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921Y1 -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 Google Patents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921Y1
KR200396921Y1 KR20-2005-0018561U KR20050018561U KR200396921Y1 KR 200396921 Y1 KR200396921 Y1 KR 200396921Y1 KR 20050018561 U KR20050018561 U KR 20050018561U KR 200396921 Y1 KR200396921 Y1 KR 200396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cork
veneer
sheet
vene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관
김해식
Original Assignee
정용관
김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관, 김해식 filed Critical 정용관
Priority to KR20-2005-0018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9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02C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6Wood, e.g. woodboard, fibreboard, woodch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연 무늬목과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무늬목 시트와 천연 콜크를 결합하여 내장재를 구성함으로서 천연무늬목이 갖는 장식미와 콜크가 갖는 완충성 등의 기능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인 바,
얇은 박판의 천연 무늬목 시트(2;천연 염색무늬목 시트와 천연 집성무늬목 시트를 포함한다.)를 천연 콜크판(3)에 접착결합하고,
천연 콜크판(3) 이면에는 접착층(4)를 도포, 형성하고 이형지(5)를 부착결합하여 구성함으로서 천연무늬목이 갖는 자연적인 무늬의 장식미와 천연 콜크가 갖는 고유의 탄력성과 완충성 및 습도조절기능 및 흡음기능, 단열기능 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잇점과 효과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Interior materials using Natural ood and cork}
본 고안은 천연 무늬목과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무늬목 시트와 천연 콜크를 결합하여 내장재를 구성함으로서 천연무늬목이 갖는 장식미와, 콜크가 갖는 완충성 등의 기능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등의 실내 벽면과 바닥면 등에 내장 마감재로 시공되는 벽면 마감재나 바닥재 등은 천연의 원목 판넬이나 인조 무늬목 시트지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원목 판넬은 천연무늬의 뛰어난 장식성과 내구성으로 벽면이나 바닥재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고가하여 비경제적이며, 인조 무늬목 시트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외관미가 불량한 등의 단점을 갖고 있어 근자에는 장식미가 어느 정도 뛰어나고 탄력성과 완충성 및 흡음성 등의 기능을 갖고 있는 콜크를 이용한 벽지나 바닥재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완충성 및 흡음성 등의 기능성을 갖고 있는 콜크를 이용하여 콜크 벽지를 구성한 고안은 공개특허공보 제1995-27098호, 공개특허공보 제1998-069811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4378호 등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크 벽지는 다공성 세포로 되어 탄력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고 흡음성이 뛰어난 콜크의 장점을 이용하여 벽지를 구성함으로서 콜크의 기능적 장점을 벽면 마감재로서 활용하고 있으나 콜크의 무늬가 그대로 노출됨으로서 천연 무늬목의 미감에 비하여 그 장식성과 심미감이 부족할 수 밖에 없는 것이었고, 외부의 긁힘(스크래칭) 등에 쉽게 훼손되는 등, 내구성이 약한 단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콜크를 이용하여 마감 판재 등으로 구성한 고안 역시 알려져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16355호에는 폐품으로 성형된 받침판의 일면에 접착제로서 콜크판을 접착하고 하부에 콜크분말층을 접착하여 상면을 투명 코팅한 것으로, 이 역시 전면에 노출되는 콜크의 무늬가 원목의 천연무늬와 같은 뛰어난 장식성을 제공하기에 부족한 것임 물론 내구성도 약한 것이어서 바닥재나 벽면 마감재로서 실용화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또, 공개특허공보 제10-1998-25251호 및 10-2003-91140호에는 콜크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칼라무늬 인쇄층을 형성한 장식재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천연 무늬목의 내장재에 비교하여 장식미가 뛰어나지 못하고 보호층 역시 쉽게 벗겨질 우려가 높아 콜크층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함으로서 사용수명이 짧은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천연무늬목이 갖는 장점인 뛰어난 외관미의 장식성과 내구성을 이용하여 벽면이나 바닥재로 구성한 것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004-79225호 등에 알려져 있는 바, 이는 천연 무늬목 시트지 일면에 불연성 박판(알루미늄 박판)을 접착결합하여 천연무늬목이 갖는 장식미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으나 천연 무늬목 시트와 결합된 불연 박판간에 습기가 차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천연 무늬목 시트와 알루미늄 박판의 불연 박판이 접착결합되어 구성됨으로서 이들 사이에 습기가 발생될 우려가 높은 것이었고, 알루미늄 박판의 불연박판이 벽면에 부착됨으로서 벽면과의 사이에 습기가 쉽게 차게 됨은 물론 외부로 방출되지도 못하고 벽면 내에 그대로 머물게 됨으로서 이를 시공한 벽면 등에 습기로 문제가 많이 발생하여 이 또한 실용화가 곤란한 것이었다.
