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338Y1 - 봉투 - Google Patents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338Y1
KR200347338Y1 KR20-2004-0001769U KR20040001769U KR200347338Y1 KR 200347338 Y1 KR200347338 Y1 KR 200347338Y1 KR 20040001769 U KR20040001769 U KR 20040001769U KR 200347338 Y1 KR200347338 Y1 KR 200347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over
envelope
cu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상
Original Assignee
삼양비지네스포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양비지네스포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양비지네스포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1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3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12Closures
    • B65D27/14Closur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32Opening devices incorporated during envelope manufacture
    • B65D27/34Lines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덮개로부터 절취띠를 절취하여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봉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앞면과 뒷면이 접합되어 상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앞면의 상단으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하여 뒷면의 상단에 접합시킬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를 서로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제1 절단선과 제2 절단선 사이에 덮개로부터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띠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절단선은 앞면과 덮개의 접음선에 중첩되어 있고, 절취띠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취급자가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로부터 절취띠를 절취할 때 노출되도록 절취띠의 내면과 앞면의 내면에 인쇄표시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덮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절단선을 따라 띠를 절취하여 입구를 개봉할 수 있으므로, 절단용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봉투를 적은 힘으로 매우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손상 없이 봉투를 깔끔하고 일정하게 개봉할 수 있으며, 덮개의 일부분만을 절취하는 방식에 의하여 앞면과 뒷면의 원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로부터 절취띠를 절취할 때 노출되는 절취띠의 내면과 앞면의 내면에 발송자가 요구하는 광고, 홍보 등을 위한 각종 문안이 인쇄되는 인쇄표시면을 형성하여 광고 및 홍보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투{ENVELOPE}
본 고안은 각종 내용물을 봉함(封緘)하기 위한 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로부터 절취띠를 절취하여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편지, 서장(書狀), 서류 등의 각종 내용물을 봉함하기 위한 봉투는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우편에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봉투의 일례로 우편 봉투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편 봉투는 편지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앞면과 뒷면이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어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앞면의 상단으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하여 뒷면의 상단에 접합시킬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편 봉투의 앞면에는 발신자와 수신자를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편 봉투에 있어서 본체의 수납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덮개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접어서 뒷면의 상단 가장자리에 접합하면, 접합되는 덮개에 의하여 입구가 폐쇄되어 내용물이 완벽하게 봉함된다.
한편, 우편 봉투의 개봉은 우편 봉투의 한쪽 가장자리나 덮개를 흔히 손으로 찢어내고 있다. 이 경우, 취급자는 우편 봉투를 찢어내기 전에 찢어낼 부분의 반대쪽에 내용물을 위치시켜야만 내용물이 우편 봉투와 함께 찢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취급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우편 봉투와 내용물이함께 찢어져 손상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편 봉투가 소재의 특성상 일정한 방향으로 찢어지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찢어지면서 미관을 헤치며, 보관을 곤란하게 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우편 봉투의 가장자리나 덮개를 칼, 가위 등의 절단용 도구로 절단하여 개봉하고 있으나, 절단용 도구를 준비해야만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단용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매우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용물의 손상 없이 깔끔하고 일정하게 개봉할 수 있으며, 앞면과 뒷면의 원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로부터 절취띠를 절취할 때 노출되는 절취띠의 내면과 앞면의 내면에 발송자가 요구하는 광고, 홍보 등을 위한 각종 문안이 인쇄되는 인쇄표시면을 형성하여 광고 및 홍보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앞면과 뒷면이 접합되어 상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앞면의 상단으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하여 뒷면의 상단에 접합시킬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는 봉투에 있어서, 덮개를 서로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제1 절단선과 제2 절단선 사이에 덮개로부터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띠가 형성되어 있는 봉투에 있다.
또한, 제1 절단선은 앞면과 덮개의 접음선에 중첩되어 있고, 절취띠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취급자가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로부터 절취띠를 절취할 때 노출되도록 절취띠의 내면과 앞면의 내면에 인쇄표시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투의 일례로 우편 봉투의 봉함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의 개봉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투의 개봉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에서 손잡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내용물 10: 봉투
12: 본체 14: 앞면
16: 뒷면 18: 입구
20: 수납공간 22: 투명창
24: 덮개 26: 접음선
28: 접착제 30: 제1 절단선
32: 제2 절단선 34: 절취띠
36, 38: 인쇄표시면 40: 손잡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봉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10)의 일례로 우편 봉투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봉투(10)의 본체(12)는 편지 등의 내용물(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앞면(14)과 뒷면(16)의 하단과 양측단이 접착제에 접합되어 상부에 입구(18)를 갖는 수납공간(20)을 구성한다.
