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665Y1 -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665Y1
KR200344665Y1 KR20-2003-0039190U KR20030039190U KR200344665Y1 KR 200344665 Y1 KR200344665 Y1 KR 200344665Y1 KR 20030039190 U KR20030039190 U KR 20030039190U KR 200344665 Y1 KR200344665 Y1 KR 200344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die casting
scratch resistance
cooking
thermal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욱
Original Assignee
장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욱 filed Critical 장종욱
Priority to KR20-2003-0039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한 형상으로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작되고 표면을 용사처리로 코팅하여 구성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다이캐스팅에 의해 그 형상을 일체로 구성하고 표면은 용사처리에 의해 스테인레스 분말을 코팅면 상에 씌우되, 하면에 크고 작은 고리형 돌출턱을 각각 형성하고, 안쪽에 형성되는 모든 모서리부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하여, 뒤틀림과 같은 조리기구의 변형과 용사처리된 스테인레스 분말에 의해 코팅면이 긁히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음식찌꺼기가 모서리부에 달라붙지 않도록 한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A Cooking utensils with scratch-resistance}
본 고안은 특정한 형상으로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작되고 표면을 용사처리로 코팅하여 구성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다이캐스팅으로 형상을 구성하고 용사처리에 의해 표면의 코팅면 상에 스테인레스 분말을 씌우되, 하면에 크고 작은 고리형 돌출턱을 형성하고 안쪽의 모든 모서리부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하여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음식찌꺼기가 달라붙지 않도록 한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의 조리기구 중에서 볶음판이나 구이판 등으로 사용하는 것들을 보면 대부분이 알루미늄 원판으로 되어 있어 이를 오래 사용하다보면 열에 의한 뒤틀림 현상이 심해지게 되어 원래의 모양과는 다른 변형이 생기게 되므로, 보통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판 자체를 두드려 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알루미늄 원판을 사용한 종래의 볶음판은 음식물이 잘 눌어붙어 음식물 찌꺼기가 타버리는 경우도 많아서 세척할 때 칼이나 철수세미로 바닥을 문질러 세척을 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볶음판은 안쪽의 모든 모서리부가 거의 직각으로 각이 져있어 각진 부분을 세척하기가 매우 힘들기도 하지만 음식물의 찌꺼기가 각진 부분에 항상 달라붙어 있어 미관상으로도 매우 보기 좋지 않았었다.
게다가 알루미늄 원판을 사용한 종래의 볶음판은 세척을 하여도 휴지나 흰 천으로 닦으면 검은 색의 이물질이 닦여 나와 소비자들이 불쾌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원판을 사용한 볶음판이나 구이판 등의 종래 조리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캐스팅에 의해그 형상을 일체로 구성하고 표면은 용사처리에 의해 스테인레스 분말을 코팅면 상에 씌우되, 하면에 크고 작은 고리형 돌출턱을 각각 형성하고, 안쪽에 형성되는 모든 모서리부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하여, 뒤틀림과 같은 조리기구의 변형과 용사처리된 스테인레스 분말에 의해 코팅면이 긁히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음식찌꺼기가 모서리부에 달라붙지 않도록 한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저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a,1b,1b'...절곡부, 2...손잡이,
3...모서리부, 4...사각의 돌출턱,
5a,5b...고리형 돌출턱, 6...방사상 돌출턱.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상을 구성하고 스테인레스 분말을 용사처리로 표면의 코팅면 상에 씌우되, 하부면의 중심에 맞추어서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크고 작은 두 개의 고리형 돌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의 중간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안쪽의 절곡되는 모든 모서리부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용사처리된 조기기구 표면의 스테인레스 분말의 두께는 1∼3㎛ 범위 내에 있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에 대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둘레의 일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사방으로 절곡부(1a)(1b)를 형성하고 있고, 폭방향 절곡부(1a)의 중간에는 손잡이(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폭방향의 절곡부(1a)와 길이방향의 절곡부(1b)(1b') 중 한 쪽의 절곡부(1b)는 직각으로 절곡하고 다른 쪽의 절곡부(1b')는 약 45도의 각도로 절곡하되, 절곡이 시작되는 지점 즉, 안쪽의 바닥면과 절곡부의 경계지점인 모서리부(3)가 직각으로 각이 져있지 않고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둥그렇게 처리되어 있도록 하는 한편, 음식을 조리하는 면의 반대편인 저면에는 테두리에 사각의 돌출턱(4)을 형성하고, 이 사각의 돌출턱 안쪽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크고 작은 고리형 돌출턱(5a)(5b)을 동심원 상에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보다 큰 고리형 돌출턱(5a)과 사각의 돌출턱(4) 사이에는 둘 사이를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방사상 돌출턱(6)을 형성하도록 하되, 상기 돌출턱의 높이는 약 2㎜ 정도로 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고리형 돌출턱(5a)(5b)은 일반 휴대용 가스버너의 규격에 맞추어서 그 크기를 정하도록 하여, 조리기구가 상기 휴대용 가스버너 상에서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리 중에 뜨거운 상태에 있는 판을 직접 만지게 될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기구는 약 650℃의 고온에서 ALDC12의재질의 갖는 알루미늄 원재료를 용해하여 다이캐스팅 주조공정에 의해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내구성 및 열에 강하도록 함과 동시에 열전도가 종래의 조리기구보다 빨라서 연료의 손실이 줄어들게 되며,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기구 표면의 코팅면 상에 용사처리 작업에 의해 스테인레스 분말을 고온으로 분사하여 씌워줌으로써, 코팅면의 강도를 월등히 높여 조리기구를 오래 사용하여도 마모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용사처리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스테인레스 분말의 두께는 1∼3㎛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약 2㎛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에 의하면, 종래의 조리기구 특히 볶음판 등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안쪽의 모든 모서리부가 일정한 곡률을 갖고 있어 달라붙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어 조리기구를 보다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타거나 눌어붙지 않게 되어 칼이나 철쑤세미로 세척하는 일도 없게 되고,세척을 한 후에도 표면에서 이물질인 나오지 않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캐스팅 공정으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열에 강하고 열전도가 빨라서 조리를 할 때 소요되는 연료가 보다 적게 들어가는 장점도 있게 된다.

