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875B1 -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875B1
KR100815875B1 KR1020070105890A KR20070105890A KR100815875B1 KR 100815875 B1 KR100815875 B1 KR 100815875B1 KR 1020070105890 A KR1020070105890 A KR 1020070105890A KR 20070105890 A KR20070105890 A KR 20070105890A KR 100815875 B1 KR100815875 B1 KR 10081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tank
vacuum pump
waste water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우
Original Assignee
대지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지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지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21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 F04D13/02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a magnetic coupling
    • F04D13/025Details of the can separating the pump and drive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진공탱크에서 오,폐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오,폐수가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진공탱크와 진공펌프 사이에 넘침 차단수단을 형성시킨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오,폐수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흡입/배출관(11)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배출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저장되는 진공탱크(10)와, 상기 진공탱크(10)의 내부를 진공상태 또는 압력상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진공탱크(10)와 배관라인(70)으로 연결된 진공펌프(20)와, 상기 진공탱크(10)와 진공펌프(20) 사이의 배관라인(70)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의 압력 상태, 진공상태 및 중립상태를 제어하는 사방밸브(30)와, 상기 진공펌프(20)의 내부를 윤활하도록 상기 진공펌프(20)의 배출구(22)와 사방밸브(30) 사이의 배관라인(70) 사이에 설치된 오일탱크(40) 및 오일여과기(50)와, 상기 진공펌프(20)의 흡입구(21)와 사방밸브(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오,폐수를 차단하는 오.폐수 넘침 차단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오,폐수 넘침 차단수단(60)은, 상기 진공펌프(20)의 고속회전으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상기 진공탱크(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입구(61a) 및 출구(61b)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6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출구(61b)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넘침 차단탱크(61)와, 상기 넘침 차단탱크(6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에서 오버플로우된 오,폐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2)와, 상기 감지센서(62)의 신호를 받아 상기 진공펌프(20) 측으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밸브(63)로 구성되어진 것것이다.
진공탱크, 진공펌프, 사방밸브, 오일탱크, 오일여과기, 넘침 차단수단, 배관라인

Description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Sewage overflow interception apparatus for vacuum inhalation car}
본 발명은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탱크에서 오,폐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오,폐수가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진공탱크와 진공펌프 사이에 넘침 차단수단을 형성시킨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또는 통신 시설의 맨홀이나, 하수관로, 정화조 등의 지하에 설치되는 시설물에는 외부에 오염물질과 지하수의 유입, 토사의 적층 및 오수 내부의 오염물질의 퇴적에 따른 내부 오염이 발생하여 전기 또는 통신시설의 불능현상이 발생하거나, 하수도관에 경우 막힘 현상으로 우천 시에 범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주기적으로 지하시설물 내부에 오염물질을 청소 관리가 필요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지하시설물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인력을 이용하여 직접 지하시설물에 들어가서 내부에 슬러지를 제거하거나, 양수펌프와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슬러지와 오수를 흡입 배출하여 제거하였다.
이러한, 일반적인 지하시설물 청소관리는 인력을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비용이 증대되고 오염물질을 따로 보관하고 이송하기 어려워 슬러지를 제외하고는 외부로 방류함에 따라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지하시설물 청소는 지하에 설치된 시설물 내측으로 유독가스의 발생이나 매몰 등의 사고를 방지하도록 일정 깊이를 넘어가는 경우 안전을 위해서 인력이 투입할 수 없고, 인양장치와 양수펌프를 사용하여도 청소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고, 세척된 오수를 슬러지와 함께 흡입하여 청소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진공펌프가 부착되어 특별 제작된 진공흡입차를 많이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의 배관계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흡입/배출관(1a)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배출관(1a)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저장되는 진공탱크(1)와, 상기 진공탱크(1)의 내부를 진공상태 또는 압력상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진공탱크(1)와 배관라인(6)으로 연결된 진공펌프(2)와, 상기 진공탱크(1)와 진공펌프(2) 사이의 배관라인(6)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의 압력 상태, 진공상태 및 중립상태로 제어시키는 사방밸브(3)와, 상기 진공펌프(2)의 내부를 윤활하도록 상기 진공펌프(2)의 배출구(2b)와 사방밸브(3) 사이의 배관라인(6) 사이에 설치된 오일탱크(4) 및 오일여과기(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공탱크(1)의 상부에는 오,폐수가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역류방지구(1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공펌프(2)의 흡입구(2a)와 사방밸브(3) 사이에는 상기 진공탱크(1)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된 오,폐수를 확인하는 오,폐수 넘침 확인탱크(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진공펌프(2)가 고속회전하게 되면 진공탱크(1) 내부에 진공상태가 되고, 이때 흡입/배출관(1a)을 통해 오,폐수가 진공탱크(1)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사방밸브(3)는, 진공탱크(1)에서 넘침 확인탱크(7)와 연통되고, 진공펌프(2)를 거쳐 오일여과기(5), 오일탱크(4)를 연통하여 개방라인(6a)과 연통되어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진공탱크(1) ⇒ 사방밸브(3) ⇒ 넘침 확인탱크(7) ⇒ 진공펌프(2) ⇒ 오일여과기(5) 및 오일탱크(4) ⇒ 사방밸브(3)⇒ 개방라인(6a)으로 유로를 구성하여 진공탱크(1)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탱크(1)가 압력상태가 되면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를 흡입/배출관(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진공펌프(2)의 회전으로 개방라인(6a)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를 끌어 들여 사방밸브(3)를 거쳐 넘침확인탱크(7)로 연통되고, 진공펌프(2)를 거쳐 오일여과기(5) 오일탱크(4)를 연통하여 다시 사방밸브(3)를 거쳐 배관라인(6)과 연통시켜 진공탱크(1)로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개방라인(6a) ⇒ 사방밸브(3) ⇒ 넘침 확인탱크(7) ⇒ 진공펌프(2) ⇒ 오일여과기(5) 및 오일탱크(4) ⇒ 사방밸브(3) ⇒ 진공탱크(1)으로 유로를 구성하여 진공탱크(1) 내부의 오,폐수를 흡입/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 