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855Y1 - 건축용 안전보호망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보호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855Y1
KR200344855Y1 KR20-2003-0038841U KR20030038841U KR200344855Y1 KR 200344855 Y1 KR200344855 Y1 KR 200344855Y1 KR 20030038841 U KR20030038841 U KR 20030038841U KR 200344855 Y1 KR200344855 Y1 KR 200344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binding
guide
yarn
coa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to KR20-2003-0038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45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with stitches drawn from loose fibres, e.g. web-knitted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랏셀편기로 제편하는 건축용 안전보호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이드바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편준비작업에 따른 설비의 단순화와 공정의 간소화로 생산성을 향상케 하고, 동시에 제편에 사용되는 원사의 량이 동일한 조건하에서 최상의 인장강도를 유지케하여 안전보호망으로서의 기능성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번 가이드(110)를 통하여 각 코오스별로 루프(112)가 형성된 고리사(111)를 편성하되, 등간격으로 루프(112)가 편성되지 않고 건너뛴 공백부(113)(114)를 구성하고, 상기한 고리사(111)를 제2번 가이드(120)와 제3번 가이드(130)에 의해 편성되는 결속사(121)(131)가 결속되게 하되, 고리사(111)의 공백부(113)(114)에 결속사(121)(131)의 결속고리(123)(124) (133)(134)가 결속편성되게 하고, 각 결속사(121)(131)에 편성된 연결고리(122') (122")(132')(132")는 인접한 고리사(111)의 루프(112)와 편성되게 하여 안전보호망(100)의 결속매듭부(D)를 구성하고, 각 결속사(121)(131)에 편성된 고리(122) (132)는 고리사(111)의 루프(112)와 편성되게 하여 안전보호망(100)의 연결부(F)가 편성되게 하고, 상기결속매듭부(D)와 연결부(F)에 의해 공간망부(E)가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보호망{SAFETY MESH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주로 건축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안전보호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보호망의 제편에 사용되는 실의 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안전보호망의 인장강도를 우수하게 하여 안전보호망으로서의 기능을 향상케 하며, 또한 안전보호망의 인장강도가 동일한 조건에서는 중량을 가볍게 하여 고층에서의 안전망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고품질의 건축용 안전보호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신축현장이나 도로 굴착 및 절개지 작업과 같은 장소의 경계부에는 안전보호망을 설치하여 작업자나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케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용 안전보호망의 조직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경사와 위사가 확연히 분리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서 제1번 가이드(10)와 제2번 가이드(20) 및 제3번 가이드(30)를 경사로 보고, 제4번 가이드(40), 제5번 가이드(50), 제6번 가이드(60) 및 제7번 가이드(70)를 위사로 보았을때 실제로 루프를 형성하여 망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경사로 분류되는 제2번 가이드(20)와 제3번 가이드(30)이며, 위사로 분류되는 제4,5, 6, 7번 가이드(40)(50)(60)(70)는 거의 일직선 형태로 제2, 3번가이드(20)(30)의 루프사이를 따라 올라가면서 안전망변의 굵기만 보조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서 랏셀편기 특성상의 문제점과 조직설계의 문제점을 동시에 알 수 있다.
즉 랏셀편기의 취약점은 수천가닥의 원사를 동시에 루프를 형성시키게 되므로 제2번가이드(20)와 제3번가이드(30)를 통하여 루프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경사의 굵기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 제4, 5, 6, 7번 가이드(40)(50)(60)(70)를 통하여 원사를 보조투입하여 망변의 굵기를 보강, 경사인 루프사의 인장력을 보조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경사인 제2, 3번 가이드(20)(30)와 함께 거의 직선형태로 루프사이를 따라 올라간 위사인 제4, 5, 6, 7번 가이드(40)(50)(60) (70) 원사의 인장길이가 다를 뿐아니라 상기 경사의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수 있다.
