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772Y1 -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 Google Patents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772Y1
KR200257772Y1 KR2020010029929U KR20010029929U KR200257772Y1 KR 200257772 Y1 KR200257772 Y1 KR 200257772Y1 KR 2020010029929 U KR2020010029929 U KR 2020010029929U KR 20010029929 U KR20010029929 U KR 20010029929U KR 200257772 Y1 KR200257772 Y1 KR 200257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onvex portion
building
curved portion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신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식 filed Critical 신두식
Priority to KR2020010029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772Y1/ko

Links

Abstract

부드럽고 변화된 느낌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므로 연결성이 우수하고 시공성 및 운반성이 뛰어나고 틈새가 존재하지 않도록, 소정의 곡률과 폭으로 길게 형성되는 곡면부와, 곡면부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곡면부의 다른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절곡되어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를 제공한다.
볼록부는 단면형상이 대략 'コ'형상, '⊃'형상, '〉'형상, 반원형상 등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오목부는 볼록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며, 오목부의 끝면 모서리를 곡면부보다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하여 벽면이나 천정 등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볼트 등을 박을 고정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Fabricated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 및 천정 등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 설치하므로 빠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바닥 등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거나, 단열, 내화, 방음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마감재(내장재 및 외장재)를 부착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마감재로는 세라믹이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타일, 목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패널, 금속판재와 발포합성수지 또는 유리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 석고보드 등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에서 패널이나 샌드위치패널 등의 마감재는 주로 직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나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면, 천정, 바닥 등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감재는 주로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평판에 요철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딱딱하고 단조로운 느낌을 주어 장식감이 떨어진다.
또 종래의 마감재는 연결되는 부분에 틈새가 존재하여 이를 가리기 위한 별도의 실리콘 도포 등의 작업을 행하여야 하고, 건물에의 부착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연결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샌드위치패널은 폭이 넓게 형성되므로 혼자서 시공하는 것이 어렵고, 운반이나 시공 등에 많은 공간 및 인원을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곡면부로 벽면 등을 장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부드럽고 변화된 느낌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므로 연결성이 우수하고 틈새가 존재하지 않으며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성 및 운반성이 뛰어난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의 일실시예를 다수개 조립하여 건물의 벽면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는 소정의 곡률과 폭으로 길게 형성되는 곡면부와, 상기한 곡면부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상기한 곡면부의 다른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기한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볼록부는 단면형상이 대략 'コ'형상, '⊃'형상, '〉'형상, 반원형상 등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한 오목부는 상기한 볼록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오목부의 끝면 모서리를 상기한 곡면부보다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하여 벽면이나 천정 등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볼트 등을 박을 고정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의 일실시예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과 폭으로 길게 형성되는 곡면부(10)와, 상기한 곡면부(10)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12)와, 상기한 곡면부(10)의 다른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기한 볼록부(12)가 삽입되는 오목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곡면부(10), 볼록부(12), 오목부(14)는 하나의 판재를 굽힘가공하거나 압출성형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곡면부(10), 볼록부(12), 오목부(14)는 스테인레스강판, 알루미늄판, 철판 등의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곡면부(10)는 폭방향의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소정의 곡률로 형성한다.
상기한 곡면부(10)의 곡률은 예를 들면 100㎜, 80㎜, 60㎜, 40㎜ 등으로 통나무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치수로 설정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곡면부(10)가 반원보다 작은 원호를 이루도록 상기한 곡면부(10)의 폭은 예를 들면 대략 170㎜, 140㎜, 100㎜, 60㎜ 등으로 설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장식감이 미려하다.
또 상기한 곡면부(10)는 타원의 일부, 삼각형, 사다리꼴, 물결형상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곡면부(10)의 표면에 나무결 무늬를 형성하면, 마치 원목으로 벽면을 시공한 것과 같은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즉 상기한 곡면부(10)의 표면에 나무결 무늬의 시트를 부착하거나 나무결 무늬를 인쇄 또는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볼록부(12)는 단면형상이 대략 'コ'형상, '⊃'형상, '〉'형상, 반원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오목부(14)는 상기한 볼록부(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한 오목부(14)는 'コ'형상, '⊃'형상, '〉'형상, 반원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상기한 볼록부(12)가 삽입되도록 각각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볼록부(12)와 오목부(14)는 서로 끼워맞춤으로 조립되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볼록부(12) 및 오목부(14)에 있어서 상기한 곡면부(10)와 연결되는 부분은 소정의 폭을 대략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상기한 오목부(14)에 볼록부(12)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2에서 보아서 위쪽으로 힘이 가해져도 쉽게 분리가 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볼록부(12) 및/또는 오목부(14)의 단면형상을 대략 'コ'형상 또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볼록부(12) 및 오목부(14)에는 조립된 상태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 또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볼록부(12) 및 오목부(14)를 상기한 곡면부(10)의 형상 및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치수로 형성하면, 다양한 곡면부(10)를 조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오목부(14)의 끝면 모서리를 상기한 곡면부(10)보다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하여 벽면이나 천정 등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볼트 등의 고정부재(18)를 박을 고정부(16)를 형성한다.
상기한 고정부(16)는 상기한 오목부(14)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두고 형성하는 것이 고정부(16)에 박히는 고정부재(18)의 머리부가 상기한 오목부(14)에 끼워맞춤되는 볼록부(12)의 밑면에 접하여 삽입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이 고정부(16)를 상기한 오목부(14)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형성하면, 상기한 볼록부(12)를 끼워맞춤으로 조립할 때에 자연스럽게 볼록부(12)를 오목부(14)의 안쪽으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볼록부(12)의 끝면 모서리를 안쪽으로 절곡하면 상기한 볼록부(12)를 오목부(14)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볼록부(12)의 끝면 모서리가 오목부(14)의 바닥면에 걸려 방해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의 일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감재를 설치하하고자 하는 벽면 또는 천정의 모서리에 하나를 위치시키고 상기한 고정부(16)를 관통하여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18)를 벽면 또는 천정 등에 박는 것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다음의 볼록부(12)를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된 하나의 오목부(14)에 삽입하여 조립하고, 다음의 고정부(16)를 다시 고정부재(18)를 사용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벽면 또는 천정의 내장 및 외장공사에 사용된다.
상기에서 상기한 곡면부(10)의 안쪽 공간은 그대로 빈 공간으로 두어 공기에 의한 단열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스티로폼, 우레탄수지 등의 발포합성수지, 유리섬유 등의 단열재(20)나 흡음재, 내화재, 난연재 등을 채우거나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곡면부(10)의 안쪽 공간을 활용하여 난방용 파이프나 전선 등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에 의하면, 외관이 곡면을 이루므로 부드러우며 따뜻한 느낌을 주도록 벽면이나 천정 등을 마감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면에 나무결의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마치 원목으로 마감처리한 것 같은 고급스럽고 미려한 건물의 내부 및 외부장식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는 다수개를 겹치도록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소요공간을 적게 필요로 하고, 운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에 의하면, 볼록부를 오목부에 삽입하고 한쪽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등에 고정하는 것으로 시공이 완료되므로 시공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틈새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작업(실리콘도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에 의하면, 상기한 볼록부 및 오목부를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곡면부가 형성되는 제품을 조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내장 및 외장공사가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는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등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아니라, 시공이나 분리과정에서 제품의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자원재활용 및 환경보존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는 상기한 곡면부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의 크기에 맞추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에 의하면, 한쪽 모서리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등에 고정되고, 다른쪽 모서리는 마찬가지의 방법의로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등에 고정된 이웃하는 마감재의 한쪽 모서리의 오목부에 볼록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양쪽 모서리가 확고하게 벽면이나 천정 등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Claims (5)

