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874B1 -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3874B1 KR102013874B1 KR1020180122877A KR20180122877A KR102013874B1 KR 102013874 B1 KR102013874 B1 KR 102013874B1 KR 1020180122877 A KR1020180122877 A KR 1020180122877A KR 20180122877 A KR20180122877 A KR 20180122877A KR 102013874 B1 KR102013874 B1 KR 102013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weight
- wooden house
- wood
-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8—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wood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8—Diatomaceous earth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09D195/005—Aqueous compositions, e.g. emul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목조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리나라 전통 건축인 한옥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표면의 강화에 따른 강도의 향상으로 건축시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7무방(방진, 방화, 방수, 방동결, 방충, 방노화, 방균열) 등 화재나 겨울철 외관의 보호 및 단열 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시공 과정에서 철근, 시멘트, 벽돌, 대들보, 기둥, 석재 구조를 사용하지 않아 시공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건축물의 중량의 감소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친환경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조를 이용하여 주택을 시공함에 있어, 내구성의 향상과, 단열성 향상되며, 특히 친환경적인 주택의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아파트 공화국'이라고 부르는 외국인이 많다. 세계 10대 경제대국인데도 정체성 없이 아파트 일색인 한국의 주거문화를 꼬집은 말이다. 아파트는 현대적인 생활에 맞게 평면이 구성되어 바쁜 현대인들의 삶에 적합한 주택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러한 인식에 따라 아파트들이 계속해서 증가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거문화에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목조주택에 대한 관심이 그것이다. 목조주택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건물에 비해 친환경적이기 때문이다. 목조주택은 건물의 벽체·마루바닥·지붕 등의 뼈대를 주로 나무로 만든 가구식 구조체(架構式構造體)로, 동양 고전식(東洋古典式) 구조법, 한식 구조와 일본에서 개량한 일식 구조, 양풍구조(洋風構造)의 양식이 있는데, 건물의 무게가 가볍고 구조공작이 쉬우나 내화성(耐火性)·내구성(耐久性)이 약하다.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 또한 목조주택으로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건축한다. 이러한 목조주택 중에서 한옥을 만드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주춧돌 위에 기둥, 보, 도리 등으로 기본골격을 형성한 후, 기둥 사이에 벽체 및 창호 등을 만들고, 보 및 도리의 상부에는 지붕을 씌운다.
이러한 한옥은 한국의 전통적인 외관을 가지며,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지어지므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한옥은 벽이나 지붕 등의 단열성이 좋지 않아 에너지가 적게 드는 주택을 건축하려는 최근의 흐름과는 다소 거리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우리나라 전통 건축인 한옥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표면의 강화에 따른 강도의 향상으로 건축시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7무방(방진, 방화, 방수, 방동결, 방충, 방노화, 방균열) 등 화재나 겨울철 외관의 보호 및 단열 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는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시공 과정에서 철근, 시멘트, 벽돌, 대들보, 기둥, 석재 구조를 사용하지 않아 시공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건축물의 중량의 감소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친환경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지반에 형성되는 바닥기초와, 바닥기초에 형성되는 벽체부와, 벽체부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부와, 실내의 바닥을 이루는 실내 바닥부으로 된 조립식 목조주택에 있어서,
바닥기초는,
운모석가루가 혼합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하며,
벽체부는,
바닥기초의 상부에서, 다수의 목재보드를 접착 조립하여 구성하며,
지붕부는,
벽체부의 상단을 연결 마감하되, 다수의 목재보드를 접착 조립하여 구성하며,
실내 바닥부는,
운모석가루가 혼합된 철근 콘크리트체로 구성하며,
벽체부와 지붕부의 내벽 및 외벽에는 표면 마감층을 더 형성하되,
표면 마감층은,
천연 규조토로 도포 마감되게 구성하며,
목재보드는,
곡초(볏짚)와 산화마그네슘이 혼합된 곡초 혼합물과, 산화마그네슘과, 돌가루와, 소금과, 톱밥과, 아교가 혼합 및 압축 성형하여 구성하되,
