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163Y1 - 개봉이 용이한 봉투 - Google Patents

개봉이 용이한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163Y1
KR200228163Y1 KR2020010002555U KR20010002555U KR200228163Y1 KR 200228163 Y1 KR200228163 Y1 KR 200228163Y1 KR 2020010002555 U KR2020010002555 U KR 2020010002555U KR 20010002555 U KR20010002555 U KR 20010002555U KR 200228163 Y1 KR200228163 Y1 KR 200228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open
bag
presen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래
Original Assignee
김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래 filed Critical 김정래
Priority to KR2020010002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1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163Y1/ko

Link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지봉투, 카드봉투, 기업홍보용 팜프렛이나 대금청구서 및 고지서 등의 서류를 송달하는 서류 소봉투 또는 업무용 각종 서류를 송달하는 서류 대봉투 등등을 개봉할 때 내용물을 훼손시키지 않고 매우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분은 개방되고 좌,우 양측부분과 하단부분은 봉함된 상태로 제조되는 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의 상측과 하측 및 좌,우측 각각의 끝부분 중 어느 일측 끝부분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전,후면 개봉절취선을 형성하여 봉투를 한차례의 절취동작으로 쉽고 신속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개봉이 용이한 봉투{An envelope}
본 고안은 편지봉투, 카드봉투, 기업홍보용 팜프렛이나 대금청구서 및 고지서 등의 서류를 송달하는 서류 소봉투 또는 업무용 각종 서류를 송달하는 서류 대봉투 등등을 개봉할 때 내용물을 훼손시키지 않고 매우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지나 카드 또는 서류 등등의 내용물을 우편으로 송달할 때에는 봉투의 개방된 상단부분으로 내용물을 삽입시킨 다음 상단부분의 안쪽에 풀칠하여 붙여주는 수단으로 봉함하여 송달하고 있으며, 이렇게 송달된 봉투를 받은 수취인은 그 봉투를 개봉하고자 할 때에는 풀칠로 봉함된 상단부분이나 양측부분 중 일측부분 또는 하단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을 선택하여 개봉해야 하는데, 이때 손으로 봉투를 개봉할 경우에는 내용물이 훼손되지 않도록 선택된 부분을 조심스럽게 찢어내야 하는 것이 불편하고 또 봉투가 똑바르게 찢어지지 않고 삐뚤빼뚤하게 찢어지게 되어 개봉된 봉투의 외관이 나빠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100)의 하단부분(101) 안쪽에 깊게 삽입된 채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끈(102)을 끼워넣은 상태로 봉투를 제작한 다음 봉투(100) 일측으로 돌출된 끈(102)을 잡고 잡아당겨서 하단부분(101)를 절단하여 개봉하도록 구성된 것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200)의 후면 일단에 두줄상으로 된 절취선(201)을 형성하고 그 두줄상의 절취선(201) 안쪽에 있는 절취부(202)를 떼어내어 개봉하도록 구성된 것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봉투(100)의 제작시 끈(102)을 하단부분(102) 안쪽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 봉투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봉투의 생산원가가 비싸지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특히 끈(102)이 봉투의 하단부분(101)에 일직선상으로 삽입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끈(102)의 삽입단이 하단부분(101)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한 상태이어서 봉투를 개봉하기 위해 끈(102)의 노출된 부분을 잡고 잡아당길 때 끈(102)이 하단부분(101)를 절단하지 못하고 봉투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역시 제작이 까다로워 생산원가가 비싸고, 특히 두줄상의 절취선(201)이 봉투(200)의 후면 일단에 형성되기 때문에 봉투원단을 톰슨칼(일명 도무송) 등으로 재단할 때 미리 절취선(201)을 형성시킨 다음 접지기계로 봉투를 접어주는데, 이때 절취선(201) 및 절취부(202)의 양단이 풀칠에 의해 접착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절취부(202)를 쉽게 떼어낼 수 없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한 절취부(202)를 떼어냈을 때에도 봉투(200)의 후면 하단 끝부분과 좌,우 양측부분에 남아있는 부분이 내용물의 인출작업에 지장을 주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편지봉투나 카드봉투, 서류 소봉투 및 서류 대봉투 등등의 각종 봉투를 개봉하고자 할 때 내용물은 훼손시키지 않고 봉투의 일부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절취하여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단부분은 개방되고 좌,우 양측부분과 하단부분은 봉함된 상태로 제조되는 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의 상측과 하측 및 좌,우측 각각의 끝부분 중 어느 일측 끝부분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전,후면 개봉절취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봉투의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편지봉투의 정면 및 배면
도이며,
도 4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서류 소봉투의 정면 및 배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서류 소봉투의 상단부분을 개봉한
상태와 상단부분을 봉함한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6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카드봉투의 정면 및 배면도이고,
도 7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카드봉투의 상단부분을 개봉한 상태
의 정면도와 상단부분을 봉함한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8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서류 대봉투의 정면 및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개봉절취선이 적용된 봉투의 개봉절취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종래 기술을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투 11 : 상단부분
12,13 : 좌,우측부분 14 : 하단부분
2a,2b : 전,후면 개봉절취선 3 : 내용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편지봉투의 정면 및 배면도이며, 도 4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서류 소봉투의 정면 및 배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서류 소봉투의 상단부분을 개봉한 상태와 상단부분을 봉함한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6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카드봉투의 정면 및 배면도이고, 도 7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카드봉투의 상단부분을 개봉한 상태의 정면도와 상단부분을 봉함한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8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서류 대봉투의 정면 및 배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개봉절취선이 적용된 봉투의 개봉절취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봉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봉투(1)는 그 상단부분(11)만 개봉된 상태로 제작되고, 좌,우측부분(12)(13)과 하단부분(14)은 밀봉된 상태로 제조되고 있다.
