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992Y1 - 방화 도어용 문짝 - Google Patents

방화 도어용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992Y1
KR200349992Y1 KR20-2004-0004318U KR20040004318U KR200349992Y1 KR 200349992 Y1 KR200349992 Y1 KR 200349992Y1 KR 20040004318 U KR20040004318 U KR 20040004318U KR 200349992 Y1 KR200349992 Y1 KR 200349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present
fire door
laminat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기
Original Assignee
김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기 filed Critical 김동기
Priority to KR20-2004-0004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출입문을 통한 화염의 전파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보드로 제작된 실내 방화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은 산화마그네슘과 염화마그네슘을포함하여 이루어진 불연 보드재의 적층패널을 절단하여 이루어진 문짝 본체에, 측면 및 상하부면의 절단면을 따라 두께 1~10㎜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스트립을 부착하여 보호 테두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은 열에 의한 뒤틀림이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우수한 방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색이나 문양 조각 등 각종 가공이 용이하여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도 뛰어나 실내용 방화 도어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방화 도어용 문짝{fire-proofing door}
본 고안은 방화 도어용 문짝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출입문을 통한 화염의 전파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불연 보드로 제작된 실내용 방화 도어에 사용되는 문짝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다른 공간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의 시공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는 현관문이나 계단, 복도등의 공용부분에 해당되는 것이고, 집안의 문들은 대부분 나무문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문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집안의 방사이에 굳이 방화문을 설치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거나 강제적인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방화문이 대부분 철재로 만들어져 외관과 질감이 실내용으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화재는 10~20분 이내에 진화됨에도 불구하고, 그 사이에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사실을 감안할 때, 집안내에서 각 방간의 화재의 전파 방지 또한 인명의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아니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방화 기능과 인테리어 기능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실내용 방화 도어의 개발도 시도되고 있는데, 현재 개발된 실내용 방화 도어를 보면 대부분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체에 불연 시트 등을 결합하고, 내부에는 불연 충진재를 충진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우, 불연시트가 피복되어 있더라도 고온이 전달되면 내부의 프레임 구조가 불에 타서 전체적인 구조가 붕괴되거나, 불에 타지 않더라도 열에 의해 비틀려 전체적인 문짝이 변형될 염려가 많아 방화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프레임을 짜고, 불연 시트를 붙이고, 충진재를 충진하는 등의 작업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생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원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방화문을 개선할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불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면서도 도색이나 문양 조각 등 각종 가공이 용이하여 인테리어적인 측면에서도 뛰어난 불연 보드재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사용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 실내용 방화 도어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화 도어용 문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방화 도어용 문짝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화 도어용 문짝
10. 문짝 본체 11. 심재
12, 13. 표면 판재 14. 문양
20. 보호 테두리 21, 22, 23, 24. 목재 스트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산화마그네슘과 염화마그네슘을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진 불연 보드재의 적층패널을 절단하여 이루어진 문짝 본체에, 측면 및 상하부면의 절단면을 따라 두께 1~10㎜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스트립을 부착하여 보호 테두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도어용 문짝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패널은 전체 두께의 50~80%를 차지하는 두꺼운 심재와 상기 심재의 전후면에 부착된 얇은 표면 판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방화 도어용 문짝을 이루는 적층패널의 앞면 또는 뒤면에는 문양을 조각하고 도색하거나 장식시트를 접착하여 장식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분해 사시도로서,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1)은 불연보드재의 적층패널로 이루어진 문짝 본체(10)와 본체(10)의 양측면 및 상하부면을 둘러싼 보호 테두리(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짝 본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께 1~2㎝ 정도의 두꺼운 불연 보드를 심재(11)로 하고, 상기 심재(11)의 전후면에 2~3㎜ 두께의 얇은 불연 보드재인 표면 판재(12, 13)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불연의 적층패널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심재(11)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여 열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하기 위해 전체 두께의 50~80% 정도를 차지하도록 상기와 같이 두꺼운 불연 보드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심재(11)의 전후면 부착하는 표면 판재(12, 13)에는 장식을 위한 각종 문양(14)을 조각해 넣기 때문에 표면 재질이 매끄럽고 얇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심재(11)와 표면 판재(12, 13)를 구성하는 불연 보드재는,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을 주재료로 하여 여기에 소량의 식물섬유와 석고분말, 아교 및 황화철 등을 물과 혼합한 페이스트를 성형하여 보드상 또는 시트상으로 만든 것으로, 상기 소량의 첨가제 성분들을 혼합할 경우 불연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수성, 휨강도 및 치수안정성을 나타낸다.
