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780A - 외과용 봉합기 - Google Patents

외과용 봉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780A
KR20000046780A KR1019980063507A KR19980063507A KR20000046780A KR 20000046780 A KR20000046780 A KR 20000046780A KR 1019980063507 A KR1019980063507 A KR 1019980063507A KR 19980063507 A KR19980063507 A KR 19980063507A KR 20000046780 A KR20000046780 A KR 20000046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
handle
trigger
stack
sta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김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일 filed Critical 김상일
Priority to KR101998006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6780A/ko
Publication of KR2000004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7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핸들의 양측벽과 상면벽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단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후단벽에 다수개의 걸림공을 형성하며, 상기 트리거의 후단부에는 탄성각을 형성하여 그 상단에 상기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를 형성함과 아울러 트리거의 탄성각 상단에 가이드 핀을 양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핸들의 양측벽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캠을 형성하며, 스태플러 스택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받침편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스태플러 스택의 선단부에 스태플의 연결부 중간부를 지지하는 앤빌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이 향상되면서도 스태플 잼을 배제할 수 있고, 단일 규격의 스태플러 스택에 스태플의 개수가 다른 스태플 접합체를 장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외과용 봉합기
본 발명은 외과용(surgical;外科用) 스태플러형(stapler type)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간편하게 됨과 아울러 스태플(staple)의 잼(jam) 발생을 배제한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에서의 봉합은 예로부터 바늘과 실을 사용하는 기술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고도의 숙련과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것이어서 근래에는 스태플러형으로 된 외과용 봉합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외과용 봉합기로서는 Jay E. Campbell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406,392호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외과용 봉합기는 대략 선단부에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과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의 저변 선단부에서 대략 중간부에 걸쳐서 장착되어 한 쌍의 평행한 각부(脚部)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다수개의 "ㄷ"자형 스태플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가 장전되는 스태플 스택과, 상기 트리거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태플 스택에 장전된 스태플의 양단부를 눌러 스태플이 하나 씩 분리되어 밀려나오도록 하는 포밍 블레이드와, 상기 포밍 블레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핸들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포밍 블레이드에 의하여 밀려나오는 스태플을 중간부를 지지하는 앤빌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은 양측벽과 이 양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벽을 가지며 하단이 개방된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의 후단부에는 별도의 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트리거는 양측벽과 이 양측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벽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트리거의 양측벽의 외면간의 폭은 상기 핸들의 양측벽 내면간의 폭보다 작게 되어 트리거가 핸들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의 하면벽 후단에는 상부로 만곡 연장 형성된 탄성편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의 후단벽과 트리거의 탄성편은 상기 핸들과의 회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과 트리거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상기 스태플 스택에는 압축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시 전방으로 탄력 지지되어 스태플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스태플 이송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휘어지는 방지하기 위하여 스태플 스택의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된 안내봉에 감긴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외과용 봉합기에 의하여 봉합함에 있어서는 핸들과 트리거의 후방부 잡은 상태에서 핸들의 선단부를 봉합하고자 하는 부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핸들과 트리거의 후방부를 쥐어 누르면 트리거가 핸들에 대하여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의 선단에 결합된 포밍 블레이드가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태플 스택에 장전된 스태플 접합체 중 최선단에 위치하는 스태플의 양단부가 포밍 블레이드에 의하여 눌려서 분리되면서 핸들의 선단부로 빠져 나오려고 하게 되는데 이때 핸들의 선단부에 설치된 앤빌에 의하여 스태플의 연결부 중간부가 지지되므로 양단의 각부는 봉합하고자 하는 부위를 파고 들어감과 아울러 서로 마주보고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봉합되는 것이다.
이때 봉합이 완료되기 전에 핸들과 트리거를 쥐어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더라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핸들의 후단 커버의 하단에는 스토퍼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트리거의 후단 탄성편의 후면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래치트가 형성되어 있다.
즉, 봉합을 위하여 핸들과 트리거를 쥐어 눌러 트리거가 핸들에 대하여 회동할 때 트리거의 후단부에 형성된 래치트가 핸들의 스토퍼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봉합이 완료되기 전 어느 위치에서라도 핸들과 트리거를 쥐어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며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핸들과 트리거를 완전히 쥐어 눌러서 봉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핸들과 트리거를 쥐어 누르던 힘을 제거할 경우 스토퍼와 래치트에 의하여 트리거가 복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의 후단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캠을 형성하고 트리거의 탄성편 상단에는 상기 핸들의 후단면과 캠의 후면 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상승하였다가 캠의 전면을 따라 복귀하는 가이드 핀이 설치되어 있다.
