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691Y1 - 화일용 지철구 - Google Patents

화일용 지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691Y1
KR200343691Y1 KR20-2003-0037447U KR20030037447U KR200343691Y1 KR 200343691 Y1 KR200343691 Y1 KR 200343691Y1 KR 20030037447 U KR20030037447 U KR 20030037447U KR 200343691 Y1 KR200343691 Y1 KR 200343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fixing
fixing band
documen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묵
Original Assignee
박상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묵 filed Critical 박상묵
Priority to KR20-2003-0037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36Locking followers; Pressur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2Attachment by means of bifurcated form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일용 지철구에 관한 것으로, 이 지철구(1)는 그 좌우측 선단에 고정밴드(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밴드(2)의 하부면에 래칫(3)이 형성된 지지구(4)와, 이 지지구(4)의 고정밴드(2)가 끼워지는 고정부재(5)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고정부재(5)의 하부면에 슬릿홀(6)이 형성된 판형의 서류 고정구(7)와, 이 서류 고정구(7)의 고정부재(5) 하부에 설치되면서 그 상부에 절곡형성된 스톱퍼(8)가 고정부재(5)의 슬릿홀(6)을 통해 상기 고정밴드(2)의 래칫(3)에 걸려져 고정되는 판스프링(9) 및, 중심축(10)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에 각각 슬라이딩 바아(11)가 형성된 삼발이(12)가 설치되고, 상기 삼발이(12)의 중심축(10) 상부에 작동버튼(13)이 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 스프링(14)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일측에 각각 누름돌기(1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하부에 상기 누름돌기(15)가 지날수 있도록 된 원통형의 하우징(16)이 가이드홈(17)을 가지면서 설치된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18)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에 서류를 철하고 있는 지철구를 결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지철구가 보다 견고한 상태로 서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일용 지철구{A FASTENER FOR FILE}
본 고안은 서류를 철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화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많은 양의 서류를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보관함과 더불어 서류의 고정 및 해제를 간편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화일용 지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일(file)은 서류를 정리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바, 서류의 분실이나 훼손 또는 오염을 막고 서류를 장시간 보관하여도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화일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화일은 많은 서류를 운반하는데도 편리한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화일은 여러가지 구조를 갖게 되고 그 재질은 주로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가 사용되며, 이 화일은 앞표지와 뒷표지가 구분됨과 더불어 서류를 한데 묶어 놓기 위하여 서류를 묶는 지철구를 부착하고, 상기 지철구를 통해 미리 천공된 서류를 화일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철구의 종래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일(101)의 내측면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구(102)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지지구(102)의 상부에 수직된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한쌍의 코일스프링(103)이 설치되며, 상기 코일스프링(10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표면에 고정홀(104)이 형성됨과 더불어 코일스프링(103)을 수평되게 체결하는 스프링 클립(105)이 각각 구비된 서류 고정구(106)가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 화일(101)에 설치된 지철구(107)를 통해 펀칭된 서류를 화일(101)에 고정하게 되는 바, 상기 지지구(102)의 코일스프링(103)에 펀칭된 서류를 끼워넣고, 이 상태에서 상기 서류 고정구(106)의 고정홀(104)을 통해 상기 코일스프링(103)을 삽입시켜 서류 고정구(106)가 서류의 상부를 잡아주도록 고정한 다음, 상기 서류 고정구(1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링 클립(105)을 좌우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코일스프링(103)을 수평되게 고정함으로써 서류 고정구(106)가 서류의 상부를 잡아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지철구(107)가 구비된 화일(101)에 많은 양의 서류가 철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서류 고정구(106)의 스프링 클립(105)이 코일스프링(103)을 제대로 지지할 수 없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서류 고정구(106)가 쉽게 풀어져 서류가 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많은 양의 서류가 철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류를 넘길때 상기 코일스프링(103)이 이탈되면서 서류가 화일(101)로부터 빠지게 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철구(107)를 통해 서류를 철하거나 철된 서류를 꺼낼 경우 양손으로 각각의 스프링 클립(105)을 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 조작이 불편할 뿐만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사용자의 업무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많은 양의 서류를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보관함과 더불어 서류 고정구의 해제를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도록 된 화일용 지철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일의 내측면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그 좌우측 선단에 펀칭된 서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밴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하부면에 래칫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지지구;와, 이 지지구의 고정밴드가 끼워질 수 있도록 좌우측에 각각 원통형의 고정부재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고정부재의 하부면에 슬릿홀이 형성되어 지지구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판형의 서류 고정구;와, 이 서류 고정구의 고정부재 하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부에 절곡형성된 스톱퍼가 고정부재의 슬릿홀을 통해 상기 고정밴드의 래칫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고정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판스프링; 및, 