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242Y1 -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 Google Patents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242Y1
KR200188242Y1 KR2020000003579U KR20000003579U KR200188242Y1 KR 200188242 Y1 KR200188242 Y1 KR 200188242Y1 KR 2020000003579 U KR2020000003579 U KR 2020000003579U KR 20000003579 U KR20000003579 U KR 20000003579U KR 200188242 Y1 KR200188242 Y1 KR 200188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postal
envelope
cut line
adhes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길
Original Assignee
김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길 filed Critical 김정길
Priority to KR2020000003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지 등과 같은 우편물의 발송시 사용되는 우편봉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편물이 수납되는 몸체(20)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밀봉시키는 접착부(30)의 절곡부위에 횡방향으로 제1 절취선(41)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30)의 내면인 제1 절취선(41)상에 절개용 실(50)을 부착하며, 상기 제1 절취선(41)과 연결된 호형상의 제2 및 제3 절취선(42,43)에 의해 몸체(20)의 전면과 접착부(30)에는 파지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파지부(31)를 잡아당기면 절개용 실(50)이 따라 나오며 제1 절취선(41)을 중심으로 우편봉투가 개봉되므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우편물을 훼손시키지 않으며 우편봉투를 개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an envelop to be opened easily}
본 고안은 편지 등과 같은 우편물의 발송시 사용되는 우편봉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우편물을 훼손시키지 않으며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우편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지를 보내는 경우에는 편지지에 사연을 기재하고 사연이 기재 된 편지지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우편봉투(100)의 몸체(110)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넣은 후, 접착부(120)를 몸체(110)에 부착하여 우편봉투(100)를 밀봉한 상태에서 겉면에 발신자의 주소와 수신자의 주소를 기재하여 발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밀봉된 우편봉투(100)내의 내용물을 수신자가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편봉투(100)를 개봉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우편봉투(100)의 일단부를 손으로 찢어서 우편물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우편봉투(100)의 일단부를 손으로 찢는 경우에는 우편봉투 (100) 뿐만 아니라 우편봉투(100)와 함께 내용물인 편지지가 찢어져 훼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편봉투(100)내의 내용물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우편봉투(100)를 개봉하려면 별도의 도구, 예를들어 편지 개봉용 나이프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우편물을 훼손시키지 않으며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우편봉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우편물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수납공간을 밀봉하는 접착부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통상적인 우편봉투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절곡부위에 횡방향으로 제1 절취선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의 내면인 제1 절취선상에 절개용 실을 부착하며, 상기 제1 절취선과 연결된 호형상의 제2 및 제3 절취선에 의해 몸체의 전면과 접착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편봉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편봉투의 개봉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편봉투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우편봉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우편봉투 20 : 몸체
30 : 접착부 31 : 파지부
41 : 제1 절취선 42 : 제2 절취선
43 : 제3 절취선 50 : 절개용 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편봉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편봉투의 개봉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우편물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통상적인 우편봉투(10)의 몸체(20)에 상기 수납공간을 밀봉하는 접착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접착부(30)의 절곡부위에는 횡방향으로 제1 절취선(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부(30)의 내면인 제1 절취선(41)상에는 우편봉투(10)의 개봉에 사용되는 절개용 실(5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취선(41)과 연결된 호형상의 제2 및 제3 절취선(42,43)에 의해 몸체(20)의 전면과 접착부(3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31)가 형성된다.
따라서, 편지를 보내는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사연이 기재된 편지지를 몸체(20)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넣은 후, 접착부(30)를 몸체(20)에 부착하여 우편봉투(10)를 밀봉한 상태에서 겉면에 발신자의 주소와 수신자의 주소를 기재하여 발송하면 된다. 이때, 접착부(30)는 제1 절취선(41)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몸체(20)에 부착된다.
반면, 우편봉투(10)내의 내용물을 수신자가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편봉투(10)의 접착부(30)와 몸체(20)의 전면에 형성된 파지부(31)를 잡아당기면 된다. 즉, 파지부(31)를 잡아당기면 제2 및 제3 절취선(42,43)을 중심으로 파지부(31)가 접착부 (30)와 몸체(20)의 전면으로 부터 분리되는데, 이때 파지부(31)의 사이에 위치한 절개용 실(50)이 따라 나오며 제1 절취선(41)을 절개하여 우편봉투(10)를 개봉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편봉투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카드와 같은 우편물을 발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우편봉투를 나타낸 것인데, 상기된 실시예와 구조가 동일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절취선(41)을 절개하여 우편봉투(10)를 개봉하기 위해 실(50)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종이나 프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우편봉투의 몸체에 수납된 우편물을 밀봉하는 접착부의 절곡부위에 절취선과 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상에 우편봉투의 개봉시 사용되는 개봉용 실을 부착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파지부를 잡아당기면 절개용 실이 따라 나오며 절취선을 절개하여 우편봉투를 개봉하므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우편물을 훼손시키지 않으며 우편봉투를 개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우편물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수납공간을 밀봉하는 접착부(30)가 몸체(20)와 일체로 형성된 통상적인 우편봉투(10)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30)의 절곡부위에 횡방향으로 제1 절취선(41)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30)의 내면인 제1 절취선(41)상에 절개용 실(50)을 부착하며, 상기 제1 절취선(41)과 연결된 호형상의 제2 및 제3 절취선(42,43)에 의해 몸체(20)의 전면과 접착부(30)에는 파지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KR2020000003579U 2000-02-11 2000-02-11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KR200188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579U KR200188242Y1 (ko) 2000-02-11 2000-02-11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579U KR200188242Y1 (ko) 2000-02-11 2000-02-11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242Y1 true KR200188242Y1 (ko) 2000-07-15

Family

ID=1964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579U KR200188242Y1 (ko) 2000-02-11 2000-02-11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2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3258A (en) Resealable, returnable envelope
CA2100093A1 (en) Envelopes
KR200188242Y1 (ko) 개봉이 용이한 우편봉투
CN202400384U (zh) 易拆式便利贴信封
JP3018991U (ja) 開封の容易な封筒
KR200225736Y1 (ko) 개봉이 용이한 봉투
KR200397715Y1 (ko) 우편봉투
KR200347338Y1 (ko) 봉투
JP3226180U (ja) 封筒
KR200332339Y1 (ko) 절취선을 구비하는 테이프
JP3102639U (ja) 接着封止式袋体の開封構造
KR200317532Y1 (ko) 절취편이 형성된 우편봉투
KR200178285Y1 (ko) 봉투 겸용 편지지
KR200188171Y1 (ko) 봉투의구조
JPH08169450A (ja) 包装体
JP2001114292A (ja) 封 筒
JP3033391U (ja) 開封簡便式書類袋
KR200201640Y1 (ko) 실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봉투
KR200255264Y1 (ko) 봉투가 부착된 양식지
KR200229034Y1 (ko) 우편봉투 개봉기구
KR200351379Y1 (ko) 편지 봉투
GB2314315A (en) Envelope with tear wire opening
KR20220070373A (ko) 접착 스티커가 있고, 접착부와 결합되어 떼어지는 개봉 절취선이 있는 종이봉투
KR19980057797U (ko) 절취부재를 구비한 편지봉투
CN2477558Y (zh) 带胶易拉信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