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074B1 -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074B1
KR101575074B1 KR1020140090264A KR20140090264A KR101575074B1 KR 101575074 B1 KR101575074 B1 KR 101575074B1 KR 1020140090264 A KR1020140090264 A KR 1020140090264A KR 20140090264 A KR20140090264 A KR 20140090264A KR 101575074 B1 KR101575074 B1 KR 10157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
stapler
head
pai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규
조유준
최선영
장한나
정위성
이승규
Original Assignee
강준규
조유준
최선영
장한나
정위성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규, 조유준, 최선영, 장한나, 정위성, 이승규 filed Critical 강준규
Priority to KR102014009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스테이플(staple) 압착판이 형성된 베이스부, 스테이플 수용부, 스테이플 압출부, 및 덮개부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테이플러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의 폭보다 바깥쪽에 있는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 슬릿을 가진다. 상기 스테이플러는 상기 덮개부,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 및 상기 스테이플 수용부를 아래로 눌러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가 상기 스테이플 압착판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상기 서류를 철하게 하는 힘작용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힘작용수단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관통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판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상부 말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면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상면판에 고정되고 상기 상면판 상부로 돌출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손잡이부를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 및 상기 스테이플 수용부를 아래로 누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테이플러는 작은 힘으로 정확하게 서류를 철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서류를 철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이플러{Stapler}
본 발명은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정확하게 서류를 철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플러(stapler)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서류를 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이다. 스테이플러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철침인 스테이플(staple)을 다수개 장착하고, 그 중 말단에 있는 하나의 스테이플을 가압하여 서류를 관통시킨 후 압착판에 의하여 스테이플을 절곡하고 압착하여 서류를 철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통상적인 스테이플을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적인 스테이플(10)은 크게 베이스부(100), 스테이플 수용부(200), 스테이플 압출부(300) 및 덮개부(4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에는 스테이플 압착판(110)이 결합되어 있다. 스테이플 압착판(110)에는 스테이플 절곡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플 수용부(200)는 하면판(미도시), 전면판(213) 및 한 쌍의 측면판(215)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가진다. 프레임의 하면판에는 전면판(213)에 인접한 영역에 스테이플이 토출되는 토출구(220)가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플 수용부(200)의 내부공간에는 스테이플(500)이 수용되는데, 이를 위하여 스테이플(500)의 폭보다 약간 좁은 폭으로 한 쌍의 스테이플 가이드판(230)이 한 쌍의 측면판(215)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플 수용부(200)에 수용된 스테이플(500)은 스테이플 가이드판(230)에 얹혀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스테이플(500)이 얹혀지는 스테이플 가이드판(230)에서 뒤쪽에는 스테이플을 전방으로 밀어서 스테이플(500)이 토출구(220)에 위치하게 하는 스테이플 수송편(240)이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플 수송편(240)은 한 쌍의 스테이플 가이드판(230)에 얹혀져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스테이플 수송편(240)이 전방으로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스테이플 가이드판(230) 사이에는 스프링 지지바(미도시)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바에는 코일스프링(260)이 끼워져서 지지되고 있다. 스테이플 수송편(240) 아래에는 스테이플 수송편(240)과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링(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지지링에 의하여 코일스프링(260)의 일단이 걸리게 된다. 한편, 코일스프링(260)의 타단은 스테이플 수용부(200)의 후방부에서 고정된다. 스프링 지지링은 스프링 지지바에 끼워져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코일스프링(260)에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코일스프링(260)은 스테이플 수송편(240)을 전방으로 밀게 되고, 그러면 스테이플 수송편(240)이 스테이플(500)을 전방으로 밀게 되어 스테이플(500)은 토출구(220)에 위치하게 되고, 전면판(213)과 스테이플 수송편(240) 사이에 고정된다.