특히, 상기한 습기 문제와 함께 유연성을 갖추지 못하여 골국이 있는 부착면에는 시공 자체가 아예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었다.
즉, 기존 천연무늬목 시트를 이용한 상기 인테리어용 무늬목 시트는 천연 무늬목 표면에 방염제를 도포하고 알루미늄 박판으로 된 불연 박판을 접착결합함으로서 화재 등의 방화 목적에만 집중되어 내장 마감재로서 필요한 습기조절기능인 완충성 및 시공의 용이성 등은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에서는 천연무늬목과 콜크의 장점을 모두 갖는 내장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천연무늬목이 갖는 뛰어난 미감의 장식미와 콜크가 갖는 탄력성과 완충성 및 습기조절기능, 단열기능 등의 기능성이 함께 제공될 수 있는 건축용 내장 마감재를 제공함으로서 이를 벽면이나 바닥재 등으로 널리 공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천연무늬목 시트와 천연 콜크를 접착결합하여 내장재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에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얇은 천연 무늬목 시트(2) 일면에 천연 콜크판(3)을 접착결합하여 내장재(1)를 구성한 것이다.
천연 무늬목 시트(2; 천연 염색무늬목 시트와 천연 집성무늬목 시트를 포함한다.)는 대략 1mm 이내의 얇은 박판으로 구성하고, 천연 콜크판(3)은 대략 5mm 내외의 두께로 구성하여 이들을 난연성 접착제 등으로서 접착결합한다.
상기에서 천연 콜크판(3)은 5mm이상의 두께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 고안은 천연 콜크판(3)의 두께에 특별히 제약받지 않는다.
그리고, 천연 콜크판(3)의 이면에는 접착층(4)를 도포, 형성하고 이형지(5)를 부착하여 내장재(1)를 구성하는 바, 상기 접착층(4) 역시 난연성 접착제 등의 방염 성분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천연 무늬목 시트(2)와 천연 콜크판(3)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바이오세라믹을 도포분사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천연무늬목 시트(2) 표면은 통상과 같이 방염처리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되는 내장재(1)는 도시한 예와 같이 여러 규격의 시트지 형태 등으로 구성하는 바, 일반적인 벽지와 같이 롤(Roll)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천연무늬목 시트(2)를 접착결합한 천연 콜크판(3) 이면에 종이(6)를 접착결합하여 내장재(1a)를 구성한 것으로, 종이(6)에 풀칠이나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벽면이나 바닥면 등의 부착면에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천연무늬목 시트(2)가 갖는 천연무늬목 그대로의 장식미를 제공함과 동시에 천연 콜크가 갖는 탄력성과 완충성 및 습기조절기능 등이 제공된다.
