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056B1 -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056B1
KR101043056B1 KR1020080074271A KR20080074271A KR101043056B1 KR 101043056 B1 KR101043056 B1 KR 101043056B1 KR 1020080074271 A KR1020080074271 A KR 1020080074271A KR 20080074271 A KR20080074271 A KR 20080074271A KR 101043056 B1 KR101043056 B1 KR 10104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 base
trigger
stapl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722A (ko
Inventor
치-펭 후앙
이-후이 리우
준-흐시엔 치앙
Original Assignee
에스디아이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아이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에스디아이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07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0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03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for tools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r to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스테이플러는 지지 베이스, 매거진 어셈블리, 트리거 어셈블리 및 다리-평탄 장치로 구성된다. 트리거 어셈블리는 트리거 레버와 누름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 요소는 축핀에 의해 상기 트리거 레버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누름 암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리-평탄 장치는 지지 베이스 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미끄럼 베이스, 가동 베이스 및 앤빌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미끄럼 베이스는 지지 베이스 위에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 베이스 위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 단편을 구비하고 있고, 이는 각각 대응하는 누름 요소의 누름 암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진다. 가동 베이스는 미끄럼 베이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서, 미끄럼 베이스가 지지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기 전에 가동 베이스가 하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신장된 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앤빌 요소는 상기 가동 베이스 내의 기다란 홀 내에 장착된다.
스테이플러, 지지 베이스, 매거진 어셈블리, 트리거 어셈블리, 다리-평탄 장치

Description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STAPLER WITH A LEG-FLATTING DEVICE}
본 발명은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이플의 다리를 평탄하게 절곡하는 다리-평탄 장치(leg-flatting device)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 다리를 절곡하는 다리-절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리-절곡 장치는 스테이플 다리를 곡선형으로 절곡시켜서 스테이플에 의해 결합되는 문서의 두께가 두껍게 된다. 절곡된 곡선형 다리는 두꺼운 두께의 문서들을 유지할 수가 없으며, 쉽게 변형되어서 사람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만 특허 제I229026호 또는 대만 특허 제I1274637호에 개시되어 있는 다리-평탄 장치를 갖고 있는 스테이플러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026 특허는 V-형 구동 요소를 갖춘 다리-평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구동 요소는, 트리거 레버의 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일 단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트리거 레버가 눌려질 때 다리-평탄 장치를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동 요소는 트리거 레버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스테이플러를 작동하는 데에는 큰 힘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 스테이플러의 구조는 복잡해서, 그 생산 비용이 높다. 또한, 종래의 스테이플러에 스테이플을 채워 넣기 위해 스테이플 매거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트리거 레버가 큰 각도만큼 선회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테이플러가 쉽게 넘어지게 된다.
상기 '637 특허는 트리거 레버와 다리-평탄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미끄럼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트리거 레버가 하향 이동할 때에, 미끄럼 요소가 이동해서 다리-평탄 장치가 배출되는 스테이플의 다리를 구부리도록 작동한다. 그러나, 종래 스테이플러의 미끄럼 요소의 구조는 복잡해서, 종래의 스테이플러 생산 및 조립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트리거 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미끄럼 요소를 통해 다리-평탄 장치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없다.
