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596Y1 - 상감 이중 바닥재 - Google Patents

상감 이중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596Y1
KR200273596Y1 KR2020020004022U KR20020004022U KR200273596Y1 KR 200273596 Y1 KR200273596 Y1 KR 200273596Y1 KR 2020020004022 U KR2020020004022 U KR 2020020004022U KR 20020004022 U KR20020004022 U KR 20020004022U KR 200273596 Y1 KR200273596 Y1 KR 200273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onductive
present
doubl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필노
Original Assignee
신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4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596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타일과 조합목재를 소재로 하는 이중 바닥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이중 바닥재의 무늬,모양 및 색채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연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이중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색상과 무늬로 인쇄된 도전 또는 비전도성 타일을 원하는 무늬에 따라 커팅하고, 또 다른 원하는 색상 및 무늬로 된 도전 또는 비전도성 타일을 원하는 무늬에 따라 커팅하여 상기 타일의 천공된 부위에 다른 타일에서 따낸 부분을 끼워 넣고 중간재와 함께 접착, 제작 공정을 실시하며, 이중바닥재의 둘레에 알루미늄으로 된 프레임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내하중성능, 내수성능을 충족시킬수 있음은 물론이려니와, 특히 고급화하는 실내 인테리어 추세에 부응하여 미려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이중 바닥재를 제안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감 이중 바닥재{Inlay Access Floor}
본 고안은 상감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타일과 조합목재등의 중간재 그리고 차단재를 소재로 하는 상감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건축물의 바닥위에 또 다른 바닥을 시공하여 배선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설계된 이중바닥재(ACCESS FLOOR)가 활용되고 있으며,
배선의 시스템화를 통해 쾌적한 사무환경을 유도하고 배선의 안전 및 융통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 바닥재의 대표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타일(100)의 하방에 조합목재나 파티클 보드등으로 된 중간재(101)를 접착시키며, 그 저면에 알루미늄 박지등의 차단재(102)를 접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이중 바닥재의 타일은 단일 색상으로 되거나 ,단일 무늬가 연속된 형태의 된 것이어서 실내 인테리어의 고급화 추세에 부응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이중 바닥재는 그 둘레에 플라스틱 프레임을 부착, 고정하여서 된 것이어서, 이부분에 의하여 난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 바닥재의 무늬,모양 및 색채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연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상감 이중바닥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이중바닥재를 보인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바닥재의 타일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바닥재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접착제
2:중간재
A,B:타일
C: 공간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소정의 색상과 무늬로 인쇄된 도전 또는 비전도성 타일을 원하는 무늬에 따라 커팅하고, 또 다른 원하는 색상 및 무늬로 된 도전 또는 비전도성 타일을 원하는 무늬에 따라 커팅하여 상기 타일의 천공된 부위에 다른 타일에서 따낸 부분을 끼워 넣고 중간재와 함께 접착, 제작 공정을 실시하며, 이중바닥재의 둘레에 알루미늄으로 된 프레임을 형성하여서 된 상감 이중 바닥재를 제안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상감 이중 바닥재는 내하중성능, 내수성능을 충족시킬수 있음은 물론이려니와, 특히 고급화하는 실내 인테리어 추세에 부응하여 미려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상감 이중 바닥재를 제안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원하는 색삭 및 무늬로 된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타일을 준비 한다.
본 고안에서는 특히 타일을 2가지 이상 준비하여야 하며, 기본적으로 바탕이 되는 타일(A)과 타일(A)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간부(C)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타일(B)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타일(A)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간부(C)에 하나 이상의 타일(B)이 공간부(C)의 형상에 따라 오려져 공간부(C)에 채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도2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 색상, 특정 바탕 무늬를 가진 타일(A)에 특정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간부(C)가 존재하며, 이에는 특정 색상, 특정 바탕 무늬를 가진 하나 이상의 타일(B)이 공간부(C)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오려져 배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정교한 재단을 위하여 레이져 절단기가 사용될 수도 있고, 커팅 프레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색상, 다양한 모양, 무늬로 표현된 타일(A,B)을 접착제(1)가 도포된 중간재(2)위에 놓고 열압프레스에 의하여 가압, 접착한 후 건조로에 넣어 건조시켜 완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상감 이중 바닥재는 실내의 인테리어와 이상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특정 색상, 특정 바탕 무늬를 가진 타일(A) 및 이에 결합되는 특정 색상, 특정 바탕 무늬를 가진 하나 이상의 타일(B)을 선정하여 실내 인테리어와 바닥재가 어우러져 미려한 장식 효과를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실내 인테리어의 고급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본 고안에 의한 상감 이중 바닥재는 그 둘레를 금속으로 된 프레임으로 둘러 줌으로써 화재 발생시 프레임이 연소됨을 방지하여 난연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이중 바닥재를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될 수 있도록 색상, 무늬, 모양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실내 인테리어를 더욱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감 이중 바닥재의 둘레에 금속프레임을 결합함으로써 난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접착제(1)가 도포된 중간재(2)위에 타일을 놓고 열압프레스에 의하여 가압, 접착한 후 건조로에 넣어 건조시켜 완성하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특정 색상, 특정 바탕 무늬를 가진 타일(A)에 특정 모양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간부(C)를 형성하고 공간부(C)에 그 형태와 일치하도록 준비한 타일(B)을 배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감 이중 바닥재.
KR2020020004022U 2002-02-07 2002-02-07 상감 이중 바닥재 KR200273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022U KR200273596Y1 (ko) 2002-02-07 2002-02-07 상감 이중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022U KR200273596Y1 (ko) 2002-02-07 2002-02-07 상감 이중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596Y1 true KR200273596Y1 (ko) 2002-05-03

Family

ID=7311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022U KR200273596Y1 (ko) 2002-02-07 2002-02-07 상감 이중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5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110A (ko) * 2017-12-18 2019-06-26 박민지 숯타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110A (ko) * 2017-12-18 2019-06-26 박민지 숯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9880B1 (ko) * 2017-12-18 2020-07-03 박민지 숯타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0702A (zh) 多功能复合装饰板
WO2007003804A3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lames de revetement de sol et lames issues de ce procede, installation et feuille decor pour la mise en œuvre du procede
CA2435673A1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US20040128932A1 (en) Foam wall system
KR200273596Y1 (ko) 상감 이중 바닥재
CN2913505Y (zh) 金属浮雕多用途节能装饰复合板
CN201195471Y (zh) 一种镶嵌艺术板
KR100425955B1 (ko) 인테리어용 몰딩재
KR200430184Y1 (ko) 인조 대리석 부분 장식 판재
KR20110103770A (ko) 타공으로 이미지를 연출한 고밀도 목재패널
KR200349992Y1 (ko) 방화 도어용 문짝
CN201932794U (zh) 应用耐火板的电梯轿厢
KR200282055Y1 (ko) 건축용 황토 패널
CN207260403U (zh) 一种组合式室内吊顶板
KR100704165B1 (ko) 불연마감내장재용 마그네슘보드 및 그 제작방법
CN106854924A (zh) 复合式装饰板
KR200238241Y1 (ko) 장식물을 갖춘 방화문
KR200346836Y1 (ko) 건축용 내장재
KR200359057Y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KR200411729Y1 (ko) 장식판
KR200254816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KR200196164Y1 (ko) 장식용 몰딩
WO2008142684A2 (en) Method for patterning plasterboard and plasterboard products produced thereby
TWM597796U (zh) 模組化飾板結構
JP3130763U (ja) 布目サイディ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