 KR 10064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handle housing
rod
power supply
stic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564A (ko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102004011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3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를 보관시나 특히 휴대시 스위치의 오작동에 따른 발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전원이 통전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투광봉의 교체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단에 발광소자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전원공급부재를 구비하여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하우징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는 투광봉으로 구성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위치의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는 그 내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재 사이로 절연시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공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과 상기 투광봉 사이에는 그 투광봉을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그 안내홈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리홈과, 상기 투광봉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a stick type light emi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9는 종래 스틱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단공
20 : 착탈수단
22 : 안내홈 24 : 걸림홈
26 : 걸림돌기 28 : 나선부
30 : 반사체시트
40 : 에어 반사구
50 : 보조 발광수단
50a : 보조 차단공 51 : 하우징
52 : 연결구 54 : 기판
55,114 : 전원공급부재 56,112 : 발광소자
58 : 스위치단자
100 :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110 : 손잡이 하우징 115 : 스위치
120 : 투광봉
본 발명은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를 보관시나 특히 휴대시 스위치의 오작동에 따른 발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전원이 통전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투광봉의 교체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경기장이나 공연장 등지에서 관람객들의 응원을 위해 사용되는 종래 사용되는 스틱형 표시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나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발광소자(112)가 장착되고, 상기 발광소재와 공지된 전지 등과 같은 다수의 전원공급부재(114)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밑단 또는 외측면으로 스위치(115)를 구비하는 손잡이 하우징(1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하우징(110)의 선단에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외부로 산란 및 방출하도록 투과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 투광봉(120)이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스틱형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 여부에 따라 발광소자가 빛을 발광하게 되고, 그 발광된 빛은 투광봉을 통하여 외부로 산란 및 방출되어 빛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스틱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손잡이 하우징으로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스위치와 같이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원공급부재가 상호 접촉되어 있는 관계로, 보관시나 특히 휴대시 상기 스위치를 인위적인 조작이 아닌 접촉에 의해서도 스위치가 오작동되어 짐에 따라 발광소자가 발광되면서 불필요한 전원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지 등과 같은 전원공급부재가 오랜 기간 동안에 사용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그 접촉되는 부위가 단기간 내에 부식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또,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투광봉도 교체 가능하는 것이 아니라 단색을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자로 하여금 단기간 내에 싫증나게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를 보관시나 특히 휴대시 스위치의 오작동에 의해서도 발광되지 않도록 외부에서 전원이 통전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투광봉의 교체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광봉의 교체 따른 착탈수단에 의해 보다 긴밀하고 견고하게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광봉을 통하여 빛의 산란 및 방출이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광봉을 통하여 빛의 발광시 보다 큰 산란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광봉의 상단에 별도의 보조 발광수단을 더 구비하여 더욱더 현란한 빛의 산란 및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높은 광도를 갖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 발광수단의 전원 또한 외부에 간편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단에 발광소자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전원공급부재를 구비하여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하우징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는 투광봉으로 구성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재가 내장되어 있는 위치의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는 그 내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재 사이로 절연시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공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과 상기 투광봉 사이에는 그 투광봉을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그 안내홈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리홈과, 상기 투광봉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투광봉의 내측면에는 반사체 시트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구비되는 발광소자를 다수 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봉은 내부에 다수의 에어 반사구가 형성되도록 투명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봉의 상단에는 보조 발광수단이 끼움방식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발광수단은 밑면에 연결구가 장착된 하우징의 내부에 기판을 사이에 두고, 그 기판의 상부에 다수의 전원공급부재와 발광소자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하부에는 상기 연결구와 접촉되는 스위치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재가 내장된 위치의 하우징에는 그 내부와 연결되어 전원공 급부재 사이로 절연시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 차단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공지된 레이저 다이오드나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112)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통상의 전지 등과 같은 다수의 전원공급부재(114)를 구비하여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115)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하우징(110)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어 그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산란 및 방출하도록 내부에 중공부(122)가 형성된 투광봉(120)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한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를 