이는 랏셀편기의 특성상 루프를 형성시키는 경사의 굵기가 한정이 되어 있으므로 무리하게 많은 가이드를 사용하여 망변의 굵기나 인장력을 보조하여 왔음이 랏셀편기의 통상적인 제편방법이었으며 이로 인한 설비비용의 증가는 물론 무리한 가이드장착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는 한 요인이었으며 대체로 인장강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 취급 및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랏셀편기를 이용하여 건축용 안전보호망을제편함에 있어서, 안전보호망을 편성하는 편성조직을 지금까지와는 전혀다른 형태로 설계하여 랏셀편기에 장치되는 가이드바의 매수를 3매로 한정, 제편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설비의 단순화와 보수유지의 용이성은 물론, 적은 량의 원사를 사용하여 안전보호망을 제편하더라도 얻어지는 안전보호망의 인강강도가 충분히 유지되게 하여 안전성 보강과 함께 무게를 가볍게 하여 취급과 설치가 용이하도록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랏셀편기를 이용하여 건축용 안전보호망을 제편함에 있어서, 3매의 가이드바를 이용하여 제편이 이루어지게 하되, 제1번 가이드바에 결합된 1번 가이드를 통하여 경사인 고리사가 순차적으로 루프가 형성되게 하며 이때 고리사에 형성되는 루프는 간헐적으로 건너뛴 공백부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 고리사가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건너뛴 공백부에는 제2, 3번 가이드바에 장치된 가이드로부터 공급되면서 위사역할을 하는 결속사의 결속고리가 경사의 루프역할을 하면서 경위사가 일체형으로 편성되게 하고 나머지부분은 고리사인 경사를 따라 지그재그 통과하면서 고리사인 경사를 보완케 하여 제편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안전보호망 제편을 위한 고리사와 결속사의 편성구성도.
도 2 : 본 고안 안전보호망의 1순환편조직도.
도 3 : 본 고안 안전보호망의 편조직도.
도 4 : 본 고안 안전보호망의 견본사진(표면도).
도 5 : 본 고안 안전보호망의 견본사진(이면도).
도 6 : 종래 안전보호망 제편을 위한 각 편성구성도.
도 7 : 종래 안전보호망의 1순환편조직도.
도 8 : 종래 안전보호망의 견본사진(표면도).
도 9 : 종래 안전보호망의 견본사진(이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안전보호망 (110)--제1번 가이드
(111)--고리사 (112)--루프
(113)(114)--공백부 (120)--제2번 가이드
(121)--결속사 (122)--고리
(122')(122")--연결고리 (123)(124)--결속고리
(130)--제3번 가이드 (131)--결속사
(132)--고리 (132')(132")--연결고리
(133)(134)--결속고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건축용 안전보호망 제편을 위한 편성조직의 기본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기본 조직을 이용하여 제편된 편조직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상기 편조직으로 제편된 안전보호망(100)의 견본사진이다.
상기 편조직의 조직도를 상세히 설명하며 제1번 가이드(110)과 제2번 가이드(120) 및 제3번 가이드(130)로 편성되며, 제1번 가이드(110)는 경사역할을 하는 고리사(111)이고, 제2번 가이드(120) 및 제3번 가이드(130)는 위사역할을 하는 결속사(121)(131)이다.
상기 고리사(111)의 1순환은 도 1에서와 같이 1코오스(A1), 2코오스(A2), 3코오스(A3), 3코오스(A4), 4코오스(A4), 5코오스(A5), 6코오스(A6), 7코오스(A7), 8코오스(A8), 9코오스(A9), 10코오스(A10), 11코오스((A11), 12코오스(A12), 13코오스(A13), 14코오스(A14)의 고리형태로 편성되며, 제6코오스(A6)와 13코오스(A13)는 루프(112)를 형성하지 않고 건너뛴 공백부(113)(114)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한 편성이 반복된다.
상기한 고리사(111)는 도 2에서와 같이 각 웨일(W1)(W2)(W3)(W4)마다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웨일을 구성하는 고리사(111)는 제2번 가이드(120)와 제3번 가이드(130)에 의해 편성되는 결속사 (121)(131)를 통하여 제편된다.
각 웨일(W1)(W2)(W3)(W4)의 고리사(111)를 결속하는 결속사(121)(131)는 다음과 같이 편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제2번 가이드(120)에 의해 위사역할을 하는 결속사(121)의 1코오스(B1) 및 2코오스(B2), 3코오스(B3), 4코오스(B4), 8코오스(B8), 9코오스(B9), 10코오스(B10), 11코오스(B11)에는 고리(122)가 각각 형성되게 하되각 고리(122)는 제1번 가이드(110)에 의해 편성된 홀수웨일(W1)(W3)의 고리사(111), 루프(112)와 편성된다.
또한 5코오스(B5)와 7코오스(B7), 12코오스(B12) 및 14코오스(B14)에 구성되는 연결고리(122')(122")는 짝수웨일(W2)(W4)에 구성된 고리사(111)의 5코오스(A5), 7코오스(A7) 및 12코오스(A12), 14코오스(A14)의 루프(112)와 각각 편성되게 하며, 6코오스(B6) 및 13코오스(B13)에는 결속고리(123)(124)를 구성하여 홀수웨일(W1)(W3)에 구성된 고리사(111)의 6코오스(A6)와 13코오스(A13)의 공백부(113)(114)에 위치하면서 고리사(111)의 루프(112)와 일체로 편성되게 한다.