따른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진공펌프(2)의 고속회전으로 진공탱크(1)의 내부에 유입되는 오,폐수가 역류방지부(1b)를 통과하여 오버플로우되어 진공펌프(2) 등의 부품을 고장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넘침 확인탱크(7)는 오,폐수가 넘침되는 상태만을 확인할 뿐 오버플로우 되는 오,폐수를 차단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진공탱크에서 오,폐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오,폐수가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진공탱크와 진공펌프 사이에 넘침 차단수단을 형성시킨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펌프를 윤활, 냉각시키는 오일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공펌프와 오일탱크 사이에 오일쿨러를 설치하도록 하는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폐수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흡입/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배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저장되는 진공탱크와, 상기 진공탱크의 내부를 진공상태 또는 압력상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진공탱크와 배관라인으로 연결된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탱크와 진공펌프 사이의 배관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의 압력 상태, 진공상태 및 중립상태를 제어하는 사방밸브와, 상기 진공펌프의 내부를 윤활하도록 상기 진공펌프의 배출구와 사방밸브 사이의 배관라인 사이에 설치된 오일탱크 및 오일여과기와,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구와 진공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오,폐수를 차단하는 오.폐수 넘침 차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오,폐수 넘침 차단수단은, 상기 진공펌프의 고속회전으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상기 진공탱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출구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넘침 차단탱크와, 상기 넘침 차단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된 오,폐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진공펌프 측으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밸브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감지센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넘침 차단탱크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도록 히팅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방밸브에 연결된 개방라인의 단부에는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오일탱크의 내부 오일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상기 오일탱크와 진공펌프 사이에 오일쿨러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차단장치는, 진공탱크와 진공펌프 사이에 넘침 차단수단을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서, 진공탱크에서 오,폐수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차단장치는, 진공펌프와 오일탱크 사이에 오일쿨러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진공펌프를 냉각시키는 오일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차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차단장치는, 진공흡입차(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진공탱크(10), 진공펌프(20), 사방밸브(30), 오일탱크(40), 오일여과기(50), 및 오.폐수 넘침 차단수단(60)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진공탱크(10)는, 오,폐수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흡입/배출관(11)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배출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 진공펌프(20)는, 상기 진공탱크(10)의 내부를 진공상태 또는 압력상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진공탱크(10)와 배관라인(70)으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사방밸브(30)는, 상기 진공탱크(10)와 진공펌프(20) 사이의 배관라 인(70)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의 압력상태, 진공상태 및 중립상태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탱크(40) 및 오일여과기(50)는, 상기 진공펌프(20)의 내부를 윤활하도록 상기 진공펌프(20)의 배출구(22)와 사방밸브(30) 사이의 배관라인(7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오.폐수 넘침 차단수단(60)는, 상기 진공펌프(20)의 흡입구(21)와 진공탱크(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오,폐수를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진공펌프(20)의 고속회전으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상기 진공탱크(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관라인(70)에 입구(61a) 및 출구(61b)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6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출구(61b)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넘침 차단탱크(61)와, 상기 넘침 차단탱크(6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에서 오버플로우된 오,폐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2)와, 상기 감지센서(62)의 신호를 받아 상기 사방밸브(30) 측으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밸브(63)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62)는, 플로트 센서로 이루어져 넘침 차단탱크(61)의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되면 플로트(62a)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전원을 인가시켜 차단밸브(63)를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차단밸브(63)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감지센서(62)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62)는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한 쌍을 상,하측에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62)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넘침 차단탱크(61)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도록 히팅부(6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팅부(64)는 히터는 물론 보온부재를 넘침 차단탱크(61)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방밸브(30)에 연결된 개방라인(71)의 단부에는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80)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필터부(80)는, 물에 활성탄을 혼합하여 이에 오,폐수에 포함되어진 악취가 통과되도록 하여 개방라인(71)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오일탱크(40)의 내부의 오일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상기 오일탱크(40)와 진공펌프(20) 사이에 오일쿨러(41)를 설치하도록 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90은 사방밸브(30)와 진공펌프(20) 사이에는 설치된 넘침확인 탱크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는, 흡입상태, 배출상태 및 중립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오,폐수의 흡입상태의 작용을 설명하면, 진공펌프(20)가 고속회전하게 되면 진공탱크(10) 내부에 진공상태가 되고, 이때 흡입/배출관(11)을 통해 오,폐수가 진공탱크(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사방밸브(30)는, 진공탱크(10)에서 넘침 확인탱크(90)와 연통되고, 오일탱크(40)에서 개방라인(71)와 연통되어 유로를 형성하게 됨과 아울러 넘침 차단수단(60)은 진공탱크(10)와 진공펌프(20) 사이에 설치된다.