한편, 스테이플 수용부(200)에 스테이플(500)을 끼우기 위해서는 스테이플 수송편(240)이 후방에서 멈춘 상태로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스테이플 스송편(240) 상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걸림돌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돌부(241)는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270)의 요홈부(271)에 걸려 결합된다.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270)의 일단은 한 쌍의 측면판(215)의 안쪽 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8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270)의 타단은 덮개부(400)에 결합되는 스테이플 압출부(300)에 고정된다. 스테이플 수용부(200), 스테이플 압출부(300) 및 덮개부(400)는 힌지부(600)에 의하여 힌지결합을 한다. 그리하여 덮개부(400)를 뒤로 완전히 젖히면 스테이플 수송편(240)은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27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고 덮개부(400)의 하중에 의하여 그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면 스테이플 수송편(240)과 토출구(220) 사이에 스테이플(500)을 끼우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생성되므로 스테이플(500)을 스테이플 수용부(200)에 끼울 수 있게 된다.
스테이플 압출부(3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270)의 타단이 고정되는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와 스테이플 압출편(320)을 포함한다.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는 스테이플 수용부(200) 및 덮개부(400)와 함께 힌지결합하는 것이다. 스테이플 압출편(320)은 스테이플 수용부(200)의 토출구(220) 및 스테이플 압착판(110)의 스테이플 절곡홈(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하게 세워진 판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는 덮개부(400)에 결합된 콘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콘스프링의 그러한 지지에 의하여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는 스테이플 압출편(320)의 말단의 위치와 동등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를 누르는 상황이 되면 스테이플 압출편(320)은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보다 높은 위치가 되어 노출되게 된다.
덮개부(400)는 스테이플 압출부(300)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통상의 스테이플러(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덮개부(400)가 닫힌 상태에서 덮개부(400)를 열고 뒤로 완전히 젖히면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270)이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테이플 수송편(240)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러면, 스테이플 수송편(240)과 토출구(220) 사이에 스테이플(500)을 장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스테이플 수용부(200)에 스테이플(500)을 끼울 수 있게 된다.
스테이플(500)을 끼운 후 덮개부(400)를 닫으면 스테이플 수송편(240)에 의하여 자동으로 스테이플(500)은 토출구(220)로 이송되고 전면판(213)과 스테이플 수송편(240) 사이에서 스테이플(500)은 고정된다. 또한 스테이플 수용부(200)와 스테이플 압출부(300)는 서로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이스부(100)의 스테이플 압착판(110)과 스테이플 수용부(200)의 하면판 사이에 철하고자 하는 서류를 끼우고 덮개부(400)를 하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서류는 스테이플(500)에 의하여 철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덮개부(400)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는 스테이플 수용부(200)에 의하여 덮개부(400) 쪽으로 밀리게 되지만 스테이플 압출편(320)은 그대로 있게 되어, 스테이플 압출편(320)에 의하여 토출구(220)에 있는 스테이플(500)은 스테이플 수용부(200)로부터 압출된다. 이렇게 압출된 스테이플(500)은 스테이플 절곡홈(111)에서 스테이플 압착판(110)에 의하여 눌려져서 절곡되고 압착된다. 그리하여 서류가 철해지게 된다.
스테이플 수용부(200)에 의하여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가 덮개부(400) 쪽으로 밀리게 하기 위하여, 스테이플 수용부(200)의 전면판(213)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21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 압출편(320)에는 그것의 상부 말단을 제외하고 수직방향으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의 힌지결합 말단의 반대쪽에 있는 다른 말단에는 걸림 및 누름 돌기(31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걸림 및 누름 돌기(311)는 스테이플 압출편(320)의 구멍에 끼워지고 그 구멍 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노출된 걸림 및 누름 돌기(311)는 스테이플 압출편(320)의 상부 말단에 걸려 덮개부(400)에 결합된 콘스프링(7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테이플 압출부(300)가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렇게 노출된 걸림 및 누름 돌기(311)는 전면판(213)에 의하여 눌려져서 스테이플 수송편 제한편 결합부(310)가 덮개부(400) 쪽으로 밀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면판(213)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3-1)는 걸림 및 누름 돌기(311)를 측면에서 감싸서 전면판(213)이 걸림 및 누름 돌기(311)를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게 하는 보조역을 하게 된다.