제3번 가이드(130)에 의해 위사역할을 하는 고리사(131)의 1코오스(C1), 2코오스(C2), 3코오스(C3), 4코오스(C4), 8코오스(C8), 9코오스(C9), 10코오스(C10), 11코오스(C11)에는 고리(132)가 각각 형성되게 하되, 각 고리(132)는 제1번 가이드(110)에 의해 편성된 짝수웨일(W2)(W4), 즉 고리사(111)의 루프(112)와 편성되게 한다.
또한 5코오스(C5)와 7코오스(C7) 및 12코오스(C12), 14코오스(C14)에 구성되는 연결고리(132')(132")는 홀수웨일(W1)(W3)에 구성된 고리사(111)의 5코오스(A5), 7코오스(A7) 및 12코오스(A12), 14코오스(A14)의 루프(112)와 각각 편성되게 하며 6코오스(C6) 및 13코오스(C13)에는 결속고리(133)(134)를 구성하여 짝수웨일(W2)(W4)에 구성된 고리사(111)의 6코오스(A6)와 13코오스(A13)의 공백부(113)(114)에 위치하면서 고리사(111)의 루프(112)와 일체로 편성되게 한다.
따라서 홀수웨일(W1)(W3)과 짝수웨일(W2)(W4)에 구성된 고리사(111)를 따라편성된 결속사(121)(131)의 각 연결고리(122')(132')(122")(132")가 인접한 고리사(111)와 서로 연결되게 하고 동시에 각 결속사(121)(131)에 구성된 결속고리 (123)(124)(133)(134) 역시 각 고리가(111)의 공백부(113)(114)에 편성되면서 고리사(111)와 일체형으로 결속되게 하므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인접한 고리사(111)를 서로 결속하는 결속매듭부(D)와 연결부(F) 및 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망부(E)가 교호로 편성되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구성의 건축용 안전보호망(100)을 제편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건축용 안전보호망(100)은 도 2에서와 같이 각 웨일(W1)(W2)(W3)(W4)별로 제1번 가이드(110)에 의해 고리사(111)가 편성되게 하면서 매 코오스마다 루프(112)를 편성하되 6코오스(A6) 및 13코오스(A13)에는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건너뛴 공백부(113)(114)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공백부(113)(114)에는 제2번 가이드(120)와 제3번 가이드(130)에 의해 편성된 결속사(121)(131)의 결속고리(123)(124)(133)(134)가 선택적으로 결속되면서 루프역할을 대신하게 하고, 동시에 각 결속사(121)(131)에 구성된 5코오스(B5)(C5)와 7코오스(B7)(C7), 12코오스(B12)(C12) 및 14코오스(B14)(C14)의 연결고리(122')(132')(122")(132"),가 인접한 고리사(111)의 루프(112)와 서로 교차되게 하고, 1코오스 내지 4코오스(B1∼B4, C1∼C4) 및 8코오스 내지 11코오스(B8∼B11, C8∼C11)의 고리(122)(132)는 각 고리사(111)의 1코오스 내지 4코오스(A1∼A4) 및 8코오스 내지 11코오스(A8∼A11)의 루프(11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완벽한 편성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인접한 고리사(111)를 두가닥의 결속사(121)(131)가 서로 결속편성하여 결속매듭부(D)를 구성하고, 상기 결속매듭부(D)는 고리사(111)와 결속사(121)(131)가 선택적으로 결속연결되게 하여 일체형으로 상호 보완케하므로서 한정된 원사로 최상의 인장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랏셀편기를 이용하여 건축용 안전보호망을 제편함에 있어서 가이드바 3매로서 안전보호망을 제편케하므로서 장치를 간단히하여 설비비와 장치의 유지보수에 따른 인력 및 제반비용을 절감케 할 뿐 아니라, 특히 가이드에 의해 편성되는 고리사와 결속사가 서로 교차되면서 결속편성되어 완벽한 제편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동일한 량의 원사를 사용하여 안전보호망을 제편할 경우 안전보호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경쟁력이 뛰어난 고품질의 안전보호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건축용 안전보호망을 제편함에 있어서, 제1번 가이드(110)를 통하여 각 코오스별로 루프(112)가 형성된 고리사(111)를 편성하되, 상기 고리사(111)에 등간격으로 루프(112)가 편성되지 않고 건너뛴 공백부(113)(114)를 구성하고, 상기 고리사(111)에 제2번 가이드(120)와 제3번 가이드(130)에 의해 편성되는 결속사(121)(131)가 결속되게 하되, 고리사(111)의 공백부(113)(114)에 결속사 (121)(131)의 결속고리(123)(124)(133) (134)가 결속편성되게 하고, 각 결속사 (121)(131)에 편성된 연결고리(122')(122") (132')(132")는 인접한 고리사(111)의 루프(112)와 편성되게하여 안전보호망(100)의 결속매듭부(D)가 편성되게 하고, 각 결속사(121)(131)에 편성된 고리(122)(132)는 고리사(111)의 루프(112)와 편성되게 하여 안전보호망(100)의 연결부(F)가 편성되게 하고, 상기 결속매듭부(D)와 연결부(F)에 의해 공간망부(E)가 형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보호망.