상기 불연 보드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의 특성과 작용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산화마그네슘과 염화마그네슘은 함께 단단한 결정체를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며 방화 및 방수작용 및 시멘트 역할을 한다. 이들은 산화마그네슘 100중량부에 대해 염화마그네슘 약 60~7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된다.
또 상기 식물 섬유는 불연 보드가 시멘트처럼 너무 단단해지지 않고 목재가 갖는 특성을 갖고 못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식물 섬유로는 톱밥, 볏짚, 옥수수대 등이 사용되며, 산화마그네슘 100중량부에 대해 대락 2~20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된다.
석고분말은 흡습작용을 하며, 아교는 보드의 탄성과 휨 강도를 높여주고 침수를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황화철은 습기흡수를 방지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들은 각각 1~5중량부 정도의 소량으로 첨가된다.
이들 불연 보드재의 원판은 통상 넓은 판상으로 성형되는데, 이 원판을 필요한 크기로 자른 다음 합지하여 문짝 본체(10)를 구성하는 적층 패널을 만든다. 그런데 상기 불연 보드재의 적층패널을 잘라 만든 문짝 본체(10)의 잘린 면과 모서리는 매끄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결정질로 이루어진 성분들때문에 대패질이나 연마에 의한 가공이 힘들고 특히 내충격성이 약하여 문짝으로 사용할 시, 여닫을 때에 문틀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 기타 물건과의 충돌에 의해 모서리 부분이 부서지고 깨어져 작은 조각으로 되어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그대로 문짝으로 사용할 수 없다. 또, 상기 잘린 부분은 대패질이 불가능하여 문짝으로 만들어 시공시에 발견되는 부정합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사정으로 종래의 무기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보드나 시트는 규격화된 벽재나 천정재 등으로만 사용되어 오거나 작은 조각으로 프레임 구조에 부착하여 사용하여 왔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불연 보드의 적층패널로 이루어진 문짝 본체(10)의 측면 및 상하부면에 절단면을 따라 얇은 목재 스트립(21, 22, 23, 24)을 덧대어 보호 테두리(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점을 보완하고 있다. 상기 목재 스트립(21, 22, 23)은 내열성이 높은 접착제로 접착하여 본체(10)에 결합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목재인 경우에는 못질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 테두리(20)는 불연 보드 적층패널의 절단면을 커버하여 사용시 충격에 의해 가장자리가 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목재 스트립(21, 22, 23, 24)을 사용하여 보호 테두리(20)를 형성할 경우, 문짝의 시공시 발견되는 부정합을 대패질로 편리하게 교정할 수 있어 방화문의 시공에 필요한 엄밀한 밀폐구조를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상기 보호 테두리(20)를 이루는 목재 스트립(21, 22, 23, 24)은 문짝 본체(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두께면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넓은 정면부에 대해서는 수직으로 매우 얇은 부분만 노출되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방화 성능을 저하시킬 염려가 없다. 즉 이들 목재 스트립(21, 22, 23, 24)이 부착되는 면은 문틀과 맞닿아 있어 원천적으로 화염에 직접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염에 노출되는 경우라도 그 면적이 극히 좁고 전파될 수 있는 경로가 좁으며 공기가 차단되기 때문에 거의 화염을 전파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1)에 있어서는 불연 보드재(11, 12, 13)의 적층패널로 이루어진 본체(10)가 프레임 조립구조가 아니라 통판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호 테두리(20)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0)에 부착된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불연재가 아닌 프레임 부분의 열변형으로 인해 문짝(1) 전체가 뒤틀리거나 붕괴될 염려도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문짝(1)은 완벽한 방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 테두리(20)를 형성한 다음에는, 전체적으로 페인트칠을 하여 도색을 하거나 장식 시트를 발라 마무리하여 실내용으로서의 장식성을 높이고, 도어락을 달고, 문틀에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방화 도어를 완성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은, 화재시 화염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미려한 외관과 고급스러운 느낌을 창출하기 때문에, 실내용 방화 도어로서 높은 활용성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화 도어용 문짝은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이 공정이 단순해져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산화마그네슘과 염화마그네슘을포함하여 이루어진 불연 보드재의 적층패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이루어진 문짝 본체에, 측면 및 상하부면의 절단면을 따라 두께 1~10㎜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스트립을 부착하여 보호 테두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도어용 문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패널은 전체 두께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두꺼운 심재와 상기 심재의 전후면에 부착된 얇은 표면 판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도어용 문짝.