한편, 특허공개 제10-2006-0033687호는 회전가능한 상부플레이트를 가진 스태플러를 개시한다. 이 출원발명은 스태플러의 상부 플레이트를 별도의 보조플레이트에 결합시켜서 하부의 베이스플레이트와는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용지의 중앙부위와 같이 일반크기의 스태플러로는 지철할 수 없는 부분도 손쉽게 지철할 수 있는 스태플러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공고 제1999-0006386호는 스테풀러의 괘침 수납장치를 개시한다. 이 고안은 스테풀러용 괘침을 삽입하는데 있어서, 덮개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회동축을 형성하여 괘침을 수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스테풀러의 괘침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54389호는 스테이플러를 개시한다. 이 등록고안은 여러 종류의 스테이플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킨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의 기능을 개선한 스테이플러 제품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정확하게 서류를 철하는 기능을 가진 스테이플러는 아직까지 제안된 적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정확하게 서류를 철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staple) 압착판이 형성된 베이스부,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스테이플 수용부, 상기 스테이플 수용부에 수용된 스테이플들 중에서 말단에 위치한 한 스테이플을 눌러 밀어내어 상기 스테이플 압착판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이 절곡되고 압착되어 서류를 철하게 하는 스테이플 압출부, 및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의 폭보다 바깥쪽에 있는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 슬릿을 가진다. 상기 스테이플러는 상기 덮개부,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 및 상기 스테이플 수용부를 아래로 눌러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가 상기 스테이플 압착판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상기 서류를 철하게 하는 힘작용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힘작용수단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관통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판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상부 말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면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상면판에 고정되고 상기 상면판 상부로 돌출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손잡이부를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 및 상기 스테이플 수용부를 아래로 누르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힘작용수단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하는 헤드부 결합부 및 힘을 작용시킬때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 결합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 결합부와 상기 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의 아래에 결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에 힘을 작용시킬 때 기준으로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균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며, 그래서 상기 손잡이부에 힘을 작용시켜 상기 스테이플러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경사부가 상부로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는 상기 경사부는 하부로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부에 힘을 작용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힘작용수단의 상기 헤드부는 원기둥 형상을 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면판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결합핀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헤드부 결합부 말단에는 상기 헤드부가 수용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 바깥에 있는 상기 헤드부 결합부의 한 쌍의 팔부에는 결합핀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 결합부의 상기 한 쌍의 팔부는 손잡이부 결합용 결합핀에 의하여 상기 헤드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측면판이 관통하는 한 쌍의 측면판 관통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아래 말단부에는 고정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측면판은 상기 측면판 관통 슬릿을 통과한 후 상기 베이스부 아래에 위치한 상기 고정핀 관통공에 측면판 고정용 고정핀을 끼움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판 고정용 고정핀은 선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는 작은 힘으로 정확하게 서류를 철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서류를 철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여성 및 노약자가 서류를 정확하게 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덮개부가 닫힌 상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덮개부가 열린 상태로서 스테이플 수용부 및 스테이플 압출부의 구조 및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보관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에서 스테이플러 본체와 힘작용수단이 분해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에 적용되는 힘작용수단을 분해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를 다양한 각도에서 힘을 작용시켜 사용하는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러 본체(10)를 가진다. 스테이플러 본체(10)는 스테이플(staple) 압착판(110)이 형성된 베이스부(100), 스테이플(500)을 수용하는 스테이플 수용부(200), 스테이플 수용부(200)에 수용된 스테이플들(500) 중에서 말단에 위치한 한 스테이플을 눌러 밀어내어 스테이플 압착판(110)에 의하여 스테이플(500)이 절곡되고 압착되어 서류를 철하는 스테이플 압출부(300) 및 스테이플 압출부(300)를 덮는 덮개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테이플러 본체(10)는 상기에서 설명한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테이플러 본체(10)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신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테이플러(1)에 적용되는 스테이플러 본체(10)가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와 다른 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힘작용수단(20)과 결합한다는 점인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 본체(10)는 덮개부(400)에 한 쌍의 측면판 관통 슬릿(410)을 가진다. 