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139Y1 -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139Y1
KR200344139Y1 KR20-2003-0038436U KR20030038436U KR200344139Y1 KR 200344139 Y1 KR200344139 Y1 KR 200344139Y1 KR 20030038436 U KR20030038436 U KR 20030038436U KR 200344139 Y1 KR200344139 Y1 KR 200344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uction
suction header
water treatmen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우
Priority to KR20-2003-0038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6By s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션 헤더가 이동하면서 각 흡입공의 위치로 슬러지를 모아주면서 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원수의 배출을 최소화하면서 슬러지의 배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침전지(10)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석션 헤더(30)가 와이어(40)로 연동되도록 연결한 구동부(50)의 의하여 이동되도록 함과, 외부로 배출되도록 침전조(10)에 설치한 배출관(70)과 석션 헤더(30)를 후렉시블 호스(80)로 연결하여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석션 헤드(30)를 2열로 설치하고, 이 석션 헤더(30)의 저면에 서로 대칭되게 연속적으로 포집공간부(61)를 형성한 스크레파(60)를 설치하며, 상기 각 포집공간부(61)의 안쪽으로 흡입노즐(31)이 각각 위치하여 포집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슬러지를 일렬로 형성된 수거 공간부에 모아지면서 이를 각각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슬러지의 수집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원수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Water treatment chapter's sludge collecting plate}
본 고안은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압력차에 의하여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장에서 수처리 과정중 침전조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석션 헤더가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송하면서 침전조에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침전지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진 하는 석션헤더와 외부로 배출되도록 침전조에 설치한 배출관을 후렉사블 호스로 연결하여 배출관에 설치된 밸브를 오픈시키면 침전조내의 수압으로 인하여 외부와 압력 차이로 인하여 석션 헤더의 흡입노즐을 통하여 그 하방에 위치한 슬러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석션 헤더를 통해 흡입되는 과정에서 그 하방에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는 동시에 그 주위의 원수의 상당량이 함께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되는 원수는 일부 수처리공정을 거친 것이어서 처리비용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석션 헤더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흡입노즐이 형성되어 있어 슬러지를 흡입시 흡입노즐의 직하방에 위치한 슬러지만 흡입됨에 따라 각 흡입노즐 사이의 흡입력이 미치지 않는 부분에는 슬러지가 흡입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처리에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석션 헤더가 이동하면서 각 흡입공의 위치로 슬러지를 모아주면서 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원수의 배출을 최소화하면서 슬러지의 배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학 위한 본 고안은,
침전지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석션 헤더를 와이어로 연동되도록 연결한 구동부의 의하여 전후진 되도록 함과, 외부로 배출되도록 침전조에 설치한 배출관과 석션 헤더를 후렉시블 호스로 연결하여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석션 헤더를 2열로 설치하고 이 석션 헤더의 저면에 지그재그로 형성하여 포집공간부가 대칭되도록 형성한 스크레파를 설치함과, 2열 석션 헤더의 저면에 스크레파의 포집공간 상으로 위치하는 흡입 노즐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크레파는 파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석션 헤더의 내부 공간을 등분되도록 내부에 구획판을 설치하고 등분된 각 중앙을 연결하는 병렬관을 배출관과 후렉시블 호스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침전지 단면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평면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측면도
도 4a,b 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확대 평면으로 보인 작동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에서 스크레파의 다른 실시예도
도 6 은 본 고안에서 석션 헤더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전지 20: 레일
30: 석션 헤더 31: 흡입 노즐
32: 가이드 레일 33: 구획판
40: 와이어 50: 구동부
60: 스크레파 70: 배출관
80: 후렉시블 호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본 고안이 적용되는 슬러지 수집기의 설치상태을 보인 침전지 정면상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슬러지 수집기의 설치상태을 보인 침전지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석션 헤더 부분 측면도로,
침전조(10)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20)에 을 따라 이동하도록 관체형상의 석션 헤더(30)를 설치함과,
침전조(10)의 한측 상단에 위치한 구동부(50)에 연결되어 와이어(40)가 와이어 시브(41)를 따라 걸어져 석션 헤더(30)에 전후로 연결되어 구동부(50)에 의하여 석션 헤드(30)가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함과,
외부로 배출되도록 침전조(10)에 설치한 배출관(70)과 석션 헤더(30)를 후렉시블 호스(80)로 연결하여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배출관(70)에 설치된 밸브는 침전조(10)상단에 설치되는 전동 버터플라이 밸브(90)에 스핀들로 연결하여 외부에서 밸브를 조정하여 후렉시블 호스(80)를 통해 배출관(70)으로 나오는 것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양 석션 헤더(30)흡입기능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후렉시블 호스(80)는 석션 헤더(30)가 한 쪽 끝까지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길이를 갖도록 주름관 형태의 호스이다.
그리고 상기 관채로된 석션 헤더(30)를 2열로 설치하고 이 석션 헤더(30)의 저면에 안쪽으로 슬러지가 모아지도록 포집공간부(61)가 서로 대칭되게 연속적으로 형성한 지그재그형상의 스크레파(60)를 설치한다.
