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660Y1 - 발광봉 - Google Patents

발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660Y1
KR200279660Y1 KR2020020010728U KR20020010728U KR200279660Y1 KR 200279660 Y1 KR200279660 Y1 KR 200279660Y1 KR 2020020010728 U KR2020020010728 U KR 2020020010728U KR 20020010728 U KR20020010728 U KR 20020010728U KR 200279660 Y1 KR200279660 Y1 KR 200279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rod
cylinder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스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스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스켐
Priority to KR2020020010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660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손잡이(1)와, 내부전원선에 발광다이오드(LED)(6)를 다수개 병렬로 접속하고 있는 발광통체(2)와, 상기 발광다이오드(6)를 온/오프절환하는 스위치(3)로 구성된 발광봉에 있어서, 외면에 다수의 돌기(10)를 등간격으로 돌출시킨 굴곡부가 형성된 발광통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발생되는 빛이 굴곡부를 통해 여러 각도로 굴절됨으로써 측면은 물론 정면에서도 발광봉의 명확한 색상과 형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봉 { a luminous stick }
본 고안은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의 차량을 통제하거나 또는 운동경기 관람시 응원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빛의 굴절율을 증대시켜 어떤 각도에서든지 정확한 색상과 형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발광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야간에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발광봉(A')을 사용하는 데 그 구성을 대략 살펴보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손잡이(1')와, 내부전원선에 발광다이오드(LED)(6')를 다수개 병렬로 접속하고 있는 발광통체(2')와, 상기 발광다이오드(6')를 온/오프절환하는 스위치(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는 일반적인 것이었다.
즉, 사용자가 발광봉의 손잡이(1')의 상단에 위치한 스위치(3')를 누르게 되면 발광통체(2')가 소정의 색상으로 발광하게 되는 구조로써, 교통경찰들로 하여금 상기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봉(2')를 좌우상하로 흔들어 차량통제 및 차량안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야간에 스포츠경기 관람시 응원의 도구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봉에 있어서는 발광통체(2')의 외면이 매끄러운 통체로 형성된 것이라 빛이 곧바로 투과해버리는 구조이므로 측면에서 발광봉을 관측시에는 그 색상과 형태가 선명하게 식별되나 정면에서 바라보면 색상과 형태가 불명확하여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발광통체의 외면에 다수의 굴곡부를 형성시켜 발생되는 빛이 굴곡부를 통해 여러 각도로 굴절됨으로써 측면은 물론 정면에서도 발광봉의 명확한 색상과 형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발광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절개 단면도
도 3은 종래 발광봉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발광통체
3 : 스위치 6 : 발광다이오드(LED)
10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이듯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A)은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손잡이(1)와, 내부전원선에 발광다이오드(LED)(6)를 다수개 병렬로 접속하고 있는 발광통체(2)와, 상기 발광다이오드(6)를 온/오프절환하는 스위치(3)로 구성된 발광봉에 있어서,
상기 발광통체(2)의 외면에 다수의 돌기(10)를 등간격으로 돌출시킨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발생된 빛은 상기 다수의 돌기(10)로 이루어진 굴곡부에 의해 여러번의 굴절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발광봉(A)의 색상과 형태가 더욱 뚜렷하고 선명하게 식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발광봉(A')의 발광통체(2')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빛의 직진성을 증대시켜 정면에 빛의 관측이 뚜렷하도록 하고, 손전등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봉은 발광통체의 외면에 다수의 돌기를 등간격으로 돌출시킨 굴곡부가 형성된 것으로, 발생되는 빛이 굴곡부를 통해 여러 각도로 굴절됨으로써 측면은 물론 정면에서도 발광봉의 명확한 색상과 형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손잡이(1)와, 내부전원선에 발광다이오드(LED)(6)를 다수개 병렬로 접속하고 있는 발광통체(2)와, 상기 발광다이오드(6)를 온/오프절환하는 스위치(3)로 구성된 발광봉에 있어서,
    외면에 다수의 돌기(10)를 등간격으로 돌출시킨 굴곡부가 형성된 발광통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2. 제 1항에 있어서,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한 발광통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KR2020020010728U 2002-04-10 2002-04-10 발광봉 KR200279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728U KR200279660Y1 (ko) 2002-04-10 2002-04-10 발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728U KR200279660Y1 (ko) 2002-04-10 2002-04-10 발광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660Y1 true KR200279660Y1 (ko) 2002-06-24

Family

ID=7307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728U KR200279660Y1 (ko) 2002-04-10 2002-04-10 발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6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59B1 (ko) * 2009-01-23 2011-04-29 노형준 다기능 신호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59B1 (ko) * 2009-01-23 2011-04-29 노형준 다기능 신호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0063A (en) Illuminated elongated tubular body
EP1883325B1 (en) Safety warning light emitter and safety umbrella using the same
US7267453B2 (en) Multifunctional stick assembly
ATE534148T1 (de) Leuchtdioden-anordnung mit farbkonversions- material
US7874694B2 (en) Digital tool with a light display
US20080037255A1 (en) Heat Dissipating LED Signal Lamp Source Structure
AU2007100196A4 (en) Heat dissipating LED signal lamp source structure
EP2144307A3 (en) High-reliability group iii-nitride light emitting diode
US7111425B1 (en) Illuminable fishing rod
KR200279660Y1 (ko) 발광봉
BR0300494A (pt) Luz de sinalização
US20080266837A1 (en) Flashlight
JP2002199828A (ja) 発光釣具
US7083314B2 (en) Suspensible night-luminous decoration
US20030218876A1 (en) Ferrule for illuminating umbrella
KR100541242B1 (ko) 발광장치
US20040055204A1 (en) Lite pole
KR200387275Y1 (ko) 다색 발광 낚시찌
KR200351661Y1 (ko) 발광 화살
KR200375372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겸비된 장갑
KR200311460Y1 (ko) 수신호용 발광장갑
KR200311459Y1 (ko) 수신호용 발광장갑
KR100615045B1 (ko) 발광스틱
KR200246412Y1 (ko) 휴대용 발광봉
KR200344865Y1 (ko) 발광(發光)하는 방울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