목재보드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곡초 혼합물 70~72중량%와, 돌가루 8~10중량%와, 소금 0.8~1중량%와, 톱밥 8~10중량%와, 아교 5~7중량%로 적용하며,
곡초 혼합물은,
곡초와 산화마그네슘이 1:1로 혼합되게 구성하며,
벽체부와 지붕부를 이루는 목재보드의 표면에는 곡초에서 추출된 목초액으로 된 코팅액이 코팅되게 구성하며,
목조주택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기초에 포함되는 운모석가루와, 벽체부와 지붕부를 이루는 목재보드와, 실내 바닥부를 이루는 운모석과, 표면 마감층을 이루는 천연 규조토와 접착제로 사용되는 아교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단계;
시멘트와 운모석가루의 비율이 8:2의 비율로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물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바닥기초를 시공하는 바닥기초 시공단계;
시공된 바닥기초의 상부면에 다수의 목재보드를 아교를 이용하여 좌,우 접착하여 가면서 벽체부를 시공하는 벽체 접착시공단계;
시공된 벽체부의 상단을 마감하되, 다수의 목재보드을 아교를 이용하여 좌,우 접착하여 가면서 지붕부를 시공하는 지붕 접착시공단계;
시공된 벽체부와 지붕부의 내벽 및 외벽에 천연 규조토를 1~2cm 두께로 도포하여 표면 마감층을 시공하는 표면 마감단계; 및
벽체부의 사이에서 바닥기초의 상부에 운모석가루의 비율이 8:2의 비율로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물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평탄화 된 실내 바닥부를 시공하는 바닥부 시공단계를 수행하며,
표면 마감단계에서,
천연 규조토 반죽은,
수분함량 30~40%를 이루도록 천연 규조토를 반죽하여 도포 마감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은, 목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시공이 가능하게 하되, 목재보드의 표면에 곡초에서 얻어진 목초액을 이용한 코팅액을 코팅 및 시공된 벽체부와 지붕부에는 규조토로 도포 마감 형성된 것인바, 목재 표면의 강화 및 접착성의 향상과, 7무방(방진, 방화, 방수, 방동결, 방충, 방노화, 방균열) 등 주택의 내구성 향상과 화재나 겨울철 외관의 보호 및 단열 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공 과정에서 철근, 시멘트, 벽돌, 대들보, 기둥, 석재 구조가 사용되지 않고 목재의 접착 방식을 통해 시공이 가능한 것인바, 그 시공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주택의 중량이 최대 70% 정도 까지 감소되는 등 지반 적용에 따른 안정성이 확보되며, 특히 친환경적인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목재보드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바닥기초 시공단계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벽체 접착시공단계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지붕 접착시공단계 간략도.
도 9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표면 마감단계 간략도.
도 10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바닥부 시공단계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목재보드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바닥기초 시공단계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벽체 접착시공단계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지붕 접착시공단계 간략도.
도 9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표면 마감단계 간략도.
도 10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의 바닥부 시공단계 간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은, 바닥기초(10)와, 벽체부(20)와, 지붕부(30)와, 실내 바닥부(40)와, 표면 마감층(50)으로 구성된다.
먼저, 바닥기초(10)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주택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바닥기초(10)는 바람직하게는 시멘트와 운모석가루가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물이 철근 콘크리트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벽체부(20)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외형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목조주택(1)의 둘레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벽체부(20)는 상기 바닥기초(10)의 상부에서 상부로 수직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벽체부(20)는 다수의 목재보드(200)(200')가 아교를 통해 접착 조립되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벽체부(20)를 구성함에 있어, 벽체부(20)에는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부와 외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구 및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창호가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지붕부(30)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상부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목조주택(1)의 상부를 마감하게 구성된다.