측면판 관통 슬릿(410)은 스테이플 압출부(300)의 폭보다 바깥쪽에 있는 덮개부(400)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힘작용수단(20)의 몸체부(1000)의 측면판(1100)이 관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플러(1)에 적용되는 스테이플러 본체(10)가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와 다른 점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힘작용수단(20)의 몸체부(1000)의 측면판(1100)이 베이스부(100)에 고정된다는 것이다. 몸체부(1000)의 측면판(1100)이 베이스부(100)에 고정되는 구체적인 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고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부(100)에는 측면판 관통 슬릿(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테이플러(1)에 적용되는 힘작용수단(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힘작용수단(20)은 몸체부(1000), 헤드부(2000) 및 손잡이부(30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0)는 한 쌍의 측면판(1100)과 상면판(120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판(1100)은 덮개부(400)에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 관통 슬릿(410)을 통과한 후 베이스부(100)에 고정된다. 측면판(1100)이 베이스부(100)에 고정되는 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00)에는 측면판 관통 슬릿(1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스테이플 압착판(110)에도 측면판 관통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스테이플 압착판(110)을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테이플 압착판(110)에는 측면판 관통 슬릿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면판(1100)의 아래 말단부에는 고정핀 관통공(1110)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판(1100)은 측면판 관통 슬릿(120)을 통과하게 되고 그러면 고정핀 관통공(1110)이 형성된 측면판(1100)의 아래 말단부는 베이스부(100)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측면판(1100)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핀 관통공(1110)에 측면판 고정용 고정핀(5000)이 끼워짐으로써 측면판(1100)은 베이스부(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용 고정핀(5000)은 끼움의 편리성을 위하여 선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판(1200)은 한 쌍의 측면판(1100)의 상부 말단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작용수단(20)이 스테이플러 본체(10)에 결합할 때 덮개부(400) 위에 위치하게 된다. 상면판(1200)의 중앙에는 헤드부 결합용 관통공(1210)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 결합용 관통공(1210)은 헤드부(2000)가 몸체부(10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헤드부(2000)가 몸체부(100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헤드부 결합용 관통공(1210)은 필요없으며, 헤드부(2000)는 상면판(1200)에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헤드부(2000)는 상면판(1200)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면판(1200)에 결합된다. 특히 헤드부(2000)는 상면판(12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헤드부(2000)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2100)를 가진다. 몸체부(2100)는 상면판(1200)에 형성된 헤드부 결합용 관통공(1210)을 관통하는 것이다. 몸체부(2100)의 직경은 헤드부 결합용 관통공(1210)의 직경에 일치한다. 몸체부(2100)의 한쪽 말단에는 몸체부(2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된 걸림부(220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부(2000)는 상면판(1200) 아래에서 헤드부 결합용 관통공(1210)에 끼워지게 된다. 그러면, 헤드부(2000)의 몸체부(2100)는 상면판(1200) 상부로 노출되게 되고, 걸림부(2200)는 상편판(1200)에 걸리게 된다.
상면판(1200) 상부로 노출된 헤드부(2000)의 몸체부(2100)에는 그것을 가로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핀 관통공(23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핀 관통공(2300)에는 손잡이부 결합용 결합핀(4000)이 끼워짐으로써 헤드부(2000)는 상면판(12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결합된다.
한편, 헤드부(2000)의 몸체부(2100)는 손잡이부(3000)와 결합한다. 특히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손잡이부(3000)는 그것에 힘을 작용시키면, 즉 손잡이부(3000)를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덮개부(400), 스테이플 압출부(300) 및 스테이플 수용부(200)가 아래로 눌려지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스테이플에 의하여 서류가 철해지게 하는 것인데, 이러한 작용을 함에 있어서, 통상적인 스테이플러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서류철 작업을 할 수 있고 또한 더욱 정확한 서류철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러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손잡이부(3000)를 눌러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도 4는 손잡이부(3000)를 누를 수 없는 상태, 즉 보관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손잡이부(3000)는 헤드부 결합부(3100) 및 경사부(3200)를 포함한다. 헤드부 결합부(3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수평을 이룬다. 헤드부 결합부(3100)가 대체적으로 수평을 이룬다는 것은 지면에 대하여 완전하게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며, 경사부(3200)와 비교하였을 때 지면과 더욱 수평을 이룬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헤드부 결합부(3100)는 지면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수평을 이루면 족하고 어느 정도의 기울기를 가지더라도 경사부(3200)보다 지면에 수평하다면 족하다.
