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36Y1 - 건축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36Y1
KR200346836Y1 KR20-2004-0000744U KR20040000744U KR200346836Y1 KR 200346836 Y1 KR200346836 Y1 KR 200346836Y1 KR 20040000744 U KR20040000744 U KR 20040000744U KR 200346836 Y1 KR200346836 Y1 KR 200346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fixing member
unit
buil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복현
Original Assignee
황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복현 filed Critical 황복현
Priority to KR20-2004-0000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단위부재를 한번의 공정으로 고정부재에 일체화시키도록 하여 생산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시트를 초배지인 한지로 구성하여 시공 시에 별도의 초배지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장재를 직접 건축물의 내부에 시공하도록 하여, 시공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용의 절감 및 시공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기둥과 같은 곡면에도 긴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내장재의 신뢰성 향상시키며, 설치장소의 제한이 없어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소정의 크기와 모양을 갖는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의 배면에 형성된 부착면으로 구성된 단위부재와, 상기 단위부재의 부착면에 부착고정되며 절취가능한 연질의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내장재{Structural interior materials}
본 고안은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내부의 기둥이나 곡면 등에 자유롭게 부착되는 고정부재에 일정한 배열로 형성되는 단위부재를 고정부착한 것으로써, 설치장소의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꾸미기 위해 사용되는 내장재는 그 요구되는 기능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구조체에 대한 마무리 또는 장식 시공을 위해 사용되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전원주택의 증가와 더불어 자연 친화적인 건축물 및 실내장식재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보다 아늑하고 품위있게 조성하기 위하여 바닥이나 벽 등에 무늬목 등의 목재로 된 내장재를 시공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늬목 등의 목재로 된 내장재는 그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건축물 내장재의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목 자체의 크기와 무게로 인하여 운반 및 설치비용이 증가되고,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어, 그 시공에도 많은 제약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단위편으로 이루어진 목제에 삽입단과 삽입홈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끼워 맞추도록 구성한 내장재가 있으며, 이는 크기와 무게를 크게 감소시키고 설치되는 장소의 제약을 제거하며, 운반 및 설치비용을 감소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장재는 상기 단위편으로 이루어진 목제를 일일이 결합하여 시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실내의 기둥이나 모서리 또는 곡면 등과 같은 위치에 설치할 경우 각각의 단위편의 사이가 유연하게 구부러지지 않아 시공이 곤란하였다.
특히, 기둥과 같은 곡면에 시공할 경우 벽면과 단위편이 긴밀히 접촉하지 못하고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며, 그로인해 별도의 단위편을 따로 제작 생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단위부재를 일정한 형태로 배열하고 이를 한번의 공정으로 고정부재에 일체화하여 그 생산공정을 단축시키며, 고정부재가 일체화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곡면등의 불특정한 위치에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내장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내장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내장재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내장재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내장재의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위부재 11 : 장식부
12 : 부착면 13 : 코팅층
14 : 인쇄층 20 : 고정부재
21 : 고정시트 22 : 접착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내장재는, 소정의 크기와 모양을 갖으며 몸체 상부로는 장식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부(11)의 저면으로는 부착면(12)이 구비되는 단위부재(10)와,
상기 단위 부재(10)의 부착면(12)에 고정되며 몸체는 변형가능한 연질재로 형성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내장재의 사시도로서, 건축물의 시공 시에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재를 일정한 형태로 다수 개가 배열되는 단위부재(10)와, 상기 단위부재(10)가 부착고정되는 고정부재(20)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부재(10)는 엠디에프(MDF : Medium Density Fiber)로 구성하되, 소정의 크기와 모양을 갖는 장식부(11) 및 상기 장식부(11)의 배면에 형성된 부착면(12)으로 구성하며, 상기 장식부(11)는 그 단면이 반원 또는 사다리꼴의 기둥형으로 제작하거나, 삼각뿔형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엠디에프는 목재의 톱밥을 고온, 고압하에서 섬세유화하고 특수접착체와 함께 영압형성한 것을 말하며, 상기 단위부재(10)의 재료는 설치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고정시트(21)와 상기 고정시트(21)의 상부에 형성되어 단위부재(10)의 부착면(10)에 부착고정하기 위한 접착층(22)으로 구성되며, 다수의 고정부재(20)를 특정한 틀에 삽입하고 이를 한번의 과정으로 접착층(22)에 부착함으로써, 제작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시트(21)는 부직포 등의 절취가능한 연질의 것을 사용하되 그 재료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나, 바람직하게는 초배지로서 주로 사용되는 한지로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이나 천정등에 별도의 