  1. 소정의 곡률과 폭으로 길게 형성되는 곡면부와,
    상기한 곡면부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상기한 곡면부의 다른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기한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볼록부 및 오목부는 서로 끼워맞춤으로 조립되도록 대응되는 'コ'형상, '⊃'형상, '〉'형상, 반원형상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목부의 끝면 모서리를 상기한 곡면부보다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하여 고정부재를 박을 고정부를 형성하는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는 상기한 오목부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두고 형성하고,
    상기한 볼록부의 끝면 모서리를 안쪽으로 절곡하는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곡면부의 안쪽에는 발포합성수지나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열재, 흡음재, 내화재, 난연재 중에서 하나이상을 조합하여 설치하는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KR2020010029929U 2001-09-28 2001-09-28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KR200257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29U KR200257772Y1 (ko) 2001-09-28 2001-09-28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29U KR200257772Y1 (ko) 2001-09-28 2001-09-28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772Y1 true KR200257772Y1 (ko) 2001-12-29

Family

ID=7310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929U KR200257772Y1 (ko) 2001-09-28 2001-09-28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7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345B1 (ko) 2010-02-18 2012-07-18 송상목 단열재를 마련한 합성목재 마감재
KR102217575B1 (ko) * 2020-07-28 2021-02-19 (주)대경기술 공동주택의 전력선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345B1 (ko) 2010-02-18 2012-07-18 송상목 단열재를 마련한 합성목재 마감재
KR102217575B1 (ko) * 2020-07-28 2021-02-19 (주)대경기술 공동주택의 전력선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7772Y1 (ko)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KR100390061B1 (ko) 건축물의 장식재 및 그 장식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41875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200368909Y1 (ko) 건식벽용 내벽 서포트프레임
KR200219015Y1 (ko) 평면연결용 브래킷 및 코너연결용 브래킷으로 벽파넬을 연결하여 만든 조립식 욕실용 벽
KR100677703B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200336335Y1 (ko) 마감재가 부착된 외피판 받침지지대와 공기층이 형성된이중 복합패널
KR102530892B1 (ko) 외장재 설치가 용이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JPH0415869Y2 (ko)
JP2003027695A (ja) 建築用パネル
JPH0420091Y2 (ko)
JPS641384Y2 (ko)
KR200279551Y1 (ko) 벽구조물용 스터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구조물
JPH051136B2 (ko)
JP4393846B2 (ja) 壁材の取付構造
KR101851445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부 마감재
JP4416520B2 (ja) 下地兼取付部材
JPH0243139Y2 (ko)
JPH0543830B2 (ko)
JPH10280565A (ja) 出隅構造
JPH0425870Y2 (ko)
JPH044110Y2 (ko)
JPH0243138Y2 (ko)
JPH0328095Y2 (ko)
JPH04523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