즉, 상기 봉투(1)는 톰슨칼장치(일명 도무송기계)나 그외의 재단칼장치 등에 의하여 재단될 때 상단부분(11)과 좌,우측부분(12)(13) 및 하단부분(14)이 각기 전개된 상태로 재단된 다음 자동접지장치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상기한 상단부분(11)만 개봉된 상태를 그대로 놔둔 채 좌,우측부분(12)(13)은 후면측으로 절반씩 접혀진 채 풀칠로서 접착되고, 또한 하단부분(14) 역시 후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풀칠로 접착하여 좌,우측부분(12)(13)과 하단부분(14)이 밀봉된 상태로 제조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봉투(1)의 하측이나 좌,우측 또는 내용물을 넣은 후 풀칠하여 봉함하였을 때의 상측 중 어느 일측 끝부분을 한차례의 절취동작으로 떼어낼 수 있는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형성시킨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인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편지봉투, 서류 소봉투, 카드봉투, 서류 대봉투 등등에 적용한 각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1의 (A)(B)는 편지봉투에 적용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봉투(1)의 하측 전,후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전,후면 개봉절취선은 봉투(1)의 후면에 풀칠된 하단부분(14) 바로 위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하단부분(14) 바로 위에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하단부분(14)이 봉투(1)의 후면에 접착되어 두께가 두꺼워지고 또 풀칠에 의해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이 접착되어 절취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봉투(1)의 하측에 형성시킨 봉투를 개봉하고자 할 때에는 한손으로는 봉투(1)의 중간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하단부분(14)의 일측 끝부분을 잡고 떼어내게 되면 봉투(1)의 하단부분(14)은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따라 절취되는 것이며(도 9 참조), 이와 같이 절취되는 하단부분은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따라 절취되므로 봉투(1)에 들어있는 내용물(3)을 훼손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2의 (A)(B)도 편지봉투에 적용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봉투(1)의 좌,우측부분(12)(13) 중 일측 끝부분에 종방향으로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형성시킨 것으로, 이 역시 상단부분(11)이 풀칠로 봉함된 상태에서 상단부분 또는 하단부분의 끝을 잡고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따라 떼어내면 내용물(3)을 훼손시키지 않고 봉투(1)를 개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3의 (A)(B)도 편지봉투에 적용한 실시예로서, 봉투(1)의 상측에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형성시키는데, 이 실시예 역시 상단부분(11)이 풀칠에 의해 접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전,후면 개봉절취선은 상단부분(11) 바로 밑에 횡으로 형성시킨 것이며, 이와 같이 봉투(1)의 상측에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이 형성된 봉투를 개봉함에 있어서도 상단부분(11)의 일측 끝을 잡고 잡아당기면서 절취하게 되면 봉투(1)의 상단부분(11) 전,후면은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따라 절취되므로 내용물(3)이 훼손되지 않게 된다.