상기 서류 고정구의 중앙면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에 각각 슬라이딩 바아가 형성된 삼발이가 설치되고, 상기 삼발이의 중심축 상부에 작동버튼이 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 스프링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일측에 각각 누름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부에 슬라이딩 바아를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누름돌기가 지날수 있도록 된 원통형의 하우징이 가이드홈을 가지면서 설치된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삽입된 하우징이 상기 판스프링과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에 의해 전진하는 슬라이딩 바아의 누름돌기가 하우징의 가이드홈을 통해 돌출되면서 상기 판스프링을 하부방향으로 눌러주며, 상기 판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판스프링에 설치된 스톱퍼가 고정밴드의 래칫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고정밴드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에 서류를 철하고 있는 지철구를 결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지철구가 보다 견고한 상태로 서류를 고정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서류를 철하더라도 지철구가 저절로 해제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많은 서류를 철한 상태에서 서류를 펼치더라도 고정밴드의 래칫에 의해 지철구가 풀리지 않기 때문에 화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화일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의를 제공함과 더불어 화일의 구매력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철구 2 : 고정밴드
3 : 래칫 4 : 지지구
5 : 고정부재 6 : 슬릿홀
7 : 서류 고정구 8 : 스톱퍼
9 : 판스프링 10 : 중심축
11 : 슬라이딩 바아 12 : 삼발이
13 : 작동버튼 14 : 스프링
15 : 누름돌기 16 : 하우징
17 : 가이드홈 18 :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
19 : 화일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펀칭된 서류를 화일(19)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철구(1)가 구비되되, 상기 지철구(1)는 화일(19)의 내측면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그 좌우측 선단에 펀칭된 서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밴드(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밴드(2)의 하부면에 래칫(3)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지지구(4)와, 이 지지구(4)의 고정밴드(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좌우측에 각각 원통형의 고정부재(5)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고정부재(5)의 하부면에 슬릿홀(6)이 형성되어 지지구(4)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판형의 서류 고정구(7)와, 이 서류 고정구(7)의 고정부재(5) 하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부에 절곡형성된 스톱퍼(8)가 고정부재(5)의 슬릿홀(6)을 통해 상기 고정밴드(2)의 래칫(3)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고정밴드(2)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판스프링(9) 및, 상기 서류 고정구(7)의 중앙면에 중심축(10)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에 각각 슬라이딩 바아(11)가 형성된 삼발이(12)가 설치되고, 상기 삼발이(12)의 중심축 상부에 작동버튼(13)이 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 스프링(14)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일측에 각각 누름돌기(1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하부에 슬라이딩 바아(11)를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누름돌기(15)가 지날수 있도록 된 원통형의 하우징(16)이 가이드홈(17)을 가지면서 설치된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18)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화일용 지철구(1)는 서류를 철하기 위한 작업을 원터치식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지지구(4)의 고정밴드(2)에 펀칭된 서류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서류 고정구(7)와고정밴드(2)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고정밴드(2)와 서류 고정구(7)의 고정부재(5)가 자동으로 체결되고, 상기 서류 고정구(7)의 해제시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18)의 작동버튼(13)을 눌러 간편하게 서류를 인출하거나 철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5)의 밑면이 상기 서류 고정구(7)에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화일용 지철구(1)의 구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된 서류가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구(4)와, 이 지지구(4)에 결합되어 상기 서류를 철할 수 있도록 된 서류 고정구(7)와, 이 서류 고정구(7)의 고정부재(5) 하부에 리벳 또는 밴드로서 고정설치되어 상기 고정밴드(2)와 결합되는 판스프링(9) 및, 이 판스프링(9)과 고정밴드(2)의 결합을 해제하여 서류 고정구(7)를 상기 지지구(4)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된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18)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지철구(1)를 이루는 부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우선 지지구(4)의 고정밴드(2)는 그 하부면에 일방향 기어인 래칫(3)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9)의 스톱퍼(8)와 결합하게 되고, 상기 판스프링(9)을 수용하도록 된 서류 고정구(7)의 고정부재(5)는 좌우방향으로 수평되게 누운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5)의 하부면에는 슬릿홀(6)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홀(6)을 통해 고정부재(5)의 하부에 설치된 판스프링(9)의 스톱퍼(8)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밴드(2)의 래칫(3)과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9)의 스톱퍼(8)와 고정밴드(2)의 래칫(3)이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서류 고정구(7)를 이탈시키도록 된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18)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10)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에 각각 슬라이딩 바아(11)가 형성된 삼발이(12)가 설치되고, 상기 삼발이(12)의 중심축(10) 상부에 작동버튼(13)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일측에 각각 누름돌기(15)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하부에 슬라이딩 바아(11)를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누름돌기(15)가 지날수 있도록 된 원통형의 하우징(16)이 가이드홈(17)을 가지면서 설치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6)의 일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서류 