대만 실용신안 제299629호에는 다른 종래의 스테이플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629 실용신안은 레버 시스템 내에서 트리거 레버에 연결 형성되어서 노동 절약적 효과를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629 실용신안의 구종 장치의 구조 역시 복잡하고, 그 생산 비용도 높다. 또한, 상기 스테이플을 충전하기 위해 스테이플 매거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트리거 레버가 큰 각도만큼 선회되어야 하며, 이는 스테이플러가 쉽게 넘어지게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 단점을 극복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스테이플 다리를 편평하게 절곡하는 하나의 지렛점을 갖고 있는 스테이플러의 트랜스미션 시스템 및 노동-절약 레버 시스템을 구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노동-절약 능력을 갖춘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스테이플러는 지지 베이스, 매거진 어셈블리, 트리거 어셈블리 및 다리-평탄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베이스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매거진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베이스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트리거 어셈블리는, 매거진 어셈블리 위쪽에서 상기 지지 베이스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트리거 레버와 누름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트리거 레버는 상기 지지 베이스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누름 요소는 축핀에 의해 상기 트리거 레버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누름 암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리-평탄 장치는 지지 베이스 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미끄럼 베이스, 가동 베이스 및 앤빌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미끄럼 베이스는 지지 베이스 위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 베이스 위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 단편을 구비하고 있고, 이는 각각 대응하는 누름 요소의 누름 암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진다. 가동 베이스는 지지 베이스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미끄럼 베이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서, 미끄럼 베이스가 지지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기 전에는 가동 베이스가 하향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 내에 형성되어 있는 기다란 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앤빌 요소는 상기 가동 베이스 내의 기다란 홀 내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는 노동 절약적이며, 스테이플러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는 지지 베이스(10), 매거진 어셈블리(20), 트리거 어셈블리(30), 다리-평탄 장치(40) 및 베이스 홀더(50)를 포함한다.
지지 베이스(10)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바닥부를 갖고 있고, 바닥판(11) 및 바닥판(11)의 두 개의 측면에서 상향 돌출되게 바닥판(11) 위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측면 판(12)을 포함하고 있다. 바닥판(11)은 기다란 형태로,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한 쌍의 가이드 홀(111)과 장착공(112)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홀(111)과 장착공(112)은 바닥판(1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선회 탭(pivotal tab)(114)이 지지 베이스(10)의 바닥판(1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장착부(113)가 바닥판(11)의 중앙부 위에서 장착공(112)과 선회 탭(11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측면 판(12)은 지지 베이스(1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정렬되어 있는 주선회공(main pivoting hole)(121)과, 서로 정렬되어 있는 부선회공(secondary pivoting hole)(122)을 구비하고 있다. 주 축핀(13)이 측면 판(12) 내의 주선회공(121)을 관통하여 장착되어서, 매거진 어셈블리(20)와 트리거 어셈블리(30)가 지지 베이스(10)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곡선형 제한 슬롯(123)이 각 측면 판(12) 내에서 부선회공(122) 근방에 서로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측면 판(12)은, 측면 판(12)의 전방 단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124)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매거진 어셈블리(20)는 주 축핀(13)에 의해 지지 베이스(10)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스테이플 매거진(21), 매거진 캡(23) 및 제한봉(limiting rod)(22)을 포함하고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21)은 주 축핀(13)에 의해 지지 베이스(10)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그 안쪽에서 스테이플을 파지한다. 매거진 스프링(14)이 지지 베이스(10)의 바닥판(11)과 스테이플 매거진(21)의 바닥 사이에 장착되어서 스테이플 매거진(21)을 지지한다. 스테이플 매거진(21)은 후방 단부, 2개의 선회 홀(211) 및 2개의 봉 구멍(212)을 구비하고 있다. 선회 홀(211)들은 스테이플 매거진(21)의 후방 단부 내에 형성되어 있고, 주 축핀(13)이 선회 홀(211)을 관통하여 장착되어서, 스테이플 매거진(21)이 지지 베이스(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봉 구멍(212)들은 스테이플 매거진(21)의 바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 베이스(10)의 측면 판(12)의 제한 슬롯(123)과 대응한다.
매거진 캡(23)이 주 축핀(13)에 의해 지지 베이스(10)와 스테이플 매거진(21)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및 매거진 캡(2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231)를 구비하고 있다.
제한봉(22)이 봉 구멍(212)을 관통하여 스테이플 매거진(21) 내에 장착되며, 지지 베이스(10) 내의 제한 슬롯(123) 내에서 각각 활주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2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리거 어셈블리(30)가, 매거진 어셈블리(20) 위쪽에서 주 축핀(13)에 의해 지지 베이스(10)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트리거 레버(31), 누름 요소(36), 축핀(35) 및 보조 레버(34)를 포함하고 있다.