천연 콜크판(3)의 일면에 접착결합된 천연무늬목 시트(2)는 천연무늬목 그대로의 자연 무늬를 나타내게 되어 뛰어난 미감의 장식미를 제공하게 되고, 천연목재가 갖는 표면 경도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뛰어난 내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천연 콜크판(3)은 탄력성과 유연성을 갖고 있어 굴곡된 벽면 등에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다공성 세포질로 된 천연 콜크판(3)은 벽면에 외기가 통기되는 통기성이 부여되므로 벽면에 습기가 차지 않는 습도조절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천연 콜크판(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세포질로 되어 탄력성과 유연성에 따른 완충성과 습도조절기능 및 단열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음파가 다공성 세포질에 흡수되는 흡음성도 함께 제공하여 방음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으며,
천연 콜크는 원적외선방사 및 향균 탈취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바, 이러한 천연 콜크가 갖는 고유의 여러 기능성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천연 콜크판(3) 이면에 부착된 이형지(5)를 벗겨내고 미리 도포되어 있는 접착층(4)를 이용하여 실내 벽면 등에 간편히 부착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용이성이 함께 제공된다.
도 4와 같이 천연 콜크판(3) 일면에 종이(6)를 접착하여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역시 이면의 종이(6)에 풀칠이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간편히, 부착 시공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천연 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1)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구성요소중 천연 무늬목 시트(2)과 천연 콜크(3)를 인조 무늬목이나 인조 콜크로 변경하여 실시한 경우에도 본 고안과 동일한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천연무늬목 시트(2)와 천연 콜크판(3)을 상호 결합하여 내장재(1)를 구성함으로서 건축용 내장재로서 천연무늬목이 갖는 자연적인 무늬의 장식미와 천연 콜크가 갖는 고유의 탄력성과 완충성 및 습도조절기능, 단열기능, 흡음기능 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잇점과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내장재
2; 천연무늬목 시트
3; 콜크판
4; 접착층
5; 이형지

Claims (2)

  1. 천연 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얇은 박판의 천연 무늬목 시트(2)를 천연 콜크판(3)에 접착결합하고,
    천연 콜크판(3) 이면에는 접착층(4)을 도포, 형성하고 이형지(5)를 부착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 무늬목 시트(2)를 접착결합한 천연 콜크판(3)의 이면에 종이(6)를 부착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KR20-2005-0018561U 2005-06-27 2005-06-27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KR200396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61U KR200396921Y1 (ko) 2005-06-27 2005-06-27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61U KR200396921Y1 (ko) 2005-06-27 2005-06-27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306A Division KR100744868B1 (ko) 2006-02-20 2006-02-20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921Y1 true KR200396921Y1 (ko) 2005-09-28

Family

ID=4369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561U KR200396921Y1 (ko) 2005-06-27 2005-06-27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9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4880T3 (es) Panel de suelo con capa de poliuretano y capa decorativa
JP2017520700A (ja) パネル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1649671B (zh) 一种防火装饰石膏板及其生产方法
JP2001096674A (ja) 化粧材
KR200396921Y1 (ko)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US20080176089A1 (en) Wallpaper type decoration panel having decoration pattern of unevenness form
KR100744868B1 (ko)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KR100710919B1 (ko) 마그네슘 보드와 콜크를 이용한 바닥재
KR20060136303A (ko) 천연무늬목과 천연 콜크를 이용한 내장재
CN207761212U (zh) 一种具有高舒适度的室内防潮装饰板
KR20050113154A (ko) 화장실용 칸막이 패널
KR101559671B1 (ko) 단열판넬
CN201756772U (zh) 蜂窝型竹铝复合装饰板
KR100786582B1 (ko) 장식용 방염 시트
KR100886563B1 (ko) 인테리어용패널 및 그 제작방법
KR200402806Y1 (ko) 마그네슘 보드와 콜크를 이용한 바닥재
CN107916760A (zh) 一种具有高机械强度的保温装饰板
CN217630976U (zh) 一种布艺饰面阻燃墙板
CN202899510U (zh) 钢制面板复合防火内墙裙装饰板
CN213806287U (zh) 一种建筑装修装饰用防火隔音板
CN207296235U (zh) 一种阻燃隔热贴面板
KR100758938B1 (ko) 목재를 이용한 외장마감재 제조방법
KR100919374B1 (ko) 방음용 흡음패널의 제조방법
CN202577818U (zh) 组合式装饰墙
JP2001038703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