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059B1 - 슬러지 흡출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흡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059B1
KR100868059B1 KR1020080062347A KR20080062347A KR100868059B1 KR 100868059 B1 KR100868059 B1 KR 100868059B1 KR 1020080062347 A KR1020080062347 A KR 1020080062347A KR 20080062347 A KR20080062347 A KR 20080062347A KR 100868059 B1 KR100868059 B1 KR 10086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uction
tube
suction port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록
Original Assignee
(주)금가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가건설 filed Critical (주)금가건설
Priority to KR102008006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의 침전조에서 침전된 슬러지(sludge)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흡출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호퍼 안에 펌프의 흡입력으로 슬러지를 흡입 배출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를 여러 방향으로 설치하여 펌프의 흡입력이 수집호퍼의 공간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작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슬러지 수집기를 통하여 수집호퍼에 쌓이는 슬러지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하므로 슬러지가 고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의 청소작업이 간편하고, 슬러지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는 슬러지 흡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 하수처리장, 슬러지, 침전조, 흡출구

Description

슬러지 흡출장치{A suction apparatus of sludge}
본 발명은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의 침전조에서 침전된 슬러지(sludge)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흡출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호퍼 안에 펌프의 흡입력으로 슬러지를 흡입 배출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를 여러 방향으로 설치하여 펌프의 흡입력이 수집호퍼의 공간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작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슬러지 수집기를 통하여 수집호퍼에 쌓이는 슬러지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하므로 슬러지가 고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의 청소작업이 간편하고, 슬러지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는 슬러지 흡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에는 침전조를 설치하여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킨 다음, 침전조의 상등수는 정수장의 경우 월류웨어를 통하여 여과지로 공급되고, 하수처리장의 경우는 유기물 정화과정 등을 거친 후 하천으로 방류된다.
한편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에서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는 침전 조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수중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에 의해 슬러지 수집호퍼로 수집된 후, 정수장의 경우는 배출수조로 공급되고, 하수처리장의 경우는 농축조로 배출된다.
종래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에 설치된 침전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일정한 길이와 폭을 구비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로 침전조(100)가 설치되고, 상기 침전조(100)의 한쪽에 슬러지가 수집되어 쌓이는 수집호퍼(200)가 설치되는 한편 수집호퍼(200) 안에 펌프와 흡출배관(300)에 연결 설치되어 슬러치를 흡입 배출하는 흡출구(310)가 설치되며, 또한 침전조(100)를 왕복 이송하면서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호퍼(200)로 모으는 슬러지 수집기(4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침전조는 슬러지 수집기가 왕복 이송하면서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호퍼로 모으고, 수집호퍼에 모아져 쌓인 슬러지는 주기적으로 펌프가 구동하여 강한 흡입력이 작용함에 따라 흡출구로 흡입되면서 흡출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침전조에서 수집호퍼로 모아진 슬러지는 배출효율이 떨어지고 수집호퍼에 잔여 슬러지가 쌓여 고착되는 실정으로, 이러한 원인은 수집호퍼에 설치된 흡출구가 전방을 향하여 일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흡출구의 주변에 쌓이는 슬러지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수집호퍼에 설치된 종래의 흡출구는 흡출배관에 연결되어 나팔관 형태로 전방쪽을 향하여 일방향으로 설치되므로 흡출구의 전방쪽에 쌓이는 슬러지는 펌프 의 흡입력이 작용하여 흡입 배출되나, 수집호퍼에서 흡출구의 양측 공간에 쌓이는 슬러지는 펌프의 흡입력이 작용하지 못하므로 흡입 배출되지 못하여 지속적으로 쌓여 고착됨에 따라 청소작업이 어렵고, 침전조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에 설치된 침전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슬러지 수집기를 통하여 수집호퍼에 쌓이는 슬러지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함에 따라 슬러지가 쌓여 고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의 청소작업이 간편하고, 슬러지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침전조에서 수집호퍼 안에 펌프의 흡입력으로 슬러지를 흡입 배출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를 여러 방향으로 설치하여 펌프의 흡입력이 수집호퍼의 공간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작용하도록 설치되는 슬러지 흡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침전된 슬러지가 수집기를 통하여 한쪽에 설치된 수집호퍼로 모아져 펌프의 구동으로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출구로 흡입 배출되는 침전조에 있어서;