다음, 도 4의 (A)(B)는 기업체에서 고객에게 홍보지나 대금청구서 등등의 서류를 송달하는데 사용되는 서류 소봉투에 적용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봉투(1)의 하측 전,후면에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형성하여 하측의 끝부분을 떼어내는 수단으로 개봉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도 5의 (A)(B)도 서류 소봉투에 적용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봉투(1)의 상단부분(11)이 접혀지는 절첩선(2c)을 경계로 하여 봉투전면의 상단과 상단부분(11)에 대칭상으로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를 형성시킨 것으로서, 봉투(1)속에 내용물을 넣고 상단부분(11)을 후면측으로 접어서 풀칠로 접착하게 되면 상기한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는 서로 마주하는 상태가 되므로 개봉할 때 봉투의 상단 일측을 잡고 떼어내게 되면 전,후면 개봉절취선이 동시에 절취되는 것이다.
다음, 도 6 및 도 7의 (A)(B)는 카드봉투에 적용한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봉투(1)의 하단부분(11)의 하측에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좌,우측부분(12)(13) 중 어느 일측에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형성시킨 것이며, 이들 각 실시예 역시 전,후면 개봉절취선이 형성된 끝부분을 잡고 떼어내는 수단으로 봉투(1)를 개봉하는 것이다.
다음, 도 8의 (A)(B)는 업무용 서류를 접지않은 상태로 송달하는데 사용되는 서류 대봉투에 적용한 실시예인 바, 도면상에는 봉투(1)의 하단부분(11) 바로 위에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을 형성시킨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 실시예 역시 전,후면 개봉절취선을 봉투(1)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 끝부분에 형성시키거나 상단부분(11) 자체의 상단 또는 상단부분(11) 바로 밑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실시예의 봉투(1)에 형성되는 전,후면 개봉절취선(2a)(2b)는 봉투를 톰슨칼장치나 그외의 재단칼장치로 재단할 때 함께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는 상단부분(11)만 개봉된 상태로 봉투(1)를 제조한 다음 전,후면 개봉절취선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봉투 속에 내용물이 들어있는 상태로 송달받은 수취인이 별도의 절단칼이나 가위 등의 절단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후면 개봉절취선을 이용하여 봉투를 쉽고 신속하게 개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봉투를 개봉할 때 내용물이 전,후면 개봉절취선이 형성되는 부분에 끼여있게 되더라도 전,후면 개봉절취선을 따라 절취하는 엄지와 인지가 봉투의 전면과 후면을 동시에 잡은 상태에서 절취할 때 도 9의 도시와 같이 봉투 본체와 전,후면 개봉절취선이 형성된 끝부분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동작으로 떼어내게 되므로 내용물을 훼손시키지 않고 봉투를 개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봉투가 전,후면 개봉절취선을 따라 보기좋게 똑바르게 절취되므로 내용물을 꺼내어 내용을 확인한 후 개봉된 봉투에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단부분은 개방되고 좌,우 양측부분과 하단부분은 봉함된 상태로 제조되는 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의 상측과 하측 및 좌,우측 각각의 끝부분 중 어느 일측 끝부분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전,후면 개봉절취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봉투.
KR2020010002555U 2001-02-03 2001-02-03 개봉이 용이한 봉투 KR200228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555U KR200228163Y1 (ko) 2001-02-03 2001-02-03 개봉이 용이한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555U KR200228163Y1 (ko) 2001-02-03 2001-02-03 개봉이 용이한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163Y1 true KR200228163Y1 (ko) 2001-06-15

Family

ID=7306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555U KR200228163Y1 (ko) 2001-02-03 2001-02-03 개봉이 용이한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1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328A (en) Multi-use envelope
US20030015581A1 (en) Easy open envelope
US8479477B2 (en) Folded pack for holding thin elongate products
US3442438A (en) Envelope opener
US5243807A (en) Package, in particular for product samples, blank for same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rticles
KR200228163Y1 (ko) 개봉이 용이한 봉투
JP3917861B2 (ja) 封筒
US5732877A (en) Envelope with openable structure
US20060151587A1 (en) Convertible envelope
KR200386194Y1 (ko) 개봉이 용이한 서류봉투
GB2261865A (en) Envelope with opening means
KR200347338Y1 (ko) 봉투
ZA200508157B (en) A folded self-adhesive label
JP3226180U (ja) 封筒
JP2002059941A (ja) 封 筒
WO2002008075A1 (fr) Enveloppe
JP3212413U (ja) 梱包箱
JPH0415651Y2 (ko)
KR200332339Y1 (ko) 절취선을 구비하는 테이프
GB2322355A (en) A Re-usable Envelope with Lines of Weakness
JPH04142254A (ja) 封筒
KR200225736Y1 (ko) 개봉이 용이한 봉투
JP4140892B2 (ja) 包装ケース
KR200365285Y1 (ko) 우편봉투
JP3033391U (ja) 開封簡便式書類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