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456Y1 - 강재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강재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456Y1
KR200348456Y1 KR20-2003-0036881U KR20030036881U KR200348456Y1 KR 200348456 Y1 KR200348456 Y1 KR 200348456Y1 KR 20030036881 U KR20030036881 U KR 20030036881U KR 200348456 Y1 KR200348456 Y1 KR 200348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steel
plate
drainage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성
Original Assignee
(주) 미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도랜드 filed Critical (주) 미도랜드
Priority to KR20-2003-0036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4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로 단턱의 높이에 맞추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한 용접시 발생되는 뒤틀림으로 인하여 그레이팅이 설치되었을 때 흔들림을 제거하는 한편,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을 제공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도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강재 그레이팅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그레이팅은, 다양한 형태로 투각 처리된 배수공(2)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강판으로 만들어지는 그레이팅 판(3)과; 설치될 배수로 단턱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그레이팅 판(1)과 일체로 하나의 강판으로부터 절단되어, 상기 그레이팅 판(3)으로부터 절곡된 후에 용접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대(4a,4b;5a,5b)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재 그레이팅{Steel grating}
본 고안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두께의 압연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레이저로 절단, 절곡 및 용접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강재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통상, 트랜치는 도로나 건물내부의 우수를 받아 맨홀이나 집수정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배수로로 우수가 유입되기 위해서는 덮개가 없이 시공되어져야 하지만,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을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철제 덮개를 씌워 놓은 것이 트랜치인 것이다.
통상의 그레이팅은 도로를 횡단하는 트랜치, 우수 물받이, 지하주차장 램프 입구 배수로, 지하 주차장 내부 배수로, 건물 내부 배수로의 덮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그레이팅이 필요한 콘크리트 배수로들은 배수로의 걸림턱부 바닥면이 고르지 않아 그레이팅과 잘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지나는 충격에 의해 그레이팅이 부딪치는 걸림턱부의 콘크리트가 조금씩 부서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콘크리트로 배수로를 성형할 때, 전후 벽체의 걸림턱부에 그레이팅 앵글을 미리 콘크리트와 일체화가 되게 시공하는 것이고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이 그레이팅 앵글 위에 스크렌치가 얹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강재 그레이팅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종래의 강재 그레이팅은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02)에 I-바 또는 F-바로 만들어지는 다수의 가로 비임(101)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프레임(102)에 용접되며, 가로 비임(101)이 하중에 의하여 꺾여지거나 비틀리는 형상이 억제되도록 비틀림 형상의 다수의 크로스 바(103)들이 가로 비임(101)들과 직교하도록 가로 비임 (101)과 프레임(102)에 용접된다. 즉, 종래의 그레이팅은 가로 비임(101)들과 크로스 바(103)들에 의하여 다수의 배수공(104)들이 형성되는 격자형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아연 도금된 강재가 사용되고, 가로 비임(101)의 피치 간격은 하중에 따라서 그 두께 및 피치 간격이 조정되며, 그 피치 간격은 적어도 25㎜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가로 비임(101)의 피치 간격이 25㎜ 이하인 경우에 제작 효율이 떨어진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그레이팅은 격자 형상을 만드는 가로 비임에 규격에 정해진 높이의 프레임이 용접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배수로 단턱의 높이를 프레임 규격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용접시 프레임과 가로 비임의 뒤틀림으로 인한 흔들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크로스 비임과 가로 바에 의해 격자 형상의 배수공을 만들기 때문에, 배수공의 형상이 격자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과 함께 우천시에 가로 비임에 의한 미끄럼이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로 단턱의 높이에 맞추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한 용접시 발생되는 뒤틀림으로 인하여 그레이팅이 설치되었을 때 흔들림을 제거하는 강재 그레이팅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을 제공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도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강재 그레이팅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그레이팅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그레이팅을 만들기 위한 강재판의 전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그레이팅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그레이팅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강판 2 : 배수공
3 : 그레이팅 판 4a,4b,5a,5b : 지지대
5 : 절개부 6 : 연결공
7 : 연결바 8 : 보강바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투각 처리된 배수공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강판으로 만들어지는 그레이팅 판과; 설치될 배수로 단턱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그레이팅 판과 일체로 하나의 강판으로부터 절단되어, 상기 그레이팅 판으로부터 절곡된 후에 용접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그레이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대들중 길이 방향의 한 쪽 지지대에 소정 형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와 마주하는 다른 지지대의 외측에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연결바가 용접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대들이 상기 그레이팅 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스폿 용접된 후에, 상기 그레이팅 판의 하부에 강재로 만들어지는 다수의 보강바들이 용접된다.