한편, 앞면(14)의 좌측 상단에는 발신자를 기재하도록 되어 있고 우측 하단에는 수신자를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앞면(14)의 우측 하단에는 내용물(1)의 표면에 기재되어 있는 수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 예를 들어 비닐로 제작되어 있는 투명창(22)이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투명창(22)은 각종 청구서나 디엠(DM, Direct mail)의 발송용 우편 봉투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바, 투명창(22)은 필요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각종 청구서나 디엠 발송용 우편 봉투의 뒷면(16)에는 광고, 홍보 등을 위한 각종 문안을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앞면(14)의 상단으로부터 덮개(24)가 접음선(26)을 기준으로 뒷면(16)을 향하여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다. 덮개(24)의 선단(22a)은 뒷면(16)의 상단(16a) 가장자리에 중첩되며 양측단(22b, 22c)은 뒷면(16)의 양측단에 중첩되지 않도록 접음선(26)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면(14)의 선단(22a) 내면에는 접착제(28)가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어 있고, 접착제(28)는 뒷면(16)에 덮개(24)를 덮었을 때 앞면(14)의 내면에 접합되지 않도록 뒷면(16)의 상단(16a)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도포되어 있다.
또한, 덮개(24)에는 덮개(24)를 서로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제1 절단선(30)과 제2 절단선(32)을 절단하는 것에 의하여 덮개(24)로부터 절취할 수 있는 절취띠 (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4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절단선(30, 32)은 통상적인 절단기에 의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절단되는 가늘고 긴 슬릿(Slit: 30a, 32a)들을 절단되지 않은 부분(30b, 32b)과 번갈아 절단하여 형성하며, 슬롯(30a, 32a)들의 길이는 취급자가 적은 힘으로도 절취띠(34)를 간편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절단되지 않은 부분(30b, 32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절취띠(34)의 내면에는 덮개(24)를 뒷면(16)에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28)가 도포되어 있지 않다. 제1 및 제2 절단선(30, 32) 사이의 간격, 즉 절취띠(34)의 폭은 10∼20mm 정도로 설정하며, 바람직하기로는 15mm 정도로 설정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앞면(14)과 덮개(24)의 접음선(26)과 제1 절단선(30)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제1 절단선(30)이 접음선(26)으로부터 이격되어 접음선(26)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절단선(30)과 제2 절단선(32)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모두 참조하면, 절취띠(34)의 내면에는 절취띠(34)를 따라 발송자가 요구하는 광고, 홍보 등을 위한 각종 문안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표시면 (36)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24)로부터 절취띠(34)를 절취할 때 노출되는 앞면(14)의 내면에는 노출되는 부분을 따라 광고, 홍보 등을 위한 각종 문안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표시면(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취띠(34)의 양측단에는 취급자가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40)가 돌출형으로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40)는 본체(12)의 양측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띠(34)의 손잡이(40)는 양측단 중 한쪽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봉투에 있어서 손잡이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40′)가 절취띠(34)의 양측단에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오목형의 손잡이(40′)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을 뒷면(16)과 손잡이(40′) 사이에 간편하게 삽입하여 절취띠(34)의 끝단을 잡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봉투(10)에 있어서 본체(12)의 수납공간 (20)에 내용물(1)을 수용하고, 접음선(26)을 따라 덮개(24)를 접어서 뒷면(16)의 상단에 접착제(28)를 접합하면, 덮개(24)에 의하여 입구(18)가 폐쇄되므로, 내용물(1)을 완벽하게 봉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취급자가 덮개(24)가 접합되어 있는 봉투(10)를 개봉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40)를 잡아당기면 제1 및 제2 절단선 (30, 32)이 절단되면서 덮개(24)로부터 절취띠(34)가 절취된다. 