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437Y1 -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437Y1
KR200349437Y1 KR20-2004-0002143U KR20040002143U KR200349437Y1 KR 200349437 Y1 KR200349437 Y1 KR 200349437Y1 KR 20040002143 U KR20040002143 U KR 20040002143U KR 200349437 Y1 KR200349437 Y1 KR 200349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acuum pump
inlet pipe
dredging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희
Original Assignee
김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희 filed Critical 김덕희
Priority to KR20-2004-0002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압을 이용하여 하수관의 슬러지를 탱크에 담아주는 준설차에 있어서, 슬러지 탱크에 진공압을 만들어주게 되는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진공펌프와 사이클론 사이에 연결되고 준설차의 운전석과 슬러지 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소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펌프와 사이클론 및 소음기의 외측을 차단판으로 막아주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진공펌프의 에어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소음기에서 차단시키는 한편 물을 이용하여 오물을 제거해주고, 소음 차단판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에 의해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Prevention of noises device for dredging}
본 고안은 진공압을 이용하여 하수관의 슬러지를 탱크에 담아주는 준설차에 있어서, 슬러지 탱크에 진공압을 만들어주게 되는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가 흐르는 하수관은 사용이 진행됨에 따라 하수관의 내벽에서 떨어지는 부식물과 하수관을 흐르는 각종 오물 등에 의하여 슬러지가 쌓이게 되고, 하수관에 쌓인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해 주지 않을 경우 하수의 흐름을 막아 관내 압력이 상승하므로서 하수관의 이음새가 벌어지거나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이 곳으로 하수가 유출되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하수관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해 주어야 하며, 상기 슬러지의 제거를 위하여 준설차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준설차는 하수관으로 고압의 물을 살수하여 슬러지 및 오물을 긁어내기 위한 물탱크와, 회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 탱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슬러지 탱크로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슬러지 탱크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진공펌프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슬러지 탱크에 진공압을 가하기 위해서는 진공펌프와 슬러지 탱크의 상부를 관으로 연결하여 슬러지 탱크 내부의 공기를 진공펌프로 흡입하고 있으나, 진공펌프를 작동시킬 경우 진공펌프에서 고압을 발생시킴에 비례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할 경우 주거지역에서 준설차의 작업을 할 수 없는 지경에 까지 이르는 것이었다.
즉 진공펌프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은 공해에 가까운 것으로, 이를 적절히 감소시켜야만 주거지역이나 건물 밀집지역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민원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진공펌프의 배출구에 소음기를 장착하여 진공펌프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한편 진공펌프와 소음기가 부착된 곳의 외측을 소음차단판으로 막아주어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진공펌프와 사이클론 사이에 연결되고 준설차의 운전석과 슬러지 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소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펌프와 사이클론 및 소음기의 외측을 차단판으로 막아주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진공펌프의 에어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소음기에서 차단시키는 한편 소음 차단판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에 의해 소음이 감소되는 것이다.