상기 수집호퍼의 양측 방향으로 놓이도록 길쭉하게 형성되고, 밸브와 흡출배관이 연결 설치되는 플렌지가 형성된 흡출관과; 상기 흡출관의 중간 부분에 전방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와; 상기 흡출관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호퍼 안에 펌프의 흡입력으로 슬러지를 흡입 배출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를 여러 방향으로 설치하여 펌프의 흡입력이 수집호퍼의 공간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작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슬러지 수집기를 통하여 수집호퍼에 쌓이는 슬러지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하므로 흡출구의 주변에 잔여 슬러지가 쌓이거나 고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의 청소작업이 간편하고, 침전조의 기능과 슬러지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펌프의 흡입력으로 슬러지를 흡입 배출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를 여러 방향으로 설치하여 펌프의 흡입력이 수집호퍼의 공간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작용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수집호퍼에 쌓이는 슬러지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하므로 흡출구의 주변에 잔여 슬러지가 쌓이거나 고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의 청소작업이 간편하고, 침전조의 기능과 슬러지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흡출장치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의 침전조(100)에서 한쪽에 설치된 수집호퍼(200)의 양측 방향으로 놓이도록 길쭉하게 형성되고 밸브(30)와 흡출배관(20)이 연결 설치되는 플렌지(13)가 형성된 흡출관(10)과; 상기 흡출관(10)의 중간 부분에 전방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11)와; 상기 흡출관(1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주요 구성에서 다수개의 흡출구(11)(12)가 설치되는 흡출관(10)은 수분이나 각종 이물질에 대하여 내식성과 내구성을 갖도록 가능한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을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침전조(100)의 한쪽에 설치된 수집호퍼(200)에서 양측 방향으로 놓일 수 있도록 길쭉하게 형성된다.
즉, 흡출관(10)은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침전조(10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수집호퍼(200)의 양측 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 침전조(100)의 길이 방향으로 플렌지(13)가 형성되어 밸브(30)와 흡출배관(2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에서 흡출관(10)에 형성된 플렌지(13)는 밸브(30)를 직접 결합하여 수집호퍼(200) 안에 밸브(30)가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침전조(100)의 구조와 여건을 고려하여 수집호퍼(200)의 외부에 밸브(30)가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흡출관(10)의 중간 부분에 전방쪽을 향하도록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11)를 설치하며, 여기서 흡출구(11)는 흡출관(10)의 길이가 비교적 짧을 경우 중간 부분에 하나를 설치하거나, 또는 흡출관(10)의 길이가 비교적 길면 양측 단부 사이에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흡출관(10)의 양측 단부에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12)를 설치하며, 상기 흡출구(12)는 흡출관(10)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양측 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흡출관(1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흡출구(11)와, 양측 단부에 형성된 흡출구(12)는 내식성과 내구성을 갖도록 흡출관(10)과 동일한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을 사용하여 제작함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출관(1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흡출구(11)는 밸브(30)와 흡출배관(20)과 근거리에 위치함에 따라 펌프가 구동할 경우 양측 단부에 설치된 흡출구(12)에서 작용하는 펌프의 흡입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므로 펌프의 흡입력이 고르게 작용할 수 있도록 흡출관(1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흡출구(11)의 직경을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흡출구(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침전조(100)에서 수집호퍼(200)의 공간에 양측 방향으로 흡출관(10)이 놓이고, 상기 흡출관(10)의 중간 부분과 양측 단부에 여러개의 흡출구(11)(12)가 설치되므로 펌프가 구동할 경우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수집호퍼(200)의 전방 공간에 쌓인 슬러지는 중간 부분에 설치된 흡출구(11)로 흡입되고, 수집호퍼(200)의 양측 공간에 쌓인 슬러지는 양측 단부에 설치된 흡출구(12)로 흡입되어 배출됨에 따라 슬러지의 흡입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잔여 슬러지가 쌓이거나 고착되지 않는 것이다.
즉,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가 여러 방향으로 설치되어 펌프의 흡입력이 수집 호퍼의 공간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작용함에 따라 수집호퍼에 쌓인 슬러지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하므로 흡출구의 주변에 잔여 슬러지가 쌓이거나 고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에서 상등수의 수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슬러지의 배출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침전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침전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침전조에서 슬러지의 흡출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러지의 흡출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흡출관 11: 흡출구
12: 흡출구 13: 플렌지
20: 흡출배관 30: 밸브
100: 침전조 200: 수집호퍼
400: 슬러지 수집기

Claims (3)