보관시나 특히 휴대시 그 손잡이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된 스위치의 인위적인 조작이 아닌 접촉 등에 의해 오동작에 따른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전원이 통전되어 발광소자가 발광되는 것을 외부에서 간단하게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투광봉을 원하는 색상으로의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재(114)가 내장되어 있는 위치의 상기 손잡이 하우징(110)에는 그 내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재(114) 사이로 통상의 절연시트(S)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공(10)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110)과 상기 투광봉(120) 사이에는 그 투광봉(120)을 필요로 하는 색상 등으로 교체 가능한 착탈수단(20)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착탈수단(20)은 그 손잡이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안내홈(22)과, 그 안내홈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리홈(24)과, 상기 투광봉(1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을 거쳐 걸림홈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2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투광봉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는 상기 투광봉을 제작시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걸림부재 내측면에 형성시켜 제작하여 그 투광봉 내로 삽입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 하우징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전원이 통전되어 발광소자는 발광하게 되고, 그 발광된 빛은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으로 장착되는 투광봉의 중공부를 통하여 외부로 빛을 산란 및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이 완료되어 보관시나 휴대시에는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형성된 차단공을 통하여 통상적인 절연시트를 삽입시켜 그 손잡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원공급부재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위치가 접촉 등과 같은 오작동에 의해 작동되더라도 전원이 통전되지 않게 되어 발광소자가 발광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보관시나 특히 휴대시 인위적인 조작이 아닌 접촉 등에 의한 오작 동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더라도 전원공급부재 사이로 삽입된 절연시트에 의해 전원이 통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오동작에 따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상기 전원공급부재 사이에 절연시트를 삽입하여 끼워 놓으므로서,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공급부재의 상호 접촉에 의해 화학적인 작용으로 인해 접촉부분으로 발생되는 부식 등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는 투광봉을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즉,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걸림홈 상에서 투광봉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착탈하여 서로 다른 여러 색의 투광봉을 구비하여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다양한 색상으로 산란 및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광봉을 하나의 단색으로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장착된 발광소자를 여러 칼라로 발광되는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빛을 산란 및 방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발광소자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공지의 프로그램으로 인한 점멸이나 순차적인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손잡이 하우징(110)과 투광캡(120) 사이에 구비되는 착탈수단(20)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수단(20)은 그 손잡이 하우징(110)의 외측면과 상기 투광봉(120)의 내측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나선부(28)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나선부는 손잡이 하우징의 내측면과 투광봉의 외측면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착탈수단을 통상적인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착탈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투광봉의 착탈이 보다 긴밀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된 발광소자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외부로 보다 현란하게 산란 및 방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투광봉(120)의 중공부(122) 내측면에는 통상적인 빛의 투과시 산란 효율이 높은 반사체 시트(30)를 내장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은 상기 투광봉의 중공부 내측면에 구비된 반사체 시트를 통하여 보다 현란한 산란 및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 또한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구비되는 발광소자(112)를 공지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다수 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다수의 발광소자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어 질 때, 상기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를 흔들 경우에, 발광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의 혼합에 의해 더욱더 화려하면서 높은 광도로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투광봉을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것이 아니라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그 투광봉을 거쳐 산란 및 방출되는 과정에서 더욱더 현란하게 산란 및 방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투광봉(120)은 제조시 내부가 충진되면서 기포 등과 같은 내부에 다수의 에어 반사구(40)가 형성되도록 투명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은 상기 투광봉과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 반사구와 부딪치면서 보다 현란하게 산란 및 방출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므로서, 더욱더 효율적인 빛의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구비되는 발광소자를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할 경우에 더욱더 다양한 형태의 빛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의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손잡이 하우징에 장착된 발광소자에서 발광하는 빛 이외에 별도로 독립적으로 빛이 발광하여 보다 현란하면서 높은 광도로의 빛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투광봉(120)의 상단에는 보조 발광수단(50)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끼움홈 등에 의한 끼움방식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조 발광수단(50)은 밑면에 상기 투광봉과 연결되는 연결구(52)가 장착된 하우징(51)의 내부에 통상적인 기판(54)을 사이에 두고, 그 기판(54)의 상부에 통상의 전지 등과 같은 다수의 전원공급부재(55)와 레이져 다이오드나 또는 LED 등과 같은 공지의 발광소자(56)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하부에는 상기 연결구(52)와 접촉되는 통상의 푸쉬 스위치 등과 같은 스위치단자(5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하우징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각형이나 장방형 또는 별 모양 등과 같은 여러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 하우징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발광시켜 투광봉을 통하여 빛이 발광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발광수단 또한 빛이 발광되도록 한다.