한편, 헤드부 결합부(3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00)와 결합하는 위치로부터 덮개부(400)와 접촉하는 부분까지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경사부(3200)는 손잡이부(3000)에 힘을 작용시킬 때를 기준으로, 즉 도 3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헤드부 결합부(3100)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반면에 경사부(3200)는 손잡이부(3000)에 힘을 작용시킬 수 없는 상태, 즉 보관상태일 때, 다시 말하면 도 4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면, 헤드부 결합부(3100)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손잡이부(3000)는 균형부(3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균형부(3300)는 헤드부 결합부(3100)와 경사부(3200)가 만나는 부분의 아래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균형부(3300)는 손잡이부(3000)에 힘을 작용시킬 때를 기준으로 덮개부(40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균형부(3300)에 의하면, 손잡이부(3000)의 경사부(3200)를 사용자가 누를 때 덮개부(400)와 접촉하는 손잡이부(3000)의 미끄러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손잡이부(3000)의 누름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균형부(3300)에 의하면, 몸체부(1000)의 측면판(1100)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폭이 작게 되어 서류가 측면판(1100)에 의하여 정확하게 가이드되어 서류의 정확한 위치에 스테이플(500)이 관통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0)에서 헤드부 결합부(3100)가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헤드부 결합부(3100)와 경사부(3200)가 만나는 경계가 덮개부(400)와 접촉하게 되고 그 부분에서 손잡이부(3000)는 V자 형상을 하기 때문에 손잡이부(300)에 힘을 작용시킬 때 그 경계부분이 덮개부(4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손잡이부(300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균형부(3300)를 추가적으로 마련할 필요는 없다.
한편, 손잡이부(3000)는 바람직하게는 헤드부(20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헤드부(2000)의 몸체부(2100)에 결합핀 관통공(2300)이 형성된 것과 호응하여, 손잡이부(3000)의 헤드부 결합부(3100) 말단에는 헤드부 몸체부(3100)가 수용되는 요홈부(3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요홈부(3110)의 바깥에 있는 헤드부 결합부(3100)에는 한 쌍의 팔부(3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팔부(3120)에는 결합핀 관통공(3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손잡이부 결합용 결합핀(4000)이 팔부(3120)의 결합핀 관통공(3121) 및 헤드부 몸체부(2100)의 결합핀 관통공(2300)에 삽입됨으로써 헤드부 결합부(3100)의 팔부(3120)와 헤드부 몸체부(2100)는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드부 몸체부(2100)는 상면판(12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또한 손잡이부(3000)는 헤드부(20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므로, 손잡이부(30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들에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스테이플러(1)는 힘작용수단(20)에 의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서류철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많은 양의 서류를 철하는 작업을 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여성 및 노약자가 서류를 철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작용수단(20)에 의하여 여러 각도에서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 제약이 있는 다양한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이플러(1)는 또한 힘작용수단(20)의 몸체부(1000)의 측면판(1100)이 철해져야 할 서류를 가이드하기 때문에 서류철 작업을 정확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하다.