상기 소음기에는 물을 넣어 진공펌프로부터 나오는 미세한 오물을 물로 포집하므로서 오물이 대기중에 발산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준설차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준설차 요부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소음기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소음기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소음기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소음기 작동 상태 설명을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소음기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소음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준설차 5 : 진공펌프
10 : 소음기 11 : 몸체
12 : 유입관 13 : 타공파이프
14 : 수직타공판 15 : 수평타공판
17 : 물주입구 18 : 물배출구
20,21 : 소음차단판
본 고안은 준설차(1)의 진공펌프(5)와 사이클론(6) 사이에 설치되어 진공펌프(5)에서 에어 흡입과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기(10)에 관한 것으로, 진공펌프(5)에서 배출된 에어가 T자형형의 에어유입관(12)을 통하여 유입된후 타공파이프(13)를 통하여 일차 소음이 감소되게 하고, 타공 파이프(13)를 거친 에어는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타공판(14)을 통한 후 다시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타공판(15)을 통하여 이중으로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소음기(10)는 몸체(11)의 내부를 수직으로 수평타공판(15)에 의해 양분되게 하되 유입관(12)이 몸체(11)의 상부를 관통하여 T자형으로 설치되게 하고, 상기 T자형의 유입관(12) 하부에는 타공파이프(13)를 내삽시키도록 하며, 몸체(11)의 양측으로는 수직타공판(14)을 설치하여 유입관(12)으로 유입된 에어가 타공파이프(13)와 수직타공판(14) 및 수평타공판(15)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몸체(11)에는 물주입구(17)와 물 배출구(18)를 설치하여 몸체(11)의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에어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미세한 오물을 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소음기(10)와 진공펌프(5) 및 사이클론(6)은 준설차(1)의 운전석과 슬러지 탱크(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소음기(10)와 진공펌프(5) 및 사이클론(6)이 설치된 부위는 외측을 소음차단판(20)으로 둘러 쌓이게 설치하는 한편 상측도 소음차단판(21)으로 씌워지게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작업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소음기(10)에 진공펌프(5)의 에어를 유입시키는 에어 유입관(12)는 T자형을 갖고 몸체(11)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에어가 유입관(12)을 타고 몸체(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유입관(12)의 하부에 내측으로 타공파이프(13)를 내삽시켜 유입관(12)을 타고 유입된 에어가타공파이프(13)를 거친 후 몸체(1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타공파이프(13)에서 배출된 에어는 유입관(12)의 외측을 수직 방향으로 감싸게 설치된 수직 타공판(14)을 거치고 다시 유입관(12)의 외측을 수평 방향으로 감싸게 설치된 수평 타공판(15)을 거쳐 사이클론(6)으로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타공 파이프(13)는 유입관(12)의 내측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되게 설치하고, 수직 타공판(14)과 수평 타공판(15)은 몸체(11)를 양분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을 상세히 살펴본다.
진공펌프(5)에서 슬러지 탱크(2)의 내부를 진공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슬러지 탱크(2)내부의 공기를 펌핑하게 되고 이때 에어의 흡입과 배출로 인하여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소음기(10)를 사용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한편 소음차단판(20)(21)으로 소음발생부를 격리시켜 소음이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다.
진공펌프(5)의 작동에 의해 진공펌프(5)에서 배출된 에어는 에어 유입관(12)을 통하여 소음기(10)의 몸체(11)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관(12)으로 유입된 에어는 유입관(12) 하부의 타공 파이프(13)를 통과하면서 일차로 소음이 감소되게 된다.
타공파이프(13)를 거친 에어는 수직 타공판(14)을 거치면서 2차로 소음이 감소된 후 다시 수평 타공판(15)을 거치면서 3차로 소음이 감소된 후 사이클론(6)으로 배출되게 되어 소음기(10)에서 현저하게 소음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몸체(11)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있어 에어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에포집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의 배출을 줄이도록 하며, 상기 몸체(11)에 채워진 물이 더러워지면 물 배출구(18)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물 주입구(17)로 깨끗한 물을 채워줄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이 진공펌프(5)에서 흡입하고 배출하는 에어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은 소음기(10)에서 감소시키도록 하고, 진공펌프(5)의 작동소음은 소음차단판(20)(21)을 이용하여 감소시키도록 한다.
즉 진공펌프(5)가 설치된 부위를 소음차단판(20)으로 감싸준 후 상부도 소음차단판(21)으로 덮어주어 진공펌프(5)의 작동소음이 소음차단판(20)(2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소음을 줄여주는 것이다.
소음차단판(20)(21)의 내측으로 발포 우레탄을 형성하거나 스폰지를 붙여 줄 경우 소음 차단에 보다 효과적이 될 수 있다.