취급자가 덮개(24)로부터 절취띠(34)를 절취할 때 절취띠(34)의 내면과 앞면(14)의 내면에 인쇄되어 있는 인쇄표시면(36, 38)의 각종 문안이 절취띠(34)의 절취에 따라서 노출되며, 이것을 집중해서 보게 되는 취급자에게서 높은 광고 및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덮개(24)로부터 절취띠(34)를 완전하게 절취하면, 덮개(24)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던 입구(18)가 개봉되고, 취급자는 열려진 입구(18)를 통하여 수납공간 (20)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1)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24)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절단선(30, 32)을 따라 절취띠(34)를 절취하여 입구(18)를 개봉할 수 있으므로, 칼, 가위 등의 절단용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봉투(10)를 매우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1)의 손상 없이 봉투(10)를 깔끔하고 일정하게 개봉할 수 있으며, 특히 본체(12)의 앞면(14)과 뒷면(16)을 찢어낼 필요가 전혀 없어 각종 청구서나 디엠의 발송용 우편 봉투에 인쇄되어 있는 각종 문안을 원상으로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투에 의하면, 덮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절단선을 따라 띠를 절취하여 입구를 개봉할 수 있으므로, 절단용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봉투를 적은 힘으로 매우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손상 없이 봉투를 깔끔하고 일정하게 개봉할 수 있으며, 덮개의 일부분만을 절취하는 방식에 의하여 앞면과 뒷면의 원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로부터 절취띠를 절취할 때 노출되는 절취띠의 내면과 앞면의 내면에 발송자가 요구하는 광고, 홍보 등을 위한 각종 문안이 인쇄되는 인쇄표시면을 형성하여 광고 및 홍보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이 결과, 각종 청구서나 디엠의 발송용 우편 봉투에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앞면과 뒷면이 접합되어 상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앞면의 상단으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뒷면의 상단에 접합시킬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는 봉투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서로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제1 절단선과 제2 절단선 사이에 상기 덮개로부터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선은 상기 앞면과 덮개의 접음선에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절취띠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취급자가 손가락으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로부터 상기 절취띠를 절취할 때 노출되도록 상기 절취띠의 내면과 상기 앞면의 내면에 인쇄표시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KR20-2004-0001769U 2004-01-26 2004-01-26 봉투 KR200347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769U KR200347338Y1 (ko) 2004-01-26 2004-01-26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769U KR200347338Y1 (ko) 2004-01-26 2004-01-26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338Y1 true KR200347338Y1 (ko) 2004-04-14

Family

ID=4942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769U KR200347338Y1 (ko) 2004-01-26 2004-01-26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3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369Y1 (ko) * 2019-03-04 2020-03-27 주식회사 디파이 개봉부 접착기능을 갖는 서류봉투
JP2021011317A (ja) * 2020-07-29 2021-02-04 株式会社オカザキ 開封用ジッパー付き封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369Y1 (ko) * 2019-03-04 2020-03-27 주식회사 디파이 개봉부 접착기능을 갖는 서류봉투
JP2021011317A (ja) * 2020-07-29 2021-02-04 株式会社オカザキ 開封用ジッパー付き封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01193A1 (en) Reusable envelope with a pair of adhesive strips
KR200347338Y1 (ko) 봉투
JP3768156B2 (ja) 封筒
US6662995B1 (en) Envelope and foldable envelope sheet
US20060151587A1 (en) Convertible envelope
US5732877A (en) Envelope with openable structure
KR200375430Y1 (ko) 봉투
US5492271A (en) Reversible envelope
JP3226180U (ja) 封筒
KR200365285Y1 (ko) 우편봉투
KR200397715Y1 (ko) 우편봉투
JP3018991U (ja) 開封の容易な封筒
JP7420902B2 (ja) 配送用冊子
JPH11349003A (ja) 開封用ミシン目入り封筒
JPH04142254A (ja) 封筒
JP2001114292A (ja) 封 筒
KR200228163Y1 (ko) 개봉이 용이한 봉투
JP6967890B2 (ja) 包装用箱
KR200188171Y1 (ko) 봉투의구조
JPH08169450A (ja) 包装体
KR200178285Y1 (ko) 봉투 겸용 편지지
KR200225736Y1 (ko) 개봉이 용이한 봉투
JP3076602U (ja) 帳票式簡易開封封筒
KR910007810Y1 (ko) 절취선과 개봉선이 형성된 봉투
JP3055102U (ja) 複式封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