고정구(7)의 하측면에 형성된 통공에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6)이 서류 고정구(7)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작동버튼(13)의 누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누름돌기(15)가 전진하면서 상기 판스프링(9)을 하부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화일(19)용 지철구(1)를 이용하여 서류를 철하고 있는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4)의 고정밴드(2)를 서류 고정구(7)의 고정부재(5)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고정밴드(2)의 래칫(3)이 판스프링(9)의 스톱퍼(8)를 지나게 되고, 상기 고정밴드(2)가 일정위치에 멈춰지면서 하면의 래칫(3)에 상기 스톱퍼(8)가 끼워짐으로써 고정되는 바, 이는 일방향으로만 전진하는 래칫(3)이 스톱퍼(8)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가지못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반면에, 상기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18)를 이용하여 상기 지철구(1)의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바아(11)가 삽입된 하우징(16)이 상기 판스프링(9)과 고정부재(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13)의 누름에 의해 전진하는 슬라이딩 바아(11)의 누름돌기(15)가 하우징(16)의 가이드홈(17)을 통해 돌출되면서 상기 판스프링(9)을 하부방향으로 눌러주며, 상기 판스프링(9)의 압축에 의해 판스프링(9)에 설치된 스톱퍼(8)가 고정밴드(2)의 래칫(3)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고정밴드(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철구(1)는 원터치 방식에 의해 서류를 철하거나 철한 서류를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밴드(2)의 래칫(3)과 판스프링(9)의 스톱퍼(8)에 의해 지철구(1)가 오작동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 번의 동작으로 간편하게 화일(19)의 지철구(1)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일용 지철구에 의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에 서류를 철하고 있는 지철구를 결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지철구가 보다 견고한 상태로 서류를 고정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서류를 철하더라도 지철구가 저절로 해제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많은 서류를 철한 상태에서 서류를 펼치더라도 고정밴드의 래칫에 의해 지철구가 풀리지 않기 때문에 화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화일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의를 제공함과 더불어 화일의 구매력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화일(19)의 내측면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그 좌우측 선단에 펀칭된 서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밴드(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밴드(2)의 하부면에 래칫(3)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지지구(4);와
    상기 지지구(4)의 고정밴드(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좌우측에 각각 원통형의 고정부재(5)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고정부재(5)의 하부면에 슬릿홀(6)이 형성되어 지지구(4)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판형의 서류 고정구(7);와
    상기 서류 고정구(7)의 고정부재(5) 하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부에 절곡형성된 스톱퍼(8)가 고정부재(5)의 슬릿홀(6)을 통해 상기 고정밴드(2)의 래칫(3)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고정밴드(2)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판스프링(9); 및
    상기 서류 고정구(7)의 중앙면에 중심축(10)을 중심으로 그 좌우측에 각각 슬라이딩 바아(11)가 형성된 삼발이(12)가 설치되고, 상기 삼발이(12)의 중심축(10) 상부에 작동버튼(13)이 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 스프링(14)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일측에 각각 누름돌기(1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11)의 하부에 슬라이딩 바아(11)를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누름돌기(15)가 지날수 있도록 된 원통형의 하우징(16)이 가이드홈(17)을 가지면서 설치된 서류 고정구 해제장치(18);로 이루어진 화일용 지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아(11)가 삽입된 하우징(16)이 상기 판스프링(9)과 고정부재(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작동(13)의 누름에 의해 전진하는 슬라이딩 바아(11)의 누름돌기(15)가 하우징(16)의 가이드홈(17)을 통해 돌출되면서 상기 판스프링(9)을 하부방향으로 눌러주며, 상기 판스프링(9)의 압축에 의해 판스프링(9)에 설치된 스톱퍼(8)가 고정밴드(2)의 래칫(3)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고정밴드(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용 지철구.
KR20-2003-0037447U 2003-12-01 2003-12-01 화일용 지철구 KR200343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447U KR200343691Y1 (ko) 2003-12-01 2003-12-01 화일용 지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447U KR200343691Y1 (ko) 2003-12-01 2003-12-01 화일용 지철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137A Division KR100537342B1 (ko) 2003-11-25 2003-11-25 화일용 지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691Y1 true KR200343691Y1 (ko) 2004-03-04

Family

ID=4942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447U KR200343691Y1 (ko) 2003-12-01 2003-12-01 화일용 지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6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342B1 (ko) 화일용 지철구
KR200343691Y1 (ko) 화일용 지철구
JP4909645B2 (ja) 綴じ具
EP1382463B1 (en) Accessory for a writing board, file or the like
JPH0872457A (ja) 両開きパイプファイルの綴じ具
JP3718217B1 (ja) 差込口の上方にパンチを設けたクリップ装着器
US2891552A (en) Back construction for mechanical binders
JP3449975B2 (ja) バインダーの綴じ具
WO2015161529A1 (zh) 自动循环夹
JP2004122486A (ja) 書類綴り具
JP4168994B2 (ja) 綴じ足の保持構造及びファイル
JP2505935Y2 (ja) バインダのロック機構
CN214001110U (zh) 文件夹夹具
JP3134106B2 (ja) パンチ装置及びロック装置付綴込具
KR200472975Y1 (ko) 바인더
JPH0545506Y2 (ko)
JPS6347503Y2 (ko)
JP2007007913A (ja) ファイル、綴じ具、及び手動操作部材
JP3029052U (ja) ファイル用綴具
JP3421919B2 (ja) ファイル
KR950000746Y1 (ko) 스프링이 내장된 밀대
KR100413297B1 (ko) 파일 케이스
KR101575074B1 (ko) 스테이플러
KR200288071Y1 (ko) 타이형 파일홀더
JP2701662B2 (ja) 綴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