상기 소음차단판(20)은 일정크기의 판재를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소음차단판(20)은 분해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준설차의 작업시 발생되는 소음을 소음기에서 감소시키도록 하는 한편 소음차단판을 이용하여 감소시키도록 하므로서, 소음을 크게 줄여주어 주택가나 상가 등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소음에 의한 민원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또한 작업자의 작업환경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슬러지 및 오물을 저장하는 슬러지 탱크(2)와, 상기 슬러지 탱크(2)에 진공을 걸어주는 진공펌프(5)와, 상기 진공펌프(5)에서 배출되는 에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사이클론(6)이 구비된 준설차(1)에 있어서,
    상기 준설펌프(5)의 배출에어가 유입관(12)을 통하여 유입되어 타공 파이프(13)와 수직 타공판(14) 및 수평 타공판(15)을 거치면서 소음이 감소된 후 사이클론(6)으로 유입되게 소음기(10)를 구성하고,
    상기 진공펌프(5)와 소음기(10) 및 사이클론(6)이 설치된 장소의 외측은 소음 차단판(20)으로 감싸주는 한편 상부도 소음 차단판(21)으로 덮어주어 진공펌프(5)의 작동소음을 감소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음기(10)는 몸체(11)의 내부를 수직으로 수평타공판(15)에 의해 양분되게 하되 유입관(12)이 몸체(11)의 상부를 관통하여 T자형으로 설치되게 하고, 상기 T자형의 유입관(12) 하부에는 타공파이프(13)를 유입관(12)과 일정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내삽시키도록 하며, 몸체(11)의 양측으로는 유입관(12)에 외삽되는 형태로 수직타공판(14)을 설치하여 유입관(12)으로 유입된 에어가 타공파이프(13)와 수직타공판(14) 및 수평타공판(15)을 통하여 사이클론(6)으로 배출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소음기(10)를 구성하는 몸체(11)에는 상부 측면으로 물 주입구(17)를 설치하고, 몸체(11)의 하측에는 물 배출구(18)를 설치하여 몸체(11)의 내부에 물을 채우고 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KR20-2004-0002143U 2004-01-29 2004-01-29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KR200349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43U KR200349437Y1 (ko) 2004-01-29 2004-01-29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43U KR200349437Y1 (ko) 2004-01-29 2004-01-29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437Y1 true KR200349437Y1 (ko) 2004-05-04

Family

ID=4934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143U KR200349437Y1 (ko) 2004-01-29 2004-01-29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4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267B1 (ko) 하수관작업용순환배수장치
CN105625557B (zh) 一体化污水处理泵站
JP2009120046A (ja) 車両の床構造
KR100803537B1 (ko) 공기유통 및 배기, 배수가 가능한 터치펌프를 가지는 맨홀
WO2007048411A1 (en) Separator for removing impurities, especially smaller particles from rain water
KR200349437Y1 (ko)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KR101546281B1 (ko) 준설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0815875B1 (ko)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KR102000097B1 (ko) 소형 다목적 준설 및 진공청소차
KR102530683B1 (ko) 공기정화 방음터널
JP5033406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
JP7378710B2 (ja) 排水吸引回収装置
CN209817065U (zh) 一种真空冲洗系统
US6341390B1 (en) Plumbing trap system
US6669840B2 (en) Filter for a carpet cleaning system
JP3652957B2 (ja) 高深度排泥システム
CN220365117U (zh) 一种过滤能力强的环保型雨水口
KR100421444B1 (ko) 준설차의 소음방지장치
KR20050028005A (ko) 준설토 및 슬러지의 전자동 연속 진공흡입 이송시스템
JP5069802B2 (ja) 下水の伏越し構造
CN213077646U (zh) 一种水土保持高效沉砂池
KR200325427Y1 (ko) 준설차의 소음방지장치
KR960005436Y1 (ko) 하수구 퇴적물 처리용 차량
CN106731135A (zh) 一种水泵进水口自动清污装置
JP2017133334A (ja) 排水トラップ、排水トラップ付き阻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