즉, 진공탱크(10) ⇒ 넘침 차단수단(60) ⇒ 사방밸브(30) ⇒ 넘침 확인탱크(90) ⇒ 진공펌프(20) ⇒ 오일여과기(50) 및 오일탱크(40) ⇒ 사방밸브(30) ⇒ 개방라인(71)으로 유로를 구성하여 진공탱크(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로가 구성되면, 상기 진공탱크(10)가 진공상태가 되어 흡입/배출관(11)을 통해 맨홀 등의 오, 폐수가 저장탱크에 유입되어 진다.
이때 상기 진공탱크(10)의 내부 오,폐수가 오버플로우 되면, 넘침 차단수단(60)에서 차단하게 되는데 이는, 넘침 차단탱크(61)의 내부에 설치된 감지센서(62)에서 넘침 차단탱크(61)로 유입된 오,폐수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차단밸브(63)를 차단하도록 하여 진공펌프(20) 측으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차단하여 고장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오,폐수의 배출상태의 작용을 설명하면, 진공펌프(20)가 고속회전하는 상태에서 사방밸브(30)를 진공탱크(10)에서 오일탱크(40)와 연통시키고, 넘침 확인탱크(90)에서 개방라인(71)과 연통시켜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개방라인(71) ⇒ 사방밸브(30) ⇒ 넘침 확인탱크(90) ⇒ 진공펌프(20) ⇒ 오일여과기(50) 및 오일탱크(40) ⇒ 사방밸브(30) ⇒ 넘침 차단수단(60) ⇒ 진공탱크(10)로 유로를 구성하여 진공탱크(10) 내부가 압력상태가 되어 내부의 오,폐수를 흡입/배출관(1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은, 중립상태의 작용을 설명하면, 진공펌프(20)가 고속회전하는 상태에 서 사방밸브(30)를 넘침 확인탱크(90)에서 오일탱크(40)에 연통시키게 되면 진공탱크(10)와 진공펌프(20) 사이의 유로가 차단되어 진공펌프(20)가 무부하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진공펌프(20)와 오일탱크(40) 사이에는 오일쿨러(41)를 설치하여 오일탱크(40) 내부의 오일을 외기와 열교환시키도록 함으로서 오일의 과열을 방지하여 오일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의 배관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의 배관계통도로서, 오,폐수의 흡입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의 배관계통도로서, 오,폐수의 배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의 배관계통도로서, 중립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차의 오,폐수 처리장치의 넘침 차단탱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탱크 11: 흡입/배출관
20: 진공펌프 21: 흡입구
22: 배출구 30: 사방밸브
40: 오일탱크 41: 오일쿨러
50: 오일여과기 60: 넘침 차단수단
61; 넘침 차단탱크 62: 감지센서
63: 차단밸브 64: 히팅부
70: 배관라인 71: 개방라인
80: 필터부 90: 넘침 확인탱크

Claims (5)

  1. 오,폐수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흡입/배출관(11)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배출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저장되는 진공탱크(10)와,
    상기 진공탱크(10)의 내부를 진공상태 또는 압력상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진공탱크(10)와 배관라인(70)으로 연결된 진공펌프(20)와,
    상기 진공탱크(10)와 진공펌프(20) 사이의 배관라인(70)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의 압력 상태, 진공상태 및 중립상태를 제어하는 사방밸브(30)와,
    상기 진공펌프(20)의 내부를 윤활하도록 상기 진공펌프(20)의 배출구(22)와 사방밸브(30) 사이의 배관라인(70) 사이에 설치된 오일탱크(40) 및 오일여과기(50)와,
    상기 진공펌프(20)의 흡입구(21)와 진공탱크(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오,폐수를 차단하는 오.폐수 넘침 차단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오,폐수 넘침 차단수단(60)은, 상기 진공펌프(20)의 고속회전으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상기 진공탱크(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입구(61a) 및 출구(61b)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6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출구(61b)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넘침 차단탱크(61)와, 상기 넘침 차단탱크(6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탱크(10)에서 오버플로우된 오,폐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2)와, 상기 감지센서(62)의 신호를 받아 상기 진공펌프(20) 측으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밸브(63)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62)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넘침 차단탱크(61)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도록 히팅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밸브(30)에 연결된 개방라인(71)의 단부에는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부(80)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40)의 