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785Y1 - 차량용 클립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립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785Y1
KR200343785Y1 KR20-2003-0039435U KR20030039435U KR200343785Y1 KR 200343785 Y1 KR200343785 Y1 KR 200343785Y1 KR 20030039435 U KR20030039435 U KR 20030039435U KR 200343785 Y1 KR200343785 Y1 KR 200343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garnish
body panel
plat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3-0039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7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7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클립을 이용한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는, 상기 차체 판넬에는 상기 클립이 부착되고, 상기 가니쉬에는 클립 하우징이 고정 결합되어, 상기 클립 하우징과 상기 클립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립 마운팅 장치{A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A GARNISH TO A VEHICLE PANEL}
본 고안은 차체 패널(panel)에 가니쉬(garnish)를 장착하기 위한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립 마운팅 구조에서는, 클립(clip)(11)이 차체 패널(예를 들어, 트림 패널)(13)에 삽입되고, 이 클립(11)에 가니쉬 패널(15)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클립 마운팅 구조의 클립은 가니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열 등에 의해 클립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클립이 곡선의 형태를 가지므로, 클립의 제조가 용이하지 아니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니쉬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그 제작이 용이한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를 제안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클립 마운팅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를 간략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마운팅 구조의 클립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도2의 마운팅 구조의 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클립을 이용한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는, 상기 차체 판넬에는 상기 클립이 부착되고,
상기 가니쉬에는 클립 하우징이 고정 결합되어,
상기 클립 하우징과 상기 클립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 하우징은,
상기 클립과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사이의 거리가 점차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 각각의 끝부분에는 상기 가니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의 두께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그 양단에서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 각각에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는 그 일단이 상기 가니쉬에 고정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사이의 폭이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그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디텐트(detent)가 구비된 로킹홈(locking slot)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로킹홈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 하우징과 상기 클립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100)는 차체 판넬(vehicle panel)(201)에 가니쉬(garnish)(203)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구조이다. 가니쉬(203)는 차체에 장착되는 장식품을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100)는, 가니쉬(203)에 고정 결합되는 클립 하우징(clip housing)(101)과, 이 클립 하우징(101)에 체결되는 클립(clip)(103)을 포함한다.
클립(103)이 클립 하우징(101)에 체결됨으로써, 클립 하우징(101)이 차체 판넬(201)에 부착되게 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하우징(101)은,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05)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05)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mounting plate)(107, 109)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5)와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5)로부터 멀어질수록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 사이의 거리가 점차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마운팅 플레이트(107,109)가 베이스 플레이트(105)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구배각이 형성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5)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구배각은 15° 내지 20° 정도가 적당하다.
베이스 플레이트(105)로부터 멀어질수록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 사이의거리가 점차로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클립 하우징(101)이 보다 견고하게 가니쉬(203)에 결합되며, 또한, 금형으로 클립 하우징(101)을 제조하는 경우 금형으로부터 취출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되어 금형 과정에서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가 손상(예를 들어, 싱크(sink)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의 끝부분에는 가니쉬(203)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1, 113)가 구비된다.
이 결합부(111, 113)의 두께는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1, 113)는 그 양단에서 폭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금형으로부터 취출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된다.
클립 하우징(101)은 베이스 플레이트(105)와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에 각각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115)를 더 포함한다.
보강 플레이트(115)가 구비됨으로써, 클립 하우징(101)의 강도가 크게 향상된다.
보강 플레이트(115)의 길이는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의 길이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클립 하우징(101)은 보강 플레이트(115)에 결합되는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auxiliary mounting plate)(117)를 더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117)는 서로 마주보는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117)는 마운팅 플레이트(107, 109)와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117)의 선단은 가니쉬(203)게 고정 연결된다.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117)가 구비됨으로써, 클립 하우징(101)의 강도가 향상되고 클립 하우징(101)이 보다 견고하게 가니쉬(203)게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5)는 그 양단의 폭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강 플레이트(115)가 결합된 끝단이 그 마주보는 끝단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05)의 구배각이 15° 내지 20°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베이스 플레이트(105)에 구배각이 형성됨으로써, 금형 취출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5)에는 그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디텐트(detent)가 구비되는 로킹홈(locking slot)(119)가 형성되고, 클립(103)이 로킹홈(119)에 끼워짐으로써 클립(103)이 클립 하우징(101)에 체결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3)은 서로 대향되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3)를 포함하고,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3)는 연결부(125)에 의해 연결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3) 사이에 클립 하우징(101)의 베이스 플레이트(105)가 끼워지도록 연결부(125)가 베이스플레이트(105)의 로킹홈(119)에 삽입된다.
그리고, 클립(103)에는 외력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는 벤딩부(127)가 구비되고, 이 벤딩부(127)를 통해서 클립(103)이 차체 판넬(201)에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클립(103)에 의해 클립 하우징(101)이 차체 판넬(201)에 부착되는 것이다.
클립 하우징(101)과 클립(103) 사이에는 양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충격흡수부재(129)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3)의 제2플레이트(123)와 벤딩부(127)의 끝단 사이에 충격흡수부재(129)가 배치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129)는 고무와 같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임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또는 수정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클립 하우징의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질수록 양자 사이의 거리가 점차로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금형을 통한 제작이 용이해지고 가니쉬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마운팅 플레이트의 끝부분에는 그 두께가 마운팅 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의두께보다 얇은 결합부가 구비되고 이 결합부의 양단의 폭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클립 하우징의 제작이 보다 용이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클립 하우징의 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보강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가 구비됨으로써, 클립 하우징이 보다 견고하게 가니쉬에 결합될 수 있고 클립 하우징의 강도가 높아진다.
더 나아가, 클립 하우징과 클립 사이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됨으로써, 클립 하우징과 클립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Claims (11)