트리거 레버(31)가 주 축핀(13)에 의해 지지 베이스(10)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트리거 레버(31)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중앙부, 2개의 선회 홀(311) 및 2개의 선회 홀(312)을 구비하고 있다. 선회 홀(311)들은 트리거 레버(31)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정렬되어 있다. 주 축핀(13)이 선회 홀(311)을 관통하여 장착되어서, 트리거 레버(31)가 지지 베이스(10)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선회 홀(312)들은 트리거 레버(31)의 중앙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정렬되어 있다. 스테이플 구동 탭(32)이 트리거 레버(31)의 전방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매거진 캡(23)과는 활주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트리거 스프링(33)은 트리거 레버(31)의 인접부와 매거진 캡(23) 사이에 장착된다.
누름 요소(36)는 U자 형상으로, 축핀(35)에 의해 트리거 레버(31)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판과 2개의 누름 암(361)을 구비하고 있다. 상판은, 2개의 단부와 매거진 캡(23) 위의 후크(231)와 체결되는 체결 탭(363)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 암(361)은 곡선형이며, 각각 상판의 단부로부터 지지 베이스(10)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각 누름 암(361)은, 서로 정렬되어 있는 선회 홀(362)을 구비하고 있다.
축핀(35)이 트리거 레버(31)와 누름 암(361) 내에서 선회 홀(312, 362)을 관통하여 장착되어서, 누름 요소(36)를 트리거 레버(31)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다. 트리거 어셈블리(30)의 축핀(35)과 누름 요소(36)의 누름 암(361)은 주 축핀(13)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보조 레버(34)는 지지 베이스(10)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보조 레버 위에 보조 레버(34)의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측면 판을 구비하고 있다. 보조 레버(34)의 각 측면 판은, 측면 판의 후방 단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선회 돌출부(pivotal stub)(341)를 구비하며, 보조 레버는 지지 베이스(10)의 대응하는 측면 판(12)에서 부선회공(12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보조 레버(34)는 지지 베이스(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조 레버(34)는, 보조 레버 위에서 트리거 어셈블리(30)의 축핀(35)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레일을 구비하고 있다. 보조 레버(34)의 레일은 각각이 보조 레버(34)의 측면 판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슬롯(342)을 포함하고 있다. 트리거 어셈블리(30)의 축핀(35)의 두 단부는 각각 보조 레버(34)의 측면 판 내의 슬롯(342) 내에 활주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리-평탄 장치(40)는 지지 베이스(10) 위에 장착되며, 미끄럼 베이스(41), 가동 베이스(43) 및 앤빌 요소(45)를 포함하고 있다.
미끄럼 베이스(41)는 지지 베이스(10) 위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며, 미끄럼 베이스(4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 단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누름 요소(36) 위의 누름 암(361)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진다. 미끄럼 베이스(41)의 누름 단편은 누름 요소(36)의 누름 암(361)과 트리거 어셈블리(30)의 축핀(35)의 선회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누름 단편은 미끄럼 베이스(41)의 후방 단부에서 2개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누름 탭(412)을 포함하고 있다.
미끄럼 베이스(41)는, 미끄럼 베이스(41)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체결 탭(411)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으며, 체결 탭들은 각각 지지 베이스(10)의 바닥판(11) 내에서 가이드 홀(111)과 장착공(112)에 활주 가능하게 체결된다.
미끄럼 베이스(41)는, 미끄럼 베이스(41)의 전방 단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인접 리브(415)와, 상기 전방 단부 근방에서 미끄럼 베이스(4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개구(414)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수축 스프링(retract spring)(42)이 지지 베이스 위의 스프링 장착부(113)와 미끄럼 베이스(41) 사이에 장착되어, 미끄럼 베이스에 반동력(recoil force)을 주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끄럼 베이스(41)는, 미끄럼 베이스(4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서 그 내부에 수축 스프링(42)을 유지하는 스프링 채널(413)을 구비하 고 있다.