1: 스테이플러 10: 스테이플러 본체
20: 힘작용수단 100: 베이스부
110: 스테이플 압착판 111: 스테이플 절곡홈
120: 측면판 관통 슬릿 200: 스테이플 수용부
300: 스테이플 압출부 400: 덮개부
410: 측면판 관통 슬릿 500: 스테이플
600: 힌지부 1000: 몸체부
1100: 측면판 1110: 고정핀 관통공
1200: 상면판 1210: 헤드부 결합용 관통공
2000: 헤드부 2100: 몸체부
2200: 걸림부 2300: 결합핀 관통공
3000: 손잡이부 3100: 헤드부 결합부
3110: 요홈부 3120: 팔부
3121: 결합핀 관통공 3200: 경사부
3300: 균형부 4000: 손잡이부 결합용 결합핀
5000: 측면판 고정용 고정핀

Claims (7)

  1. 스테이플(staple) 압착판이 형성된 베이스부,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스테이플 수용부, 상기 스테이플 수용부에 수용된 스테이플들 중에서 말단에 위치한 한 스테이플을 눌러 밀어내어 상기 스테이플 압착판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플이 절곡되고 압착되어 서류를 철하는 스테이플 압출부, 및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의 폭보다 바깥쪽에 있는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 슬릿을 가지고,
    상기 스테이플러는 상기 덮개부,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 및 상기 스테이플 수용부를 아래로 눌러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가 상기 스테이플 압착판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스테이플에 의하여 상기 서류를 철하게 하는 힘작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힘작용수단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관통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판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상부 말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면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상면판에 고정되고 상기 상면판 상부로 돌출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손잡이부를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 상기 스테이플 압출부 및 상기 스테이플 수용부를 아래로 누르게 되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측면판이 관통하는 한 쌍의 측면판 관통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아래 말단부에는 고정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측면판은 상기 측면판 관통 슬릿을 통과한 후 상기 베이스부 아래에 위치한 상기 고정핀 관통공에 측면판 고정용 고정핀을 끼움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힘작용수단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하는 헤드부 결합부 및 힘을 작용시킬때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 결합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 결합부와 상기 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의 아래에 결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에 힘을 작용시킬 때 기준으로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균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4.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며, 그래서 상기 손잡이부에 힘을 작용시켜 상기 스테이플러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경사부가 상부로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는 상기 경사부는 하부로 경사진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부에 힘을 작용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힘작용수단의 상기 헤드부는 원기둥 형상을 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면판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결합핀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헤드부 결합부 말단에는 상기 헤드부가 수용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 바깥에 있는 상기 헤드부 결합부의 한 쌍의 팔부에는 결합핀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 결합부의 상기 한 쌍의 팔부는 손잡이부 결합용 결합핀에 의하여 상기 헤드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 고정용 고정핀은 선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KR1020140090264A 2014-07-17 2014-07-17 스테이플러 KR101575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264A KR101575074B1 (ko) 2014-07-17 2014-07-17 스테이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264A KR101575074B1 (ko) 2014-07-17 2014-07-17 스테이플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693A Division KR20160010384A (ko) 2015-08-21 2015-08-21 스테이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074B1 true KR101575074B1 (ko) 2015-12-07

Family

ID=5487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264A KR101575074B1 (ko) 2014-07-17 2014-07-17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07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504B2 (en) Tool box unit
JP6445688B2 (ja) ステープラー
US6209772B1 (en) Structure of the stapler
JP2014034099A (ja) 綴じ具
US6142355A (en) Structure of a stapler
US2227826A (en) Stapling machine
KR101575074B1 (ko) 스테이플러
US20040040999A1 (en) Multi-purpose hand-held unit
KR20160010384A (ko) 스테이플러
JP2004230483A (ja) ホッチキス
US6641020B1 (en) Nail box device for a nailing gun
JPH02262972A (ja) ステープラーにおける紙綴り装置並びに該装置用フレームと針押具及び曲げ台
US20140231487A1 (en) Stapler
US9539846B2 (en) Binding machine
US2228778A (en) Stapling machine
US8172119B2 (en) Parallel motion stapler
RU73817U1 (ru) Скобкосшиватель
KR101043056B1 (ko)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
KR101422774B1 (ko) 스테이플러
JP3718217B1 (ja) 差込口の上方にパンチを設けたクリップ装着器
KR101422773B1 (ko) 스테이플러
KR101575898B1 (ko)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막대형 스테플러
KR20000046780A (ko) 외과용 봉합기
JP3010285U (ja) ステープラー
JP6357192B2 (ja) ステープ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