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171Y1 - 봉투의구조 - Google Patents

봉투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171Y1
KR200188171Y1 KR2019980000851U KR19980000851U KR200188171Y1 KR 200188171 Y1 KR200188171 Y1 KR 200188171Y1 KR 2019980000851 U KR2019980000851 U KR 2019980000851U KR 19980000851 U KR19980000851 U KR 19980000851U KR 200188171 Y1 KR200188171 Y1 KR 200188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envelope
line
cut
cut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502U (ko
Inventor
박영재
Original Assignee
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재 filed Critical 박영재
Priority to KR2019980000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1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32Opening devices incorporated during envelope manufacture
    • B65D27/34Lines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리하게 봉투가 개봉되게 하여 개봉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봉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손가락으로 잡아서 뜯기 좋게 임의 형상의 절취편(20)을 상기 봉투의 개봉부(12) 모서리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하되, 적어도 2개소의 연결부(26)(28)에 의해 상기 개봉부(12)에 일체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연결부(28)를 경계로 하여 상부절개선(22)과 하부절개선(24)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상부절개선(22)이 상기 절취선(30)과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봉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개방되게 함으로써, 개봉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색인어]
봉투, 개봉부, 절개선, 연결부, 손가락

Description

봉투의 구조
본 고안은 편지 또는 서류 등을 넣을 수 있는 봉투의 개량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의 인출시 편리하게 봉투가 개봉되게 하여 개봉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봉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투는 편지 또는 서류 등을 넣을 수 있게 장방형의 사각을 이루면서 종이 또는 비닐 수지로 만들어지며, 우편물용 봉투의 경우 일정한 규격이 정하여져 있다. 또한 편지 또는 서류(이하, "내용물"이라 함) 등을 넣은 후 개봉부를 봉하여 붙임으로써, 유통의 과정에서 내용물이 제3자에게 공개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봉투의 개봉을 위해 어느 일 측 변(邊)을 칼 등을 이용하여 절개함으로써, 내용물을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봉투는 어느 일 측변에 절취선을 미리 형성시켜 개봉자가 절취선을 절개하게 함으로써,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절취선이 어느 한 변 전체에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최초의 절취선을 절개하는 과정이 곤란하였으며,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절취선을 절개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개봉부의 내측면에 이형지를 구비하는 점착띠를 부착하거나 또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0-6244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개봉부의 접힘면에 미리 개봉실을 넣어서 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작시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편리하게 봉투가 개봉되게 하여 개봉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봉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편지 또는 서류 등을 넣을 수 있게 사각을 이루면서 종이 또는 비닐 수지로 만들어지고, 편지 또는 서류 등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개봉부가 구비되며, 어느 일 측 변에 개봉하기 좋게 절취선이 형성되는 봉투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잡아서 뜯기 좋게 임의 형상의 절취편을 상기 봉투의 개봉부 모서리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하되, 적어도 2개소의 연결부에 의해 상기 개봉부에 일체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연결부를 경계로 하여 상부절개선과 하부절개선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상부절개선이 상기 절취선과 연결되게 하는 봉투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의 일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사시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의 개봉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봉투 12 : 개봉부
14 : 내용물 20 : 절취편
22 : 상부절개선 24 : 하부절개선
26, 28 : 연결부 30 : 절취선
32 : 개구부 34 : 개방부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봉투(10)는 넣어진 내용물이 인출되어 제3자에게 개방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봉부(12)에 손가락으로 잡고 뜯기 좋게 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취편(20)과, 상기 절취편(20)과 연결됨과 아울러 봉투(10)의 어느 일 측 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취선(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취편(20)은 봉투(10)의 4개소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삼각, 사각 또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개봉부(12)의 양 모서리중 어느 한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편(20)은 둘레면에 동일한 원호를 이루게 되는 상부절개선(22)과 하부절개선(24)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절개선(22) 및 하부절개선(24)은 상기 개봉부(12)와 일체로 되는 2개소의 연결부(26)(28)를 경계로 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절개선(22)은 상기 절취별(20)의 좌, 우측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 절개선(22)은 절취편(20)의 하부변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절개선(24)은 상기 절취편(20)의 모양에 따라 원호를 이루게 되거나 또는 마주보는 내측의 각이 직각을 이루게 되는 선변을 이루게 되거나 선단부의 각이 예각을 이루게 되는 "V"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절개선(24)에 따라 상기 상부절개선(22)이 원호 또는 직선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취편(20)은 상기 연결부(26)(28)의 파괴 후에는 도 3a 도시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되며, 상기 절취편(20)이 펼쳐지면 상기 절취편(20)과 동일한 형상의 개방부(34)가 개봉부(12)에 형성되는데, 상기 개방부(34)는 개봉자가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크기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취선(30)은 봉투(10)의 각 변중 어느 하나의 변에 형성되는데, 개봉부(12)가 접혀지는 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한편, 용이하게 절개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취선(30)은 어느 일 단부가 상기 절취편(20)의 둘레변에 형성되는 상부절개선(22)과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절취편(20)을 펼친 후 개방부(34)에 손가락을 넣어 절취선(30)을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개봉부(12)에 의해 봉투(10)가 봉하여진 상태에서 a)개봉자가 도 1 및 도 2 도시와 같이 하부절개선(24)이 구비되는 절취편(20)의 선단부를 손으로 잡음과 동시에 잡아당기면 연결부(26)(28)가 파괴되며, b)이어서 상기 절취편(20)을 도 3a 도시와 같이 펼쳐 놓으면 상기 절취편(20)의 자리에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개방부(34)가 나타나게 된다. c)이어서 도 3b 도시와 같이 상기 개방부(34)에 손가락을 넣어서 절취선(30)의 방향으로 진입시킴과 동시에 상부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절취선(30)이 절개되어 도 3c 도시와 같이 절취선(30)이 형성되었던 자리에 개구부(32)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개구부(32)를 통해 내용물(14)을 편리하게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봉투의 개봉시 절취편을 개봉부를 펼쳐지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절취편의 자리에 구비되는 개방부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절취편과 연결되는 절취선을 절개되게 하여 봉투를 편리하고 신속하고 개방되게 함으로써, 개봉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편지 또는 서류 등을 넣을 수 있게 사각을 이루면서 종이 또는 비닐 수지로 만들어지고, 편지 또는 서류 등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개봉부가 구비되며, 어느 일 측 변에 개봉하기 좋게 절취선이 형성되는 봉투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잡아서 뜯기 좋게 임의 형상의 절취편(20)을 상기 개봉부(12)의 양 모서리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하되, 적어도 2개소의 연결부(26)(28)에 의해 상기 개봉부(12)에 일체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연결부(28)를 경계로 하여 상부 절개선(22)과 하부절개선(24)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상부절개선(22)이 상기 절취선(30)과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편(20)은 삼각, 사각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취편(20)의 개방으로 상기 개봉부(12)에 동일한 형상의 개방부(3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의 구조.
KR2019980000851U 1998-01-24 1998-01-24 봉투의구조 KR200188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851U KR200188171Y1 (ko) 1998-01-24 1998-01-24 봉투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851U KR200188171Y1 (ko) 1998-01-24 1998-01-24 봉투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502U KR19990034502U (ko) 1999-08-25
KR200188171Y1 true KR200188171Y1 (ko) 2000-11-01