이때, 지붕부(30)는 상기 벽체부(20)의 상단을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지붕부(30)는 다수의 목재보드(200)(200')가 아교를 통해 접착 조립되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붕부(30)를 구성함에 있어, 그 형상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평면구도 또는 삼각 구도 등 다양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벽체부(20)와 지붕부(30)를 이루기 위한 목재보드(200)(200')는, 도 4를 참조하여 곡초와 산화마그네슘이 혼합된 곡초 혼합물과, 돌가루와, 소금과, 톱밥과, 아교가 혼합 및 압축 성형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성분으로 본 발명 목재보드(200)(200')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목재보드(200)(200')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곡초 혼합물 70~72중량%와, 돌가루 8~10중량%와, 소금 0.8~1중량%와, 톱밥 8~10중량%와, 아교 5~7중량%로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먼저, 상기 목재보드(200)(200')의 주재료로 적용되는 곡초 혼합물은 곡초와 산화마그네슘이 1:1의 비율로 혼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곡초 혼합물은 목재보드(200)(200')를 구성함에 있어 공극의 발생에 따른 단열성 향상과 난연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비율로 적용함은, 일예로 곡초 혼합물의 비율을 70중량% 이하로 적용하게 되면 곡초의 공극 발생률이 저하되고, 곡초 혼합물의 난연성능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며, 72중량% 이상으로 적용하게 되면 결속력 저하로 목재보드의 형상 유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인바, 곡초 70~72중량%를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곡초 혼합물에 혼합되는 산화마그네슘은 고결 방지제, 흡착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곡초 혼합물에 적용시 곡초의 흡착력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는 것으로, 곡초 혼합물의 50중량% 이하로 적용시 곡초의 흡착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게 되며, 50중량% 이상으로 적용시 곡초의 공극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인바, 곡초와 산화마그네슘의 비율을 곡초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의 비율로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 곡초 혼합물은 목재보드(200)(200')를 구성함에 있어 공극의 발생에 따른 단열성 향상과 난연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한다.
다음으로 많이 적용되는 돌가루는 목재보드(200)(200')를 구성함에 있어 강도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미율로 적용함은, 일예로 돌가루의 비율을 8중량% 이하로 적용하면 목재보드(200)(200')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중량% 이상으로 적용하게 되면 목재보드(200)(200')의 중량 증대 및 곡초의 공극이 메워져 통기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인바, 돌가루 8~10중량%를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적용되는 톱밥은 목재보드(200)(200')를 구성함에 있어 곡초의 결속력을 증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비율로 적용함은, 일예로 톱밥의 비율을 8중량% 이하로 적용하면 곡초와의 결속력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이며, 10중량% 이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곡초의 공극 발생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인바, 톱밥 8~10중량%를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축 접착되게 접착제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곡초다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5중량부에 해당하게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접착제를 10중량부 이하로 적용하게 되면 함량 미달에 따른 곡초와 톱밥의 결속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5중량% 이상으로 적용하게 되면 지나친 함량으로 곡초의 공극이 매워져 통기성의 저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곡초다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5중량부에 해당하게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목재보드(200)(200')에는 그 표면에 목초액으로 된 코팅액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목초액은, 곡초에서 추출된 목초액을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코팅 형성되는 목초액은 알려진바와 같이 목재보드(200)(200')의 병충해 방지, 살균, 원적외선 방사에 따른 신신대사 촉진 및 피부 질환의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내 바닥부(40)는 본 발명 접착 조립식 목조주택(1)의 평탄한 실내 바닥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실내 바닥부(40)는 바람직하게는 시멘트와 운모석가루가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물이 소정의 두께로 철근 콘크리트 타설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운모석가루는, 알려진바와 같이 화강암 중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층상 규산염광물이다. 굳기는 2.5~4, 비중은 2.72~3.2, 황색, 갈색, 녹색을 띤다. 성분과 성질에 따라 백운모, 소다운모, 흑운모, 금운모, 홍운모, 진발다이트 등이 있는 것으로, 내화성(耐火性)이 강하고 전기의 부도체이므로, 전기절연물 ·내화재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운모석은 아라비아어로 '진주'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게르마늄석의 일종으로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산소 공급과 음이온이 풍부해 면역력 강화와 노화방지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 원석이기도 하다.
