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661Y1 -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 Google Patents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661Y1
KR200387661Y1 KR20-2005-0007033U KR20050007033U KR200387661Y1 KR 200387661 Y1 KR200387661 Y1 KR 200387661Y1 KR 20050007033 U KR20050007033 U KR 20050007033U KR 200387661 Y1 KR200387661 Y1 KR 200387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ght emitting
handle
switch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경
김경동
Original Assignee
김경동
김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동, 김민경 filed Critical 김경동
Priority to KR20-2005-0007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평소에는 사용자가 문을 쉽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드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고 비상시에는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문을 열고 닫거나 잠그는 도어록의 고정대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록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도어록의 고정대와 맞물려서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On/Off)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발광부 및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발광부 및 충전지는 상기 몸체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A door handle having lighting function}
본 고안은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소에는 사용자가 문을 쉽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드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고 비상시에는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문에는 자물쇠가 문에 결합되어 있으며, 자물쇠의 잠금/해제 또는 문을 열기/닫기 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자물쇠와 같이 결합되어 있다.
건물에는 다수의 문이 있는데, 일반 거주지나 여행지의 숙소 등에서 잠을 자거나 밤에 문을 사용할 일이 있거나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미처 잠에서 깨지 못하거나 당황한 상태이기 때문에 평소에 잠을 자는 곳에서조차 문을 열기위한 손잡이를 금방 찾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간에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화재로 인한 전기 시설 차단에 의해 비상구를 빠르게 찾을 수 없어 큰 인명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비상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건물마다 비상등이 제공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 후레쉬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용 후레쉬는 걸이홀(12)이 형성된 수납부(10)에 후레쉬(2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여행 중 들린 숙소 등에서, 일반적으로 후레쉬(20) 위치를 숙지하고 있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비상시에 쉽게 후레쉬(20)를 찾을 수 없는 문제가 상존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무드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비상시에는 후레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는 문을 열고 닫거나 잠그는 도어록의 고정대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록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도어록의 고정대와 맞물려서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On/Off)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발광부 및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발광부 및 충전지는 상기 몸체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문 손잡이는 상기 발광부의 전단에 위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고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록의 고정대에 형성된 나사홈에 돌려 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고정부는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록의 고정대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 맞춤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는 상기 도어록에 형성된 상시 전원 출력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시 전원 입력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전원은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100)는 막대 형상의 몸체(160) 내부에, 누름부(110), 스위치(120), 충전지(130), 배선(140), 발광부(150) 및 집광 렌즈(152)가 내설되고, 몸체의 일단에는 고정부(170)가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17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부(110)는 몸체(160)의 표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름부(110)를 누르면, 이때의 압력이 스위치(120)로 전달되어 스위치(120)가 온/오프 동작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만지면 자동으로 스위치(120)가 온/오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충전지(130)는 발광부(150)의 발광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지(130)는 부피가 작은 수은 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150)는 스위치(12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충전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한다. 발광부(150)는 전력 소모가 적고 휘도가 높은 고휘도 LED를 다수개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꼬마 백열전구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집광 렌즈(152)는 발광부(150)의 광원을 모으는 기능을 담당한다.
몸체(16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70)는 후술되는 자물쇠 본체에 형성된 고정대와 결합되어 손잡이(100)와 본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고정부(170)에는 나사산(172)이 형성되며, 본체의 고정대에 형성된 나사홈과 돌려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와 자물쇠의 결합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와 자물쇠의 결합을 보인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고정부(170)에 형성된 나사산(172)은 본체(50)의 고정대(52)에 형성된 나사홈(54)과 돌려 맞춤 방식으로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100)와 본체(50)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으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상시에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본체(50)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손쉽게 손잡이(100)를 분리시켜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와 자물쇠의 결합을 보인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의 고정부(170)에 나사산(172) 대신 고정 돌기(174)가 형성되고, 종단에 상시 전원 입력 단자(176)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고정 돌기(174)는 내부에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고정홈(54)에 스프링의 탄성을 통해 서로 결합을 유지시킨다.
상시 전원 입력 단자(176)는 본체(50)의 상시 전원 출력 단자(56)로부터 상시 전원을 입력 받는다.
상시 전원 입력 단자(176)에 의해, 평상시에는 충전지(130)를 통하지 않고 발광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무드등과 어두운 곳에서 문의 위치를 확인시켜 줄 수 있고, 비상시에는 후레쉬로 사용 가능한 문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 후레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와 자물쇠의 결합을 보인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와 자물쇠의 결합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납부 12: 걸이홀
20: 후레쉬 50: 본체
52: 고정대 54: 나사홈
55: 고정홈 56: 상시 전원 출력 단자
100: 손잡이 110: 누름부
120: 스위치 130: 충전지
140: 배선 150: 발광부
152: 집광 렌즈 160: 몸체
170: 고정부 172: 나사산
174: 고정돌기 176: 상시 전원 입력 단자

Claims (5)

  1. 문을 열고 닫거나 잠그는 도어록의 고정대과 결합되어 상기 도어록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도어록의 고정대와 맞물려서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On/Off)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발광부; 및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발광부 및 충전지는 상기 몸체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 손잡이는 상기 발광부의 전단에 위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록의 고정대에 형성된 나사홈에 돌려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록의 고정대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도어록에 형성된 상시 전원 출력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시 전원 입력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상시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전원은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KR20-2005-0007033U 2005-03-16 2005-03-16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KR200387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33U KR200387661Y1 (ko) 2005-03-16 2005-03-16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33U KR200387661Y1 (ko) 2005-03-16 2005-03-16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661Y1 true KR200387661Y1 (ko) 2005-06-22

Family

ID=4368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033U KR200387661Y1 (ko) 2005-03-16 2005-03-16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6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43Y1 (ko) * 2010-11-30 2014-06-03 서형주 비상조명이 구비된 출입문 손잡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43Y1 (ko) * 2010-11-30 2014-06-03 서형주 비상조명이 구비된 출입문 손잡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2102A (en) Combination flashlight and lamp
CN105082096B (zh) 带照明的工具箱
MXPA05008851A (es) Modulo para energizar y monitorear diodos emisores de luz.
US20090046447A1 (en) Luminous Handle for Doors, Furnishings, Means of Transport or the Like
US8106532B2 (en) Illumination device of gradual dimming type after power interruption
US20060171141A1 (en) Wall-insert type LED lamp
US7429118B1 (en) Light way
JP2005123045A (ja) 電球形ledランプ
KR200387661Y1 (ko) 후레쉬 겸용 문 손잡이
US7159993B1 (en) Auxiliary light device for a key
DE502004002398D1 (de) Kältegerät mit innenraumbeleuchtung
KR101761158B1 (ko) 파워 카세트 등기구
US20020109981A1 (en) Lighting device for footwear articles
KR101026162B1 (ko) 휴대용 조명장치
JP2014099269A (ja) Ledランプ
US20060077656A1 (en) Illumination for working machines
JP5467212B2 (ja) 緊急時に携帯電灯を兼ねる電球形ledランプ
JP3176527U (ja) Led電球
JP2016192328A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H0992472A (ja) ナイトライト
KR101020129B1 (ko) 가시광선 통신을 통해 조도 제어가 가능한 등기구를 이용한 실내 조명 제어 방법
US20120119664A1 (en) Power-saving light string
US20040095755A1 (en) Flashlight having two sets of bulbs
CN202825667U (zh) 可照明螺丝刀
KR200206280Y1 (ko) 소형 작업등을 착탈하는 랜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