KR20-2004-0004318U 2004-02-19 2004-02-19 방화 도어용 문짝 KR200349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318U KR200349992Y1 (ko) 2004-02-19 2004-02-19 방화 도어용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318U KR200349992Y1 (ko) 2004-02-19 2004-02-19 방화 도어용 문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992Y1 true KR200349992Y1 (ko) 2004-05-12

Family

ID=4934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318U KR200349992Y1 (ko) 2004-02-19 2004-02-19 방화 도어용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9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16B1 (ko) * 2009-07-31 2012-08-23 아이케이 주식회사 메탈 패널 시스템
KR101692497B1 (ko) 2015-09-26 2017-01-04 정연설 목재로 된 문의 휨과 비틀림 방지방법
CN108643782A (zh) * 2018-07-06 2018-10-12 张忠明 门及门组件
KR102013874B1 (ko) * 2018-10-16 2019-08-23 주식회사 엔젤하우스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16B1 (ko) * 2009-07-31 2012-08-23 아이케이 주식회사 메탈 패널 시스템
KR101692497B1 (ko) 2015-09-26 2017-01-04 정연설 목재로 된 문의 휨과 비틀림 방지방법
CN108643782A (zh) * 2018-07-06 2018-10-12 张忠明 门及门组件
KR102013874B1 (ko) * 2018-10-16 2019-08-23 주식회사 엔젤하우스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0540A (en) Compression molded door assembly
EP2060389A1 (en) Laminate panels for flooring, wall and ceiling systems
KR100825487B1 (ko)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한 실내용 방화문
KR200349992Y1 (ko) 방화 도어용 문짝
JP2008174931A (ja) 桐材を用いた防火ドア
KR200326136Y1 (ko) 방문
KR20150070763A (ko) 방화기능을 갖는 실내 도어
JPH09256746A (ja) 木製防火断熱ドア
CN211518702U (zh) 一种防火阻燃木饰面板
US4692372A (en) Ceiling and wall tile
KR20090080629A (ko) 피엔에프 불연방수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0710919B1 (ko) 마그네슘 보드와 콜크를 이용한 바닥재
KR200355387Y1 (ko) 불연성 내장재
KR101430724B1 (ko) 난연성을 지닌 목재마루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347271Y1 (ko) 난연성 방화패널
TWM584350U (zh) 防火建築隔板結構
CN217106735U (zh) 一种环保防火门
CN207538723U (zh) 室内装修木质防火门
KR200434632Y1 (ko) 방화문의 구조
KR20030040677A (ko) 철판이 배제된 방화구조
KR200331767Y1 (ko) 방화문
KR200368325Y1 (ko) 방문
CN214658409U (zh) 一种具有格栅造型的护墙板
CN208456003U (zh) 一种用于墙体的环保材料复合板
KR101068546B1 (ko) 방수구조를 가지는 욕실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욕실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