가동 베이스(43)는 움직일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지지 베이스(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미끄럼 베이스(41)에 의해 차단되어서 미끄럼 베이스(41)가 누름 암(361)의해 밀어져서 지지 베이스(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활주하기 전에는 가동 베이스(43)가 하향 이동하지 않는다. 가동 베이스(43)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전방 단부 내에 형성되어 있는 기다란 홀(431)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선회 돌출부(432)가 가동 베이스(43)의 후방 단부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 베이스(10) 위의 선회 탭(1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가동 베이스(43)가 지지 베이스(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가동 베이스(43)는, 미끄럼 베이스(41)의 인접 리브(415)와 인접하게, 가동 베이스(43)의 전방 단부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인접 플랜지(434)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스프링(44)이 미끄럼 베이스(41) 내의 개구(414) 내에 유지되어 있고, 가동 베이스(43)와 지지 베이스(10)의 바닥 판 사이에 장착되어서 가동 베이스(43)를 지지하면서 가동 베이스(43)에 반동력을 주게 된다.
앤빌 요소(45)는 가동 베이스(43) 내의 기다란 홀(431) 내에 장착되며, 지지 스프링(46)에 의해 지지되며, 스테이플 구동 탭(32)에 대응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홀더(50)는 지지 베이스(10)의 바닥 위에 장착되며, 전방 단부, 함몰부(51), 2개의 측면 벽(52), 2개의 후크 암(53) 및 미끄럼 채널(54)을 구비하고 있다.
함몰부(51)는 베이스 홀더(50)의 상부에 형성되어서 그 내부에서 지지 베이스(10)의 바닥판(11)을 유지하며, 베이스 홀더(50)의 2개의 측면에 각각 측면 벽(52)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 암(53)은 각각 측면 벽(52) 위에 형성되며, 지지 베이스(10)의 측면 판(12)의 전방 단부에 각각 체결되어서 베이스 홀더(50) 위의 지지 베이스(10)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미끄럼 채널(54)은 베이스 홀더(5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미끄럼 채널(54) 안쪽에는 앤빌 요소(45)가 이동 가능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끄럼 채널(54)은 측면 벽(52)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측면 탭(542)과 전방 탭(54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플을 채우기 위해 트리거 어셈블리(30)가 위로 들려지며, 트리거 레버(31)가 지지 베이스(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되고, 축핀(35)은 보조 레버(34) 위의 레일을 따라 미끄러진다. 결과적으로, 매거진 캡(23)이 트리거 레버(31)와 함께 지지 베이스(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하여, 스테이플 매거진(21)이 개방되어 스테이플이 충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테이플러 내에 편리하고 용이하게 스테이플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레버(34) 위의 레일에 의해 제공되는 축핀(35)에 대한 제한 효과로 인해, 트리거 레버(31)는 트리거 레버(31)가 지지 베이스(10)의 지지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위치에서 단지 선회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스테이플러의 무게 중심은 언제나 지지 베이스(10) 영역 내에 유지되어서, 트리거 어셈블리(30)가 재충전 위치로 선회될 때에도 스테이플러는 평면 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트리거 어셈블리(30)가 눌려질 때, 보조 레버(34)는 하향 이동하여서 트리거 레버(31)가 주 축핀(13)을 중심으로 하여 하향 선회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 탭(32)이 하향 이동하여서 스테이플 매거진(21) 안쪽에서부터 배출되는 스테이플 중 하나를 압박하게 된다. 앤빌 요소(45)에 의해, 배출된 스테이플의 다리가 구부러지게 된다.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가 노동 절약적이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점을 입증한다. 아래의 식은, 보조 레버(34)의 전방 단부에서의 입력힘(F1), 축핀(35)에 가해지는 내부힘(F2), 트리거 레버(31)의 전방 단부에 가해지는 출력 힘(F3)을 포함하고 있다. 보조 레버(34) 길이와 축핀(35)에서부터 선회 돌출부(341)까지의 거리의 비는 5이다. 트리거 레버(31) 길이와 축핀(35)에서부터 주 축핀(14)까지의 거리의 비는 2이다.