즉, 핸들과 트리거를 완전히 쥐어 눌러서 봉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핸들의 상면벽에 접촉된 후 캠의 상단에서 캠의 전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편이 전방측으로 휘어지면서 탄성편에 형성된 래치트가 핸들의 스토퍼로부터 이격되어 트리거가 핸들의 내부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로 되며, 핸들과 트리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처음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하나의 스태플이 밀려나와 한 땀의 봉합이 완료되고 포밍 블레이드가 복귀되면 스태플 이송대가 스태플을 1피치만큼 전진시켜 다음 번 봉합을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외과용 봉합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스토퍼가 핸들과는 별도로 형성된 커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스태플 스택내에서 스태플 접합체를 전진시키는 스태플 이송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스태플 스택의 전후면 사이에 지지되어 있어 스태플이 사용됨에 따라 스태플 접합체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스태플 접합체를 이송하는 힘이 약화되어 스태플 접합체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스태플의 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통상적으로 스태플 스택의 길이는 일정하며, 15∼50개의 스태플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를 장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스태플 이송대를 전진시키는 탄성부재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스태플 집합체의 길이(스태플의 개수)에 따라 스태플 스택의 규격을 달리하여야 하므로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기 핸들의 스토퍼에 대응하는 래치트가 트리거의 탄성편에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편의 두께가 두껍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편의 탄성력이 강하게 되어 캠과 가이드 핀에 의한 탄성편의 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드리거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가 적고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 외과용 봉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태플의 잼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외과용 스태플러형 봉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규격의 스태플 스택에 스태플의 개수가 다른 스태플 집합체를 장전하더라도 스태플 접합체의 이송력이 일정하게 되어 스태플 접합체의 길이에 따라 각각 스태플 스택의 규격을 달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외과용 봉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리거의 복귀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외과용 봉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스태플러 스택과 포밍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스태플러 스택의 측면도, 종단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스태플러 스택 베이스와 스태플러 및 스태플러 이송수단을 보인 평면도.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스태플 접합체 1 : 스태플
10 : 핸들 14 : 후단벽
17 : 걸림공 18 : 캠
20 : 트리거 23 : 탄성각
24 : 스토퍼 25 : 가이드 핀
30 : 스태플러 스택 31a : 걸림턱
33 : 스태플 이송대 34 : 탄성부재
35 : 받침편 38 : 앤빌부
40 : 포밍 블레이드 50 : 블레이드 안내부재
60 : 리테이너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벽과 상면벽에 의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핸들과, 이 핸들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에 대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의 전반부 저부에 결합되어 양측 각부와 이들 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스태플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가 장전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진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스태플 접합체를 전진 이송시키는 스태플 이송대가 내장된 스태플러 스택과, 상기 트리거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태플러 스택에 장전된 스태플을 눌러 추출하는 포밍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양측벽과 상면벽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단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후단벽에 다수개의 걸림공을 형성하며, 상기 트리거의 후단부에는 탄성각을 형성하여 그 상단에 상기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가 제공된다.
상기 트리거의 탄성각 상단에 가이드 핀을 양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핸들의 양측벽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캠을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공에 걸릴 수 있는 상태와 걸림공에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서 된다.
상기 스태플러 스택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받침편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스태플러 스택의 선단부에 스태플의 연결부 중간부를 지지하는 앤빌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0은 핸들이고, 20은 트리거이며, 30은 스태플러 스택이고, 40은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에 장전된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을 한 개씩 분리하여 밀어내기 위한 포밍 블레이드이다.
상기 스태플(1a)은 한 쌍의 평행한 각부(脚部)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스태플 접합체(1)는 다수개(통상 15∼50개)의 스태플(1a)를 접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스태플러 스택(30)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은 양측벽(11)과 상면벽(12)에 의하여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양측벽(11)과 상면벽(12)의 선단은 선단벽(13)으로, 후단은 후단벽(14)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측벽(11)의 하측 연부에는 선단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힌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의 선단벽(13)은 상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벽(14)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벽(12)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에 장전된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창(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창(16)에는 스태플(1a)의 잔존 개수를 표시하는 눈금과 수자가 인쇄된다.