상기 2열 석션 헤더(30)의 저면에 스크레파(60)의 포집공간부(61) 안쪽에 위치하는 석션 헤더(30)에 흡입 노즐(31)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섹션 헤드(30)의 중앙에는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복되지 않도록 전후로 가이드 로울러(32)에 의하여 접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구동부(50)의 작동으로 와이어(40)가 어느 한쪽으로 움직이면 와이어(40)와 연결한 석션 헤더(30)가 와이어(4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레일(20)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석션 헤드(30)의 저면에 위치한 스크레파(60)가 침전조(10)에 침전에 슬러지를 포집하게 되는데 지그재그로 형성한 스크레파(60)에 가는 방향으로 형성한 각 포집 공간부(61)로 슬러지가 포집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a,b 에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석션 헤더(30)가 이동할 때 이동방향으로 포집 공간부(61)로 슬러지가 모아지는 상태에서 2열로된 석션 헤더(30)중 슬러지가 모아지는 포집 공간부(61)상에 흡입노즐(31)이 설치된 석션 헤더(30)는 밸브의 오픈으로 개방되고 다른 석션 헤더(30)는 밸브의 차단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느 한 쪽 이동방향으로 스크레파(60)의 포집공간부(61)에포집된 슬러지는 그 포집공간부(61)에 위치한 흡입 노즐(31)에 외부와 침전조(10)내의 압력차이에 의한 흡입작용으로 흡입되어 배출관(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슬러지의 흡입량이 많아지고 원수의 흡입은 비례적으로 줄어지게 되는 것이며, 다른 쪽 방향으로 석션 헤더(30)가 움직일 경우에도 포집공간부(61)가 서로 대칭되게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와 같은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스크레파(60)를 파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의 지그재그 형상과 같이 안쪽으로 슬러지가 모아지도록 포집공간부(61)가 서로 대칭되게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이어서 상기한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석션 헤더의 다른 실시예로,
석션 헤더(30)의 내부 공간을 등분되도록 내부에 구획판(33)을 설치하고 등분된 각 중앙을 연결하는 병렬관(34)을 배출관(70)과 후렉시블 호스(80)로 연결한 것으로서, 각 구획된 내부공간의 길이가 줄어져 석션 헤더(30)에 후렉시블 호스(80)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압력차이에 의한 흡입력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슬러지를 일렬로 형성된 수거 공간부에 모아지면서 이를 각각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슬러지의 수집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원수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석션 헤더의 내부 등분으로 각각 흡입되도록 하므로 흡입효과를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침전지(10)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석션 헤더(30)가 와이어(40)로 연동되도록 연결한 구동부(50)의 의하여 이동되도록 함과, 외부로 배출되도록 침전조(10)에 설치한 배출관(70)과 석션 헤더(30)를 후렉시블 호스(80)로 연결하여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석션 헤드(30)를 2열로 설치하고, 이 석션 헤더(30)의 저면에 서로 대칭되게 연속적으로 포집공간부(61)를 형성한 스크레파(60)를 설치하며, 상기 각 포집공간부(61)의 안쪽으로 흡입노즐(31)이 각각 위치하여 포집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파(60)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함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파(60)를 파형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헤더(30)의 내부 공간을 등분되도록 내부에 구획판(33)을 설치하고 등분된 각 중앙을 연결하는 병렬관(34)을 배출관(70)과 후렉시블 호스(80)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KR20-2003-0038436U 2003-12-10 2003-12-10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KR200344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436U KR200344139Y1 (ko) 2003-12-10 2003-12-10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436U KR200344139Y1 (ko) 2003-12-10 2003-12-10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139Y1 true KR200344139Y1 (ko) 2004-03-10

Family

ID=4942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436U KR200344139Y1 (ko) 2003-12-10 2003-12-10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13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477A (ko) * 2002-10-07 2004-04-13 주식회사 포스코 유체 탱크 내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938406B1 (ko) 2007-11-02 2010-01-22 이성수 골프장 워터해저드 준설장치 및 방법
KR101017699B1 (ko) 2010-04-22 2011-02-25 동양수기산업(주) 수집몸체를 구비한 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KR101313320B1 (ko) * 2012-03-05 2013-09-30 주식회사성우 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477A (ko) * 2002-10-07 2004-04-13 주식회사 포스코 유체 탱크 내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938406B1 (ko) 2007-11-02 2010-01-22 이성수 골프장 워터해저드 준설장치 및 방법
KR101017699B1 (ko) 2010-04-22 2011-02-25 동양수기산업(주) 수집몸체를 구비한 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KR101313320B1 (ko) * 2012-03-05 2013-09-30 주식회사성우 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4139Y1 (ko) 수처리장의 슬러지 수집장치
KR100691340B1 (ko) 수처리장의 듀얼 차압 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CN113089816B (zh) 一种城市地下水管清洗清淤系统
JP2000288312A (ja) 揚砂装置
KR101421010B1 (ko) 침전지용 흡입식 슬러지 수집배출장치
JP5476303B2 (ja) 表面スカムの除去における方法および排出手段
CN109467174A (zh) 一种气回气洗斜板斜管式沉淀装置
KR100868059B1 (ko) 슬러지 흡출장치
CN214516543U (zh) 一种导热油管清理装置
CN112807764B (zh) 一种排泥系统
CN208574272U (zh) 一种污水处理用沉淀装置
CN209367894U (zh) 一种气回气洗斜板斜管式沉淀装置
KR200354671Y1 (ko) 수처리장의 듀얼 차압 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CN111112204A (zh) 一种电极箔冲洗清理装置
CN219897155U (zh) 一种斜板清淤用冲洗装置
CN215462241U (zh) 一种水处理储水沉淀池
CN216570999U (zh) 一种医疗引流管
CN218078404U (zh) 一种强化喷淋的湿式电除尘器
JP5387232B2 (ja) スラッジ除去装置
KR101508935B1 (ko) 슬러지 배출장치
KR200221905Y1 (ko)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CN211634298U (zh) 一种便于废水排放的脉冲冲洗器
CN218204506U (zh) 一种智能化污水排水装置
CN217708950U (zh) 一种带冲洗的油水分离器
CN219879458U (zh) 一种气旋水帘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