상기에서, 강판 및 강재 보강바는 스테인레스 강판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그레이팅을 만들기 위한 강재판의 전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그레이팅은 소정 두께, 예를 들어 6 내지 8㎜의 두께를 가지는 SS400 또는 SS490과 같은 압연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1)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강재판(1)을 배수공(2)들이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그레이팅 판(3)과, 그레이팅 판(3)의 전후방 및 측방에 각각 배수로 단턱과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는 지지대(4a,4b;5a,5b)들이 제공되도록 레이저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만들어진다. 또한, 그레이팅 판(3)에 투각되는 배수공(2)들 또한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그레이팅 판(3)에 형성되는 배수공(2)은 그 폭이 종래의 그레이팅의 격자 폭보다 작게 하여, 어린이의 발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지방 자치 단체 또는 회사의 로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배수공(2)은 그레이팅이 환기공에 설치될 때 환기율에 맞추어서 그 크기 등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투각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하여 소정 두께를 가지는 압연 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절단하여 지지대(4a,4b;5a,5b)가 레이저 가공에 의해 만들어질 때, 그레이팅 판(3)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소정 길이, 예를 들어 20 내지 30㎜의 길이를 가지도록 절개부(5)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절개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a,4b;5a,5b)들이 그레이팅 판(3)으로부터 절곡될 때, 지지대(4a,4b;5a,5b)들이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강재판(1)은 지지대(4a,4b;5a,5b)들이 절곡되었을 때, 절곡으로 인한 지지대(4a,4b;5a,5b)들의 높이 변화가 없도록 1.5㎝ 정도 연신되는 연신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레이팅 판(3)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지지대(5a,5b)들중 하나에는 직사각 형상의 연결공(6)이 레이저 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공(6)은 폭이 대략 32㎜이고 높이가 대략 7.5 또는 9.5㎜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5a,5b)들중 다른 하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공(6)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바(7)가 용접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부착된다. 이러한 연결바(7)는 그레이팅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강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그 크기는 연결공(6)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한편 연결공(6)에 삽입되었을 때 유동이 많지 않는 크기로 만들어져야 하며, 연결공(6)은 연결바(7)보다 약 1.5㎜ 정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바(7)는 하나의 그레이팅이 배수로(또는 트랜치)의 한 쪽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그 그레이팅의 지지대(5b)에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그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지지대(4a,4b;5a,5b)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곡되었을 때, 지지대(4a,4b;5a,5b)들은 스폿 용접과 같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지지대(4a,4b;5a,5b)들이 스폿 용접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용접으로 인한 지지대(4a,4b;5a,5b)들의 뒤틀림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지지대(4a,4b;5a,5b)들이 본 고안에 따라서 강재판(1)을 절곡하여 만들어짐으로써, 프레임을 용접하는 종래의 그레이팅과 비교하여 강도가 훨씬 증가된다. 또한, 지지대(4a,4b;5a,5b)의 크기(폭)을 배수로 단턱의 높이에 맞추어 절단할 수 있으므로,배수로 단턱을 규격화하지 않아도 되고, 뒤틀림을 방지하여 종래의 그레이팅의 단점인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대(4a,4b;5a,5b)들이 그레이팅 판(3)으로부터 절곡되어 스폿 용접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들어졌을 때, 그레이팅 판(3)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보강바(8)들이 용접된다. 보강바(8)들이 그레이팅 판(3)의 하부에 용접될 때, 그레이팅이 박스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보강바(8)들의 용접으로 인한 그레이팅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판(3)의 하부에 다수의 보강바(8)들이 제공되기 때문에, 그레이팅이 완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그레이팅이 배수로에 설치될 때, 그레이팅 위를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지지대(4a,4b;5a,5b)들이 배수로 단턱에 맞추어져 있는 한편, 연결바(7)들이 연결공(6)에 삽입되어 그레이팅들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레이팅들이 평탄도를 유지하여,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에도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강재 그레이팅에 의하면, 배수로 단턱의 높이에 맞추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한 용접시 발생되는 뒤틀림으로 인하여 설치되었을 때 흔들림이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을 제공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우천시에도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를 방할 수 있다.