Claims (2)

  1.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상을 구성하고 스테인레스 분말을 용사처리로 표면의 코팅면 상에 씌우되, 하부면의 중심에 맞추어서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크고 작은 두 개의 고리형 돌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의 중간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안쪽의 절곡되는 모든 모서리부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용사처리된 조기기구 표면의 스테인레스 분말의 두께는 1∼3㎛ 범위 내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KR20-2003-0039190U 2003-12-16 2003-12-16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KR200344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90U KR200344665Y1 (ko) 2003-12-16 2003-12-16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190U KR200344665Y1 (ko) 2003-12-16 2003-12-16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665Y1 true KR200344665Y1 (ko) 2004-03-12

Family

ID=4942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190U KR200344665Y1 (ko) 2003-12-16 2003-12-16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6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9056B1 (en) Frying pans
TWM596028U (zh) 氣炸鍋之雙層內鍋結構改良
RU2106922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сетки или пластины с отверстиями к дну посуд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AU2003200090B2 (en) Cookware with undulating cooking surface
KR101709584B1 (ko) 조리용기 및 구이판 제조방법
US8011292B1 (en) Insulated cooking utensil
FR2813382A1 (fr) Plaque de verre ou de vitroceramique pourvue d'une bordure de protec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laque
CA2307494A1 (en) Accessory for a baking oven and cooking vessel useable with same
KR200344665Y1 (ko) 내긁힘성을 갖는 조리기구
EP1764559B1 (en) Cooking grate assembly
JP2005321108A (ja) 加熱調理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6168168B2 (ja) 調理器具
KR200320441Y1 (ko) 착탈식 프라이팬
CN111481048B (zh) 易清洁烹饪用具
CN209574342U (zh) 一种双用的不锈钢炒锅
KR200348791Y1 (ko) 구이용 석쇠
KR200166317Y1 (ko) 구이기능을갖는남비
JP3082334U (ja) 調理用具
KR20130139096A (ko) 프라이팬용 내부용기
KR200191921Y1 (ko) 고기구이판
JP3229023U (ja) ロースター用被覆カバー
JP3180057U (ja) 調理器具
CN218832559U (zh) 一种以激光扫描改良金属涂层表面性能的锅体
FR2556577A1 (fr) Perfectionnements aux poeles a frire et ustensiles de cuisine
KR200346608Y1 (ko) 취사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