내부 오일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상기 오일탱크(40)와 진공펌프(20) 사이에 오일쿨러(4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KR1020070105890A 2007-10-22 2007-10-22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KR10081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890A KR100815875B1 (ko) 2007-10-22 2007-10-22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890A KR100815875B1 (ko) 2007-10-22 2007-10-22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875B1 true KR100815875B1 (ko) 2008-03-24

Family

ID=3941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890A KR100815875B1 (ko) 2007-10-22 2007-10-22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8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0964A (zh) * 2013-09-10 2013-12-11 中国北车集团大同电力机车有限责任公司 真空抽油、真空注油和注油后试漏的设备
KR20180033661A (ko) * 2016-09-26 2018-04-04 정우정공주식회사 오일 냉각판을 통해 진공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킨 오폐수 및 분뇨 수거 처리시스템
KR101928551B1 (ko) * 2017-12-27 2019-02-26 주식회사 엘에스지 옥내소화전 배관설비 동파방지를 위한 압축공기를 이용한 건식장치
CN111677068A (zh) * 2020-06-11 2020-09-18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马桶冲水控制系统及方法和节水马桶
CN112957804A (zh) * 2021-02-09 2021-06-15 中广核工程有限公司 集成式清污系统及内进外出型鼓形滤网的底部清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44Y1 (ko) 2001-11-22 2002-03-09 김형국 진공탱크를 이용한 준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44Y1 (ko) 2001-11-22 2002-03-09 김형국 진공탱크를 이용한 준설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0964A (zh) * 2013-09-10 2013-12-11 中国北车集团大同电力机车有限责任公司 真空抽油、真空注油和注油后试漏的设备
KR20180033661A (ko) * 2016-09-26 2018-04-04 정우정공주식회사 오일 냉각판을 통해 진공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킨 오폐수 및 분뇨 수거 처리시스템
KR101865820B1 (ko) * 2016-09-26 2018-06-11 정우정공주식회사 오일 냉각판을 통해 진공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킨 오폐수 및 분뇨 수거 처리시스템
KR101928551B1 (ko) * 2017-12-27 2019-02-26 주식회사 엘에스지 옥내소화전 배관설비 동파방지를 위한 압축공기를 이용한 건식장치
CN111677068A (zh) * 2020-06-11 2020-09-18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马桶冲水控制系统及方法和节水马桶
CN112957804A (zh) * 2021-02-09 2021-06-15 中广核工程有限公司 集成式清污系统及内进外出型鼓形滤网的底部清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875B1 (ko)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US5688076A (en) High-vacuum groundwater and soil remedi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and apparatus
WO1997012098A1 (fr) Installation mobile d'epuisement pour travaux d'installation sur des sections d'egouts
US6627089B1 (en) Water main recirculating/filtering/flushing system and method
CN102597598A (zh) 低压气管的安全阀
KR20090029689A (ko) 폐수 펌핑장치
WO2010045883A1 (zh) 一种土壤通风装置及地下污染物治理系统
US8241379B2 (en) Natural gas reclaimer device
KR20190140307A (ko) 맨홀 청소차량
JP2014087764A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CN212835837U (zh) 一种雨水调蓄池的排水系统及调蓄池系统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CN209953484U (zh) 一种多相抽提修复加油站土壤与地下水的系统
KR100641486B1 (ko) 반도체소자 공장에서 사용되는 집수기
CN218608521U (zh) 分离设备和压缩机组
CN214784485U (zh) 厂房冲洗水排水装置及系统
JP6042179B2 (ja) 真空ポンプユニット、及び真空ステーション
US20230120401A1 (en) Modular
JP2566698B2 (ja) 真空式下水道の非常時汚水排出口
JPH08120753A (ja) 真空式汚水集排水装置と真空式下水道
JP3792332B2 (ja) 真空式下水道システム及びマンホールポンプユニット
CN213077646U (zh) 一种水土保持高效沉砂池
CN216064830U (zh) 一种浅水层、大埋深多相抽提系统
CN112647572A (zh) 厂房冲洗水排水装置及系统
KR200349437Y1 (ko) 준설차의 소음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