  1. 클립을 이용한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체 판넬에는 상기 클립이 부착되고,
    상기 가니쉬에는 클립 하우징이 고정 결합되어,
    상기 클립 하우징과 상기 클립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클립 하우징은,
    상기 클립과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사이의 거리가 점차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 각각의 끝부분에는 상기 가니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의 두께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결합부는 그 양단에서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5. 제2항에서,
    상기 클립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 각각에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클립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마운팅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보조 마운팅 플레이트는 그 일단이 상기 가니쉬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8. 제2항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사이의 폭이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9. 제2항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그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디텐트(detent)가 구비된 로킹홈(locking slot)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로킹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클립 하우징과 상기 클립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11. 제10항에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니쉬의 차체 판넬 마운팅 구조.
KR20-2003-0039435U 2003-12-18 2003-12-18 차량용 클립 마운팅 장치 KR2003437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35U KR200343785Y1 (ko) 2003-12-18 2003-12-18 차량용 클립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35U KR200343785Y1 (ko) 2003-12-18 2003-12-18 차량용 클립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785Y1 true KR200343785Y1 (ko) 2004-03-06

Family

ID=4942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435U KR200343785Y1 (ko) 2003-12-18 2003-12-18 차량용 클립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7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9153B2 (ja) 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
JP3967970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5107283B2 (ja) クリップ
JP2009101726A (ja) バンパ取付け用リテーナ及びバンパ取付け構造
KR200343785Y1 (ko) 차량용 클립 마운팅 장치
CN109927525B (zh) 树脂后尾门
JP5314467B2 (ja) バックドアダンパ
KR102101291B1 (ko) 리어범퍼 고정용 브래킷
JP5990043B2 (ja) フック装置
JP4642566B2 (ja) クリップ
KR1009027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US6971708B2 (en) Fixing structure of protector
JP4488632B2 (ja) 車両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リィンホースメント
JP6161502B2 (ja) 車載用電子装置
JP4170664B2 (ja) ドアサッシュ組立体
CN214822738U (zh) 具有开关安装支架的汽车座椅
KR100745452B1 (ko)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
JP6934795B2 (ja) 取付部材
KR101868916B1 (ko) 차량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3199356B2 (ja) 曲げ加工用形材
KR100392087B1 (ko) 자동차의 전방도어의 힌지부에 장착되는 보강패널
KR100507054B1 (ko) 개선된 리어범퍼 하부 체결구조
JPH04127041U (ja) 樹脂製ケースの取付構造
JP2011131851A (ja)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及び固定用クリップ
KR100407270B1 (ko) 차량의 리어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