Family

ID=1953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851U KR200188171Y1 (ko) 1998-01-24 1998-01-24 봉투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1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502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60172A (en) Envelope with integral opening device
KR200188171Y1 (ko) 봉투의구조
US5904290A (en) Easy-to-open recyclable envelope
EP1162151A1 (en) Envelope and foldable envelope sheet
KR200347338Y1 (ko) 봉투
US5732877A (en) Envelope with openable structure
KR900009324A (ko) 봉투 및 그를 접는 방법
KR200176057Y1 (ko)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KR200191623Y1 (ko) 개봉이 편리한 봉투
KR100345417B1 (ko) 봉투의 제작방법 및 그 봉투
KR200225736Y1 (ko) 개봉이 용이한 봉투
KR910007810Y1 (ko) 절취선과 개봉선이 형성된 봉투
JPH04142254A (ja) 封筒
KR200188242Y1 (ko)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KR200317532Y1 (ko) 절취편이 형성된 우편봉투
KR970006186Y1 (ko) 봉투의 개봉 구조
JP3004873U (ja) 封 筒
KR200255264Y1 (ko) 봉투가 부착된 양식지
KR200285709Y1 (ko) 내용물의 삽입과 개봉이 용이한 개량봉투
KR200182225Y1 (ko) 가로쓰기 규격봉투
KR200178285Y1 (ko) 봉투 겸용 편지지
KR200365285Y1 (ko) 우편봉투
KR200171175Y1 (ko) 삽입, 봉함, 개봉을 용이하게한 편지봉투
KR200185941Y1 (ko) 구멍 뚫린 절취선이 있는 봉투
JPH11349003A (ja) 開封用ミシン目入り封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