  2. 제1항에 있어서, 제1번 가이드(110)에 의해 편성되는 고리사(111)는 14코오스로 구성되게 하되, 1코오스 내지 5코오스(A1∼A5), 7코오스 내지 12코오스 (A7∼A12) 및 14코오스(A14)에는 루프(112)가 편성되게 하고, 6코오스(A6)와 13코오스(A13)에는 루프가 편성되지 않고 건너뛴 공백부(113)(114)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보호망.
  3. 제1항에 있어서, 제2번 가이드(120)와 제3번 가이드(130)에 의해 편성되는 고리사 (121)(131)는 1코오스 내지 4코오스(B1∼B4)(C1∼C4)와 8코오스 내지 11코오스(B8∼B11)(C8∼C11)에는 고리(122)(132)가 편성되게 하고, 6코오스(B6)(C6) 및 13코오스(B13)(C13)에는 결속고리(123)(133)(124)(134)가 편성되게 하고, 5코오스 (B5)(C5)와 7코오스(B7)(C7), 12코오스(B12)(C12) 및 14코오스(B14)(C14)에는 연결고리(122')(132')(122")(132")가 편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보호망.
KR20-2003-0038841U 2003-12-12 2003-12-12 건축용 안전보호망 KR200344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41U KR200344855Y1 (ko) 2003-12-12 2003-12-12 건축용 안전보호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41U KR200344855Y1 (ko) 2003-12-12 2003-12-12 건축용 안전보호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375A Division KR100524624B1 (ko) 2003-12-11 2003-12-11 건축용 안전보호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855Y1 true KR200344855Y1 (ko) 2004-03-18

Family

ID=4934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841U KR200344855Y1 (ko) 2003-12-12 2003-12-12 건축용 안전보호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8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167B1 (ko) * 2006-10-17 2009-02-17 정재균 망사 직물
KR101795305B1 (ko) 2016-09-29 2017-12-01 박지원 비닐하우스 보호용 보호망 제직장치 및 그 제직장치에 의해 제직된 비닐하우스 보호용 보호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167B1 (ko) * 2006-10-17 2009-02-17 정재균 망사 직물
KR101795305B1 (ko) 2016-09-29 2017-12-01 박지원 비닐하우스 보호용 보호망 제직장치 및 그 제직장치에 의해 제직된 비닐하우스 보호용 보호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38190B1 (no) Beskyttende trådnett, beskyttende struktur konstruert med nettet og anvendelse av det beskyttende trådnettet for konstruksjon av en beskyttende struktur
KR101912221B1 (ko) 라셀 편직 그물망
KR100524624B1 (ko) 건축용 안전보호망
JP6345495B2 (ja) 落石防護柵に用いる落石防護ネット
CN102481617B (zh) 带有交织的线的保护金属网以及用于制造该网的机器和方法
JP5686573B2 (ja) 角目組織経編地と、それを使用した剥落防止用ネット
KR200344855Y1 (ko) 건축용 안전보호망
KR100965159B1 (ko) 공사장용 보호망의 구조
JP6593767B2 (ja) 高強度経編メッシュシート
KR101551275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방
JP3541146B2 (ja) 網仕立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網並びに網の仕立方法
US6035967A (en) Safety apparatus using parallel line catchers for elevated work site operations
KR101858392B1 (ko) 건축공사용 보호망
JPH0238616A (ja) 土木用網
KR20130044490A (ko) 차양망
JP4450824B2 (ja) 孔付メッシュシート
JP4824488B2 (ja) メッシュシート
AU783844B2 (en) Grid mat
US6000498A (en) Safety/debris net system
KR101993196B1 (ko) 라셀 편직 그물망
DE3136026A1 (de) &#34;armierungsgewebe fuer putze&#34;
JP6654026B2 (ja) 角目組織経編地の製造方法、角目組織経編地および落下物捕捉用ネット
JP3868225B2 (ja) 繊維ネット
JP4121721B2 (ja) 繊維ネット
KR102118122B1 (ko) 경량 분진망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