  1.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가 수집기(400)를 통하여 한쪽에 설치된 수집호퍼(200)로 모아져 펌프의 구동으로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출구로 흡입 배출되는 침전조(100)에 있어서;
    상기 수집호퍼(200)의 양측 방향으로 놓이도록 길쭉하게 형성되고 밸브(30)와 흡출배관(20)이 연결 설치되는 플렌지(13)가 형성된 흡출관(10)과; 상기 흡출관(10)의 중간 부분에 전방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11)와; 상기 흡출관(1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나팔관 형태의 흡출구(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흡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흡출관(1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흡출구(11)의 직경을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흡출구(12)의 직경보다 작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흡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흡출관(1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흡출구(12)는 흡출관(10)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흡출장치.
KR1020080062347A 2008-06-30 2008-06-30 슬러지 흡출장치 KR10086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347A KR100868059B1 (ko) 2008-06-30 2008-06-30 슬러지 흡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347A KR100868059B1 (ko) 2008-06-30 2008-06-30 슬러지 흡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059B1 true KR100868059B1 (ko) 2008-11-10

Family

ID=4028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347A KR100868059B1 (ko) 2008-06-30 2008-06-30 슬러지 흡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09B1 (ko) * 2009-01-19 2009-12-21 한국수자원공사 보조 스크레이퍼와 다공 가지관을 이용한 슬러지 배출장치
KR101383064B1 (ko) * 2013-10-23 2014-04-08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슬러지 수집블록을 구비하는 슬러지 수집기
KR101700253B1 (ko) * 2016-10-19 2017-02-06 경기도 성남시 슬러지 호퍼의 슬러지 경화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54Y1 (ko) 2000-02-26 2000-09-01 김학광 침전지용 슬러지 배출장치
KR200264190Y1 (ko) 2001-11-15 2002-02-19 한국수자원공사 슬러지 배출 장치
KR200301201Y1 (ko) 2002-10-19 2003-01-17 원용일 흡입력을 향상시킨 슬러지 흡입기
KR20050082692A (ko) * 2004-02-20 2005-08-24 한국수자원공사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54Y1 (ko) 2000-02-26 2000-09-01 김학광 침전지용 슬러지 배출장치
KR200264190Y1 (ko) 2001-11-15 2002-02-19 한국수자원공사 슬러지 배출 장치
KR200301201Y1 (ko) 2002-10-19 2003-01-17 원용일 흡입력을 향상시킨 슬러지 흡입기
KR20050082692A (ko) * 2004-02-20 2005-08-24 한국수자원공사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09B1 (ko) * 2009-01-19 2009-12-21 한국수자원공사 보조 스크레이퍼와 다공 가지관을 이용한 슬러지 배출장치
KR101383064B1 (ko) * 2013-10-23 2014-04-08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슬러지 수집블록을 구비하는 슬러지 수집기
WO2015060565A1 (ko) * 2013-10-23 2015-04-30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슬러지 수집블록을 구비하는 슬러지 수집기
KR101700253B1 (ko) * 2016-10-19 2017-02-06 경기도 성남시 슬러지 호퍼의 슬러지 경화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424B1 (ko) 진공 흡입식 해양생물 포집장치
KR100868059B1 (ko) 슬러지 흡출장치
KR101421010B1 (ko) 침전지용 흡입식 슬러지 수집배출장치
KR100441860B1 (ko) 경사판을 이용한 고속 침전지
CN108529843B (zh) 一种便于排出污泥的化粪池
CN201997133U (zh) 一种自动排污水装置
CN213895274U (zh) 油田污水处理用去油气浮装置
CN210586211U (zh) 电动斜管清洗装置及人工斜管清洗装置
KR100571619B1 (ko)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
CN204034338U (zh) 多功能沉淀池
CN212236333U (zh) 一种沉淀池工业化学漂浮物收刮结构
CN208990454U (zh) 水净化气体系统
CN105502548A (zh) 一种末端固定排砂的曝气沉砂池
KR100807341B1 (ko) 다익슬라이딩 슬러지수집장치
KR101019206B1 (ko) 침전슬러지 배출유동화장치
CN216808357U (zh) 一种高效曝气沉砂池
KR20090100806A (ko) 제트노즐을 이용한 진공스컴제거시스템
CN218369889U (zh) 一种环保输送系统
CN215609924U (zh) 一种方便排污的高效污水处理设备
CN220999441U (zh) 一种矿业废水处理装置
CN211949403U (zh) 一种自主动力管路自动清淤排水装置
CN113003787B (zh) 一种高效环保污水处理系统及其施工方法
CN219964341U (zh) 一种湿式除尘设备
KR20120070235A (ko) 수분 분리용 통풍관
CN219991201U (zh) 一种具有油水分离功能的格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