이에, 이러한 운모석을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바닥기초(10) 및 실내 바닥부(40)에 적용하게 되면, 게르마늄의 효능은 통증 억제물질의 생성과, 혈액순환 촉진, 면역력 강화, 노화방지, 황암효과 등 인체에 이로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은, 벽체부(20)와 지붕부(30)를 구성함에 있어 곡초(볏짚)를 주재료 한 목재보드(200)(200')를 이용하여 접착 형성되게 되는 것인바, 곡초의 특징인 난연성의 향상과 다수의 공극을 통해 여름철 통기성의 향상과, 겨울철 열기의 잠열 등 내구성의 향상과 단열성능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은, 상기 벽체부(20)와 지붕부(30)의 내벽 및 외벽에는 표면 마감층(50)이 더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표면 마감층(50)은 천연 규조토로 마감되게 구성된 것으로, 규조토는 알려진바와 같이 단세포 조류(藻類)인 규조의 규산질유해(硅酸質遺骸)가 바다나 호수 바닥에 쌓여서 생성된 퇴적물로 탈지제, 흡착제, 여과제, 단열재, 시멘트 혼합물로 적용된다.
이에, 본 발명의 표면 마감층을 구성하게 되면, 실내 및 목재보드(200)(200')의 강도 향상에 따른 주택의 내구성 향상과, 습도조절에 매우 효과적이면서 곰팡이 억제 및 공기 정화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은, 재료 준비단계(S100)와, 바닥기초 시공단계(S200)와, 벽체 접착시공단계(S300)와, 지붕 접착시공단계(S400)와, 표면 마감단계(S500)와, 바닥부 시공단계(S600)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재료 준비단계(S100)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 시공에 필요한 재료를 준비하면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바닥기초(10)와 실내 바닥부(40)에 포함되는 운모석가루와, 벽체부(20)와 지붕부(30)를 이루는 목재보드(200)(200')와, 표면 마감층(50)을 이루는 천연 규조토와, 접착제로 사용되는 아교를 준비하면 된다.
이때, 상기 목재보드(200)(200')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을 시공함에 있어 벽체부(20)와 지붕부(30)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시에는 전술한바와 같이 곡초(볏짚)와 산화마그네슘이 혼합된 곡초 혼합물과, 돌가루와, 소금과, 톱밥과, 아교가 혼합 및 압축 성형된 판체로 다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천연 규조토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을 시공함에 있어 표면 마감층(50)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시에는 분말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는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을 시공함에 있어 상기 목재보드(200)(200')의 접착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시에는 아교로 구성된다.
이후, 바닥기초 시공단계(S200)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기초를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바닥기초(10)를 시공하게 된다.
이때, 바닥기초(10)는 콘크리트혼합물이 타설되어 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루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혼합물을 구성시 주재료인 시멘트와 운모가루를 8:2의 비율로 혼합하여 적용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시멘트와 운모석가루의 비율만 설정하였으나 그 콘크리트혼합물을 조성함에 있어 통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자갈이 첨가되며, 타설시 철근 콘크리트 타설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바닥기초를 구성함에 있어 콘크리트 혼합물에 운모석가루를 첨가함으로써, 혼합과정에서 시멘트성분을 산화시켜 시멘트에 포함된 인체 유해 성분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그 비율을 8:2로 적용함은 운모석가루가 지나치게 첨가시 시멘트의 결집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미비하게 첨가시 산화력이 저하될 수 있는바, 8:2의 비율로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벽체 접착시공단계(S300)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실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둘레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벽체부(20)를 이루게 된다.