다시말해서, 상기 하우징의 기판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단자를 연결구를 통하여 가압 등에 의해 조작함에 따라 그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다수의 발광소자가 발광하면서 빛을 하우징의 외부로 산란 및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투광봉을 통하여 발광됨과 동시에 그 투광봉의 상단으로 구비되는 보조 발광수단의 다수의 발광소자 또한 발광되므로서, 한 곳에서가 아닌 두 곳에서 빛의 발광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빛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광도 또한 가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보조 발광수단은 필요에 따라 상기 투광봉의 상단에서 끼움방식에 의해 착탈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건도 갖는 것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발광수단 역시 인위적인 조작이 아니라 접촉이나 잘못 조작에 의해 발광소자의 발광으로 인한 전원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재(55)가 내장된 위치의 하우징(51)에는 그 내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재(55) 사이로 절연시트(S)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 차단공(50a)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이도 보관시나 특히 휴대시에 상기 보조 차단공을 통하여 절연시트를 전원공급부재 사이로 끼워 놓으므로서, 접촉이나 잘못 조작에 의한 스위치의 오작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가 발광되지 않게 됨에 따라 오작동에 의한 전원 손실을 최소화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스위치의 오작동에 따른 간단한 구조에 의해 외부에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 및 투광봉을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스위치의 오작동된 상황에서도 발광소자의 발광을 차단하여 전원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투광봉 또한 필요로 하는 색상으로 교체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빛을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투광봉의 내부로 반사체 시트를 구비함에 따라 보다 현란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발광소자를 다수 개 구비함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의 빛이 발광되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광도 또한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투광봉을 내부에 다수의 에어 반사구가 형성되는 투명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빛 발광시 보다 현란한 산란 및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투광봉의 상단에서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발광수단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더욱더 다양한 형태로의 빛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높은 광도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보조 발광수단에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외부에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이도 스위치의 오작동에 따른 전원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11)

  1. 삭제
  2. 선단에 발광소자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전원공급부재를 구비하여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하우징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는 투광봉으로 구성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재(114)가 내장되어 있는 위치의 상기 손잡이 하우징(110)에는 그 내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재(114) 사이로 절연시트(S)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공(10)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110)과 상기 투광봉(120) 사이에는 그 투광봉(120)을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안내홈(22)과 그 안내홈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리홈(24)과, 상기 투광봉(1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6)로 구성되는 착탈수단(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봉(120)의 내측면에는 반사체 시트(30)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하우징(110)의 선단에 구비되는 발광소자(112)를 다수 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봉(120)은 내부에 다수의 에어 반사구(40)가 형성되도록 투명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봉(120)의 상단에는 보조 발광수단(50)이 끼움방식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발광수단(50)은 밑면에 연결구(52)가 장착된 하우징(51)의 내부에 기판(54)을 사이에 두고, 그 기판의 상부에 다수의 전원공급부재(55)와 발광소자(56)가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하부에는 상기 연결구와 접촉되는 스위치단자(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재(55)가 내장된 위치의 하우징(51)에는 그 내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재(55) 사이로 절연시트(S)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 차단공(5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040116466A 2004-12-30 2004-12-30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KR10064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466A KR100648302B1 (ko) 2004-12-30 2004-12-30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466A KR100648302B1 (ko) 2004-12-30 2004-12-30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564A KR20060077564A (ko) 2006-07-05
KR100648302B1 true KR100648302B1 (ko) 2006-11-27

Family

ID=3716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466A KR100648302B1 (ko) 2004-12-30 2004-12-30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389B1 (ko) * 2009-12-11 2012-03-23 황덕형 발광봉이 내장된 풍선형 튜브
KR102339766B1 (ko) * 2020-12-10 2021-12-15 김태진 사회적 거리두기 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336U (ko) * 1995-10-09 1997-05-26 이항복 교통신호봉
KR200160639Y1 (ko) 1996-12-12 2000-06-01 김동환 발광신호봉
KR200225246Y1 (ko) 1999-03-24 2001-05-15 박우순 교통 신호봉
KR100462568B1 (ko) * 2002-05-15 2004-12-17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발광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336U (ko) * 1995-10-09 1997-05-26 이항복 교통신호봉
KR200160639Y1 (ko) 1996-12-12 2000-06-01 김동환 발광신호봉
KR200225246Y1 (ko) 1999-03-24 2001-05-15 박우순 교통 신호봉
KR100462568B1 (ko) * 2002-05-15 2004-12-17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발광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564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3231C (en) Flashlight with a backup system
US7163313B2 (en) Illumination device
US20020122316A1 (en) Full circle illumination band
WO2001013033A1 (en) Miniature flashlight
US20030117799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multi-light flashlight
US20080158861A1 (en) Illuminated socket device
KR100648302B1 (ko)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US20030016529A1 (en) Illuminated lollipop or candy sucker
US20040161287A1 (en) Multiple color led and ink pen light
US6712484B2 (en) Ratchet wrench and lighting circuit
KR200439919Y1 (ko)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US6742910B2 (en) LED flashlight with replaceable LED
KR100811318B1 (ko) 플래쉬 램프 장치
US20050259411A1 (en) Key with light emitting key insertion portion
KR200246412Y1 (ko) 휴대용 발광봉
JP2004221078A (ja) Ledインジケータ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0332870Y1 (ko) 매입형 헬기 착륙등
JP5779429B2 (ja) 発光器
KR200228718Y1 (ko) 발광자
KR200387661Y1 (ko)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KR200250060Y1 (ko) 발광봉겸용 발광줄넘기용 손잡이
WO2005072545A1 (en) Light-emitting helmet
KR200225755Y1 (ko) 램프가 장착된 장식용 목걸이
KR200341826Y1 (ko) 광섬유 발광기를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
GB2364277A (en) A pen with an LED light source and a refraction plate to disperse the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