상기 후단벽(14)에는 다수개의 걸림공(17)이 천공되고, 양측벽(11) 내측면에는 캠(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는 상기 핸들(10)의 양측벽(1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10)의 힌지홈(15)에 삽입되어 트리거(20)의 회동 지점이 되는 힌지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의 선단면에는 포밍 블레이드(40)의 상단이 끼워지는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의 후단부에는 탄성각(23)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 탄성각(23)의 상단에는 상기 핸들(10)의 걸림공(17)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24)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10)의 양측벽 내면에 형성된 캠(18)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핀(25)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미 설명 부호 26은 상기 트리거(20)를 핸들(10)에 대하여 상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이다.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은 상기 핸들(10)의 선단부측 저면과 트리거(20)의 선단부측 상면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택 베이스(31)와 스택 커버(32)에 의하여 그 내부에 다수개(통상 15 ∼ 50개)의 스태플(1a)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1)가 장전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스태플 접합체(1)를 선단측으로 이송하는 스태플 이송대(33)가 탄성부재(34)에 의하여 선단측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태플 이송대(33)는 선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태플 이송대(33)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34)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스택 베이스(31)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31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받침편(35)과 상기 스태플 이송대(33)의 후단면 사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4)는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편(35)에 후단이 슬라이드 가능하는 지지된 안내봉(36)에 감긴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스태플 이송대(33)의 후단부에는 상기 인디케이터창(16)을 통해 투시되는 인디케이터(37)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37)는 상기 스택 커버(32)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32a)과 트리거(20)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20b)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스택 커버(32)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앤빌 지지 및 포밍 블레이드 안내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택 베이스(31)와 스택 커버(32)는 상술한 내장 부품들을 조립한 후 초음파 접착 방법에 의하여 접착되어 하나의 부분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택 베이스(31)의 선단에는 스태플(1a)의 연결부 중간부를 지지하는 앤빌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을 결착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10)의 양측벽(11) 외면과 스택 커버(32)의 양측면에는 결착용 클립(39)이 위치하는 클립 안내홈(11a)(3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밍 블레이드(40)는 트리거(20)의 선단면에 형성된 삽입홈(20a)에 상단절곡부(41)가 삽입됨과 아울러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하단부 양측에는 스태플(1a)의 연결부 양측을 누르는 누름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택 커버(32)의 상면에는 포밍 블레이드(40)를 안내하는 블레이드 안내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 안내부재(50)는 상기 스택 커버(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체(51)와, 이 지지체(51)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블레이드 안내편(5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의 전방에는 최선단의 스태플(1a)이 취출된 후 포밍 블레이드(40)가 복귀하기 전까지 스태플 접합체(1)의 선단이 포밍 블레이드(4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리테이너(60)가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60)는 상기 핸들(10)의 선단벽(13)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61)와 이 수직고정부(6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된 탄성부(6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는 도 6a 및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핸들(10)과 트리거(20)의 후반부를 쥐어 누르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20)가 탄성부재(26)의 탄성을 이기면서 힌지홈(15)과 이에 삽입된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그 선단의 삽입홈(20a)에 삽입된 포밍 블레이드(40)가 블레이드 안내부재(50)의 안내편(52)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포밍 블레이드(40)가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42)가 스태플 접합체(1)의 최선단에 위치하는 스태플(1a)의 연결부 양측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스태플(1a)이 스태플 접합체(1)로부터 분리되면서 추출되기 시작하고, 추출되는 스태플(1a)의 연결부가 앤빌부(38)에 이르면 연결부의 중간부가 앤빌부(38)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핸들(10)과 트리거(20)를 쥐어 누름에 따라 도 6c와 같이 포밍 블레이드(40)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태플(1a)이 계속 추출되면서 그 각부가 봉합하고자 하는 부위를 파고 들어가게 되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플(1a)의 연결부가 누름돌기(42)의 내측단과 앤빌부(38)의 양측단 경계 부분에서 절곡되어 결국 스태플(1a)의 양측 각부가 안으로 오무라지면서 봉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봉합 과정에서 트리거(20)가 도 6a의 상태에서 회동하기 시작하면 그 후단부에 형성된 탄성각(23)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24)가 핸들(10)의 후단벽(14)에 형성된 걸림공(17) 중 하측에 위치한 것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 순차적으로 걸리면서 상승하게 되고 핸들(10)과 트