이때, 시공되는 벽체부(20)는 상기 시공된 바닥기초(10)의 상부에서 둘레에 근접한 위치에 상부로 수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준비된 다수의 목재보드(200)(200')를 이용하여 바닥기초(10)의 상부에서 좌,우 연속하여 배열 시공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목재보드(200)(200')를 연속하여 배열 시공함에 있어 이웃하는 목재보드(200)(200')는 서로 접착을 통해 시공되는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접착제로는 상기 준비된 천연 접착제로 사용되는 아교를 이용하여 접착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지붕 접착시공단계(S400)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실내 공간을 마감하기 위해 상부에 시공되는 것으로, 지붕부(30)를 이루게 된다.
이때, 시공되는 지붕부(30)는 상기 시공된 벽체부(20)의 개방된 상단을 마감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준비된 다수의 목재보드(200)(200')를 이용하여 벽체부(20)의 상단을 덮어가면서 좌,우 연속하여 배열 시공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목재보드(200)(200')를 연속하여 배열 시공함에 있어 이웃하는 목재보드(200)(200')는 서로 접착을 통해 시공되는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접착제로는 상기 준비된 천연 접착제로 사용되는 아교를 이용하여 접착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표면 마감단계(S500)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벽체부(20)와 지붕부(30)의 내벽 및 외벽을 마감하게 되는 것으로 표면 마감층(50)을 이루게 된다.
이때, 시공되는 표면 마감층(50)은 상기 준비된 천연 규조토를 이용하여 가능하되, 그 천연 규조토를 반죽 형성하여 벽체부(20)와 지붕부(30)에 도포 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표면 마감층(50)을 시공함에 있어 반죽 형성되는 천연 규조토는 바람직하게는 수분함량이 30~40%를 이루도록 조성하여 1~2cm의 두께로 도포 시공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천연 규조토를 반죽 구성함에 있어 수분함량을 30% 이하로 조성하게 되면 반죽이 너무 되져 천연 규조토의 결속력이 저하되게 되는 것인바 경화시 크랙이 발생하게 되며, 40% 이상으로 조성하게 되면 반죽이 너무 묽어져 시공 과정에서 흘러내림으로 인한 그 도포 시공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포되는 표면 마감층(50)의 두께를 1~2cm의 두께로 도포함은 1cm 이하로 도포하게 되면 마감 두께의 저하로 인해 외부 충격에 쉽게 부서지게 되고, 2cm 이상으로 도포하게 되면 지나친 두께로 목재보드(200)(200')의 통기성 등의 효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 천연 규조토를 반죽함에 있어 수분함량이 30~40%를 이루게 조성 시공함으로 시공상의 편리함과 시공후 크랙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1~2cm의 두께로 시공함으로 표면 강도의 향상과 목재보드(200)(200')의 통기성이나 단열 등의 효과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바닥부 시공단계(S600)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1)의 실내 바닥부(40)를 이루게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실내 바닥부(40)는 상기 벽체부(20)의 사이에서 바닥기초(10)의 상부를 마감 및 평탄한 실내 바닥을 이루게 시공하게 된다.
이때, 실내 바닥부(40)는 콘크리트혼합물이 타설되어 된 철근 콘크리트체를 이루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혼합물을 구성시 주재료인 시멘트와 운모가루를 8:2의 비율로 혼합하여 적용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시멘트와 운모석가루의 비율만 설정하였으나 그 콘크리트혼합물을 조성함에 있어 통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자갈이 첨가되며, 타설시 철근 콘크리트 타설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바닥기초를 구성함에 있어 콘크리트 혼합물에 운모석가루를 첨가함으로써, 혼합과정에서 시멘트성분을 산화시켜 시멘트에 포함된 인체 유해 성분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그 비율을 8:2로 적용함은 운모석가루가 지나치게 첨가시 시멘트의 결집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미비하게 첨가시 산화력이 저하될 수 있는바, 8:2의 비율로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은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간편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시공된 목조주택은 친환경적인 재료 즉, 곡초를 주재료로 한 목재보드와, 천연 규조토를 통해 단열효과의 향상 및 인체에 이로운 다양한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10 : 바닥기초 20 : 벽체부