아울러, 배수공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여성들의 힐 또는 어린이들의 발이 배수공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다양한 형태로 투각 처리된 배수공(2)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강판으로 만들어지는 그레이팅 판(3)과;
    설치될 배수로 단턱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그레이팅 판(3)과 일체로 하나의 강판으로부터 절단되어, 상기 그레이팅 판(3)으로부터 절곡된 후에 용접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대(4a,4b;5a,5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그레이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a,4b;5a,5b)들중 길이 방향의 한 쪽 지지대(5a)에 소정 형상의 연결공(6)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5a)와 마주하는 다른 지지대(5b)의 외측에 상기 연결공(6)에 삽입되는 연결바(7)가 용접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그레이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a,4b;5a,5b)들이 상기 그레이팅 판(3)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스폿 용접된 후에, 상기 그레이팅 판(3)의 하부에 강재로 만들어지는 다수의 보강바(8)들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그레이팅.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및 상기 보강바(8)는 스테인레스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그레이팅.
KR20-2003-0036881U 2003-11-26 2003-11-26 강재 그레이팅 KR200348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881U KR200348456Y1 (ko) 2003-11-26 2003-11-26 강재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881U KR200348456Y1 (ko) 2003-11-26 2003-11-26 강재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456Y1 true KR200348456Y1 (ko) 2004-04-28

Family

ID=4934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881U KR200348456Y1 (ko) 2003-11-26 2003-11-26 강재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4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77Y1 (ko) 2009-05-19 2009-09-25 김종득 미끄럼방지용 강판 그레이팅
KR20230024006A (ko) 2021-08-11 2023-02-20 이종윤 판형 스틸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77Y1 (ko) 2009-05-19 2009-09-25 김종득 미끄럼방지용 강판 그레이팅
KR20230024006A (ko) 2021-08-11 2023-02-20 이종윤 판형 스틸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5787C (en) Slotted drain
EP1416091A2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connecting frame members of a trench-formin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fabricating frame members
KR200348456Y1 (ko) 강재 그레이팅
KR102301318B1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US7556450B2 (en) Water collecting structure and drainage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KR200385378Y1 (ko)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KR100654920B1 (ko) 도로의 슬라이딩 스틸그레이팅이 안착되는 배수로 구조
KR200361496Y1 (ko) 강재 그레이팅
KR200312003Y1 (ko) 그레이팅 구조체
KR200246091Y1 (ko) 투명 방음판용 지지 후레임
KR101326918B1 (ko) 수분침투가 방지되는 그레이팅
KR101159636B1 (ko) 유도휀스가 구비된 배수로
KR100541976B1 (ko) 도로용 차단 구조물
KR200384627Y1 (ko) 스틸 그레이팅
JP3478779B2 (ja) フ−ド付き防雪ル−バ−
JP317712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道路側溝蓋版
KR100523415B1 (ko) 스틸 그레이팅
KR102654356B1 (ko) 회전 가능한 트렌치 커버
KR20100090895A (ko) 미끄럼 방지 겸용 중하중 그레이팅
CN215715858U (zh) 排水单元壁体、排水沟、排水沟连接件及排水系统
JP4445453B2 (ja) 導水用取付金具、及びこれを装着した側溝ブロック
JP3236910U (ja) 排水路ユニット
KR102575565B1 (ko) 일체형 절곡브라켓을 갖는 난간 설치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