F1x5=F2x1;
F1/F2=1/5; F1=0.2F2;
F2x1=F3x2; F3=0.5F2;
F3/F1=0.5F2/0.2F2=2.5;
F3=2.5F1
출력 힘(F3)이 입력 힘(F1)의 2.5 배이기 때문에, 스테이플러는 노동 절약적이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트리거 레버(31)가 하향 이동할 때에, 누름 요소(36)는 트리거 레버(31)와 함께 하향 이동하여서 미끄럼 베이스(41) 위의 누름 단편을 누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미끄럼 베이스(41)가 밀려져서 지지 베이스(10)의 후방 단부 쪽으로 이동하여 가동 베이스(43)의 차단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앤빌 요소(45)와 함께 가동 베이스(43)가 하향 이동하여 배출된 스테이플의 다리를 절곡시킨다.
누름 요소(36)가 트리거 레버(31)의 중앙부에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다리-평탄 장치(40)가 누름 요소(36)에 의해 직접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스테이플러의 이러한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으며, 스테이플러의 동작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어셈블리(30)는 하나의 지레 장치로서 노동 절약적으로 구성되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의 노동 절약 지레 시스템 및 트랜스미션 시스템은 하나의 지레 받침점을 구비한다. 동작 시간을 달리 하더라도, 트리거 어셈블리(30) 요소들의 동작이 누름 요소(36)를 통해 다리-평탄 장치(4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어셈블리(30)의 동작 시간이 매우 짧아서, 스테이플러는 노동 절약적으로 되며, 스테이플러의 구조는 간단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테이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테이플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테이플을 채워 넣기 위해 열려있는 스테이플러를 도시하는, 도 1의 스테이플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테이플러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트리거 어셈블리가 압축되어 있는, 도 1의 스테이플러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누름요소에 의해 활주되어 있는 다리-평탄 장치의 활주 베이스를 보여주는, 도 1의 스테이플러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힘선으로 지시되어 있는, 도 6의 스테이플러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 베이스 12: 측면 판
13: 주 축핀 20: 매거진 어셈블리
21: 스테이플 매거진 22: 제한봉
30: 트리거 어셈블리 35: 축핀
40: 다리-평탄 장치 43: 가동 베이스
45: 앤빌 요소 50: 베이스 홀더

Claims (12)

  1.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구비하는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매거진 어셈블리와;
    상기 매거진 어셈블리 위쪽에서 상기 지지 베이스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베이스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트리거 레버와, 축핀에 의해 상기 트리거 레버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누름 암을 갖고 있는 누름 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트리거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베이스 위에 장착되어 있는 다리-평탄 장치로서, 지지 베이스 위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누름 암에 대응하며 누름 암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누름 단편을 구비하는 미끄럼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미끄럼 베이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서 미끄럼 베이스가 누름 암에 의해 밀어져서 지지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활주하기 전에는 하향 이동되지 않으며, 전방 단부와 그 전방 단부에 기다란 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 베이스와, 상기 가동 베이스 내의 기다란 홀에 장착되는 앤빌 요소를 구비하는 다리-평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베이스는 그 지지 베이스의 후방 단부 위에 장착되는 주 축핀을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 어셈블리와 트리거 레버는 상기 주 축핀에 의해 상기 지지 베이스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미끄럼 베이스의 누름 단편, 트리거 어셈블리의 축핀 및 누름 요소의 누름 암이 상기 주 축핀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누름 요소는 2개의 단부가 있는 상판을 구비하고;
    누름 암은 상기 상판의 단부로부터 각각 곡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 누름 암은 서로 정렬되어 있는 선회 홀을 구비하고 있고;
    트리거 어셈블리의 축핀은 누름 암 내의 선회 홀을 관통하여 장착되어서 상기 트리거 레버의 누름 요소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매거진 어셈블리는 매거진 캡을 포함하되, 상기 매거진 캡은 상부와 그 매거진 캡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를 구비하고 있고;
    누름 요소의 상판은 상기 매거진 캡 위의 후크에 체결되는 체결 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5. 제4항에 있어서, 트리거 레버는 그 트리거 레버의 전방 단부에 부착되어 있 는 스테이플 구동 탭을 구비하며, 매거진 캡에 활주 가능하게 체결되고;
    매거진 캡과 트리거 레버 인접부 사이에는 트리거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베이스의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트리거 어셈블리의 축핀 위에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보조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7. 제6항에 있어서, 보조 레버는 그 보조 레버 위에서 보조 레버의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측면 판을 구비하고;