초배지나 벽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22)은 고정시트(21)에 단위부재(10)를 견고히 접착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위부재(10)의 표면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위부재(10)의 표면을 보호하고 그 사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코팅층(13)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단위부재(10)와 코팅층(13)의 사이에 특정한 문양을 갖는 인쇄층(14)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코팅층(13)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인쇄층(14)에 인쇄된 문양이 외부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13)은 우레탄계 또는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인쇄층(14)은 금, 은, 옥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부재(10)가 부착된 고정부재(20)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곡면을 따라 단위부재(10)가 고정부재(20)에 의하여 벽면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즉, 연질의 고정부재(20)가 곡면을 따라 자유롭게 휘어져 부착되며, 그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0)에 부착된 단위부재(10)가 곡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시공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벽면에 한지로 된 고정시트(21)가 구성된 고정부재(20)를 시공하는 방법은 초벌지를 도배하는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는 절취가능한 재질로 구성하여, 근접한 서로 다른 단위부재(10) 사이의 고정부재(20)를 절취하여 원하는 개수의 단위부재(10)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위블럭(도시하지 않음)을 시공현장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음으로 인해, 한정된 벽면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 본 고안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저가의 엠디에프를 이용하여 내장재의 단위부재(10)를 구성하고 이를 고정부재(20)에 부착하며,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시트(21)를 초배지인 한지로 구성하여 시공 시에 별도의 초배지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장재를 직접 건축물의 내부에 시공함으로써, 시공시간의 단축과 시공비용의 절감 및 시공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기둥과 같은 곡면에도 긴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내장재의 신뢰성 향상시키며, 설치장소의 제한이 없어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정의 크기와 모양을 갖으며 몸체 상부로는 장식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부(11)의 저면으로는 부착면(12)이 구비되는 단위부재(10)와,
    상기 단위 부재(10)의 부착면(12)에 고정되며 몸체는 변형가능한 연질재로 형성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10)는 엠디에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11)의 표면에는 코팅층(13)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11)의 표면에는 인쇄층(14)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건축물에 부착되는 고정시트(21)와 상기 단위부재(10)의 부착면(12)에 부착되는 접착층(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트(21)는 한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
KR20-2004-0000744U 2004-01-12 2004-01-12 건축용 내장재 KR200346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44U KR200346836Y1 (ko) 2004-01-12 2004-01-12 건축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44U KR200346836Y1 (ko) 2004-01-12 2004-01-12 건축용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36Y1 true KR200346836Y1 (ko) 2004-04-01

Family

ID=4942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744U KR200346836Y1 (ko) 2004-01-12 2004-01-12 건축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403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네이첸 건축물 내 외장재용 템바루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403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네이첸 건축물 내 외장재용 템바루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3836B2 (en) Heat insulation door for a refrigerator having 3 dimensional shapes
CA2357503A1 (en) External wall structure
CA2624627A1 (en) Wall transition molding
KR20120008764A (ko) 마감용 판재
KR200346836Y1 (ko) 건축용 내장재
EP2943627B1 (en) A laminated panel
CN216915070U (zh) 一种复合刨花板
KR101067442B1 (ko) 휨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마루
KR101559671B1 (ko) 단열판넬
CN110952736B (zh) 一种用于干挂安装的装饰板生产方法
JP2007046386A (ja) 建築用化粧部材
RU45426U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JP3145265U (ja) 壁面パネル
CN219411628U (zh) 装饰板组件
JP2003147898A (ja) 建築用パネル
CN215978184U (zh) 一种秸秆复合物成型的环保建筑装饰板
EP3960954B1 (en) Decorative panel comprising an elastic fabric for the decoration of surfaces
JP6293377B1 (ja) 装飾用表面形成材、およびこれを用いて装飾が施されてなる物品
JP3111079U (ja) 埋め込み化粧モール付きフラッシュドア。
KR200257772Y1 (ko)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KR200391720Y1 (ko) 장식 벽판재 구조
KR200273596Y1 (ko) 상감 이중 바닥재
KR200210558Y1 (ko) 건축용 패널
KR101241109B1 (ko) 마감용 판재
KR200347265Y1 (ko)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