30 : 지붕부 40 : 실내 바닥부
50 : 표면 마감층 200,200' : 목재보드
S100 : 바닥기초 시공단계 S200 : 재료 준비단계
S300 : 벽체 접착시공단계 S400 : 지붕 접착시공단계
S500 : 표면 마감단계 S600 : 바닥부 시공단계
30 : 지붕부 40 : 실내 바닥부
50 : 표면 마감층 200,200' : 목재보드
S100 : 바닥기초 시공단계 S200 : 재료 준비단계
S300 : 벽체 접착시공단계 S400 : 지붕 접착시공단계
S500 : 표면 마감단계 S600 : 바닥부 시공단계
Claims (5)
- 지반에 형성되는 바닥기초(10)와, 바닥기초(10)에 형성되는 벽체부(20)와, 벽체부(2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부(30)와, 실내의 바닥을 이루는 실내 바닥부(40)으로 된 조립식 목조주택에 있어서,
바닥기초(10)는 시멘트와 운모석가루의 비율이 8:2의 비율로 혼합된 콘크리트 혼합물로 구성하며,
벽체부(20)는 바닥기초(10)의 상부에서, 다수의 목재보드(200)(200')를 접착 조립하여 구성하되,
목재보드(200)(200')는 곡초(볏짚)와 산화마그네슘이 혼합된 곡초 혼합물과, 산화마그네슘과, 돌가루와, 소금과, 톱밥과, 아교가 혼합 및 압축 성형하여 구성하되, 목재보드(200)(200')는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곡초 혼합물 70~72중량%와, 돌가루 8~10중량%와, 소금 0.8~1중량%와, 톱밥 8~10중량%와, 아교 5~7중량%로 적용하며,
곡초 혼합물은 곡초와 산화마그네슘이 1:1로 혼합되게 구성하며,
지붕부(30)는 벽체부(20)의 상단을 연결 마감하되, 다수의 목재보드(200)(200')를 아교를 통해 접착 조립하여 구성하며,
실내 바닥부(40)는 시멘트와 운모석가루의 비율이 8:2의 비율로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로 구성하며,
벽체부(20)와 지붕부(30)의 내벽 및 외벽에는 표면 마감층(50)을 더 형성하되, 표면 마감층(50)은 내벽 및 외벽에 수분함량 30~40%를 이루도록 천연 규조토를 반죽하여 천연 규조토를 1~2cm 두께로 도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벽체부(20)와 지붕부(30)를 이루는 목재보드(200)(200')의 표면에는 곡초에서 추출된 목초액으로 된 코팅액이 코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 목조주택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기초(10)에 포함되는 운모석가루와, 벽체부(20)와 지붕부(30)를 이루는 목재보드(200)(200')와, 실내 바닥부(40)를 이루는 운모석과, 표면 마감층(50)을 이루는 천연 규조토와 접착제로 사용되는 아교를 준비하되, 목재보드(200)(200')는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곡초 혼합물 70~72중량%와, 돌가루 8~10중량%와, 소금 0.8~1중량%와, 톱밥 8~10중량%와, 아교 5~7중량%로 적용하며, 곡초 혼합물은 곡초와 산화마그네슘이 1:1로 혼합되게 구성하는 재료 준비단계(S100);
시멘트와 운모석가루의 비율이 8:2의 비율로 혼합된 콘크리트 혼합물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바닥기초(10)를 시공하는 바닥기초 시공단계(S200);
시공된 바닥기초(10)의 상부면에 다수의 목재보드(200)(200')를 아교를 이용하여 좌,우 접착하여 가면서 벽체부(20)를 시공하는 벽체 접착시공단계(S300);
시공된 벽체부(20)의 상단을 마감하되, 다수의 목재보드(200)(200')을 아교를 이용하여 좌,우 접착하여 가면서 지붕부(30)를 시공하는 지붕 접착시공단계(S400);
시공된 벽체부(20)와 지붕부(30)의 내벽 및 외벽에 수분함량 30~40%를 이루도록 천연 규조토를 반죽하여 천연 규조토를 1~2cm 두께로 도포하여 표면 마감층(50)을 시공하는 표면 마감단계(S500); 및
벽체부(20)의 사이에서 바닥기초(10)의 상부에 운모석가루의 비율이 8:2의 비율로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물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평탄화 된 실내 바닥부(40)를 시공하는 바닥부 시공단계(S600)를 수행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2877A KR102013874B1 (ko) | 2018-10-16 | 2018-10-16 |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2877A KR102013874B1 (ko) | 2018-10-16 | 2018-10-16 |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3874B1 true KR102013874B1 (ko) | 2019-08-23 |
Family