    보조 레버의 레일은 상기 측면 판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슬롯을 포함하며;
    트리거 어셈블리의 축핀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상기 보조 레버의 측면 판 내의 슬롯에서 활주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8. 제7항에 있어서, 트리거 레버는 그 트리거 레버의 상부에 서로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선회 홀을 구비하고;
    트리거 어셈블리의 축핀은 트리거 레버 내의 선회 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는 기다란 바닥 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판은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바닥 판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홀 및 바닥 판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을 구비하며;
    미끄럼 베이스는, 그 미끄럼 베이스의 바닥에서부터 돌출되어 바닥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이 지지 베이스의 바닥 판 내의 가이드 홀과 장착공에 활주 가능하게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 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10. 제9항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는 그 지지 베이스의 바닥 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선회 탭을 구비하고;
    가동 베이스는, 그 가동 베이스의 후방 단부 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 베이스의 선회 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가동 베이스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11. 제10항에 있어서, 미끄럼 베이스는 그 미끄럼 베이스의 전방 단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인접 리브를 구비하고;
    가동 베이스는, 그 가동 베이스의 전방 단부에서 바닥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 베이스 위의 인접 리브에 인접하고 있는 인접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12. 제1항 또는 제1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의 바닥 위에 장착되는 베이스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홀더는 전방 단부와 베이스 홀더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채널을 구비하며;
    앤빌 요소가 상기 베이스 홀더 내의 미끄럼 채널 내에 가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러.
KR1020080074271A 2008-07-29 2008-07-29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 KR10104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271A KR101043056B1 (ko) 2008-07-29 2008-07-29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271A KR101043056B1 (ko) 2008-07-29 2008-07-29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22A KR20100012722A (ko) 2010-02-08
KR101043056B1 true KR101043056B1 (ko) 2011-06-21

Family

ID=4208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271A KR101043056B1 (ko) 2008-07-29 2008-07-29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265A1 (ko) * 2021-08-20 2023-02-23 김영진 손잡이바의 이중 당김으로 철심의 끝부를 누름하는 박스 모서리용 스테이플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481B1 (ko) * 1994-03-10 1999-02-18 구보따 기요시 스테이플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481B1 (ko) * 1994-03-10 1999-02-18 구보따 기요시 스테이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265A1 (ko) * 2021-08-20 2023-02-23 김영진 손잡이바의 이중 당김으로 철심의 끝부를 누름하는 박스 모서리용 스테이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22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923B2 (en) Stapler with a leg-flatting device
US7243832B2 (en) Spring-powered stapler
US7575140B2 (en) Abutment adjusting device for nail gun
US10500704B2 (en) Stapler
US8276799B2 (en) Front-depression stapling device
US20070023473A1 (en) Spring-powered stapler
US9446508B2 (en) Stored energy stapler
JP2014034099A (ja) 綴じ具
US9687976B2 (en) Stored energy stapler
EP2450154A2 (en) Stapler
US8281971B2 (en) Labor-saving stapler
JP5582328B2 (ja) 脚部扁平化手段付きステープラー
KR101043056B1 (ko) 다리-평탄 장치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
US20070187451A1 (en) Pliers type stapler
JP2008500196A (ja) ステープラ
EP2147752B1 (en) Stapler with a leg-flatting device
CN209919815U (zh) 一种压线钉枪
US11724377B2 (en) Bottom loading pliers stapler
JPWO2006090878A1 (ja) ステープラー
US20140231487A1 (en) Stapler
AU2008100699A4 (en) Stapler with a leg-flatting device
JP2012045653A (ja) ステープラ
CN102216036A (zh) 平行运动的订书机
RU2387547C1 (ru) Скобосшиватель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лющения ножек проволочных скоб
KR101575074B1 (ko) 스테이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