ID=6776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2877A KR102013874B1 (ko) | 2018-10-16 | 2018-10-16 |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387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9992Y1 (ko) * | 2004-02-19 | 2004-05-12 | 김동기 | 방화 도어용 문짝 |
KR100734172B1 (ko) | 2005-05-13 | 2007-07-02 | 정상욱 | 피시 빔 |
KR20110069420A (ko) * | 2009-12-17 | 2011-06-23 | 이미진 | 탄화 보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화 보드 |
KR20160094072A (ko) * | 2015-01-30 | 2016-08-09 | 주식회사 규조토세상 |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층을 갖는 석고보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101823414B1 (ko) * | 2017-02-16 | 2018-01-30 | 정성근 | 고단열 건축자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2018
- 2018-10-16 KR KR1020180122877A patent/KR1020138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9992Y1 (ko) * | 2004-02-19 | 2004-05-12 | 김동기 | 방화 도어용 문짝 |
KR100734172B1 (ko) | 2005-05-13 | 2007-07-02 | 정상욱 | 피시 빔 |
KR20110069420A (ko) * | 2009-12-17 | 2011-06-23 | 이미진 | 탄화 보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화 보드 |
KR20160094072A (ko) * | 2015-01-30 | 2016-08-09 | 주식회사 규조토세상 |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층을 갖는 석고보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101823414B1 (ko) * | 2017-02-16 | 2018-01-30 | 정성근 | 고단열 건축자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61708B2 (en) | Prefabricated insulated building panel with cured cementitious layer bonded to insulation | |
CN202509704U (zh) | 一种耐雨淋高强度的多功能玻镁钛装饰板 | |
CN1927576A (zh) | 玻璃纤维水泥刨花板 | |
CN110374282A (zh) | 耐侵蚀性麦草泥抹面施工方法 | |
KR100887757B1 (ko) | 한옥의 벽체구조 | |
Minke | Building with bamboo: design and technology of a sustainable architecture | |
KR102013874B1 (ko) | 목재 복합재의 접합식 목조주택 및 그 목조주택 시공방법 | |
KR101205008B1 (ko) |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 |
CN206636046U (zh) | 一种以alc板材为主体的内隔墙 | |
KR20070099252A (ko) | 건축용 황토패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황토건축물의 시공방법 | |
KR100702668B1 (ko) |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4831834A (zh) | 一种低成本木结构墙体及其制作方法 | |
KR100372149B1 (ko) | 흙벽돌의 제조방법 및 동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흙벽돌 | |
KR20100049524A (ko) | 난방 수단이 구비된 황토패널 및 그 시공방법 | |
CN204662716U (zh) | 一种低成本木结构墙体 | |
CN206220402U (zh) | 一种高强度防火保温砖 | |
KR100375321B1 (ko) | 건축 내장재용 다공성 판넬과 그 제조 방법 | |
KR20100130843A (ko) |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 |
CN203129356U (zh) | 砌体、保温层一体化绿色建筑外墙 | |
CN207597703U (zh) | 轻质保温蒸压加气混凝土板 | |
Hegediš et al. | Energy sustainability of rammed earth buildings | |
KR101353841B1 (ko) | 주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Gupta | Straw bale construction a revolutionary building material in low cost housing for rural areas | |
CN212716050U (zh) | 低层现代梁柱框架式木结构住宅墙体及低层住宅 | |
CN206000076U (zh) | 一种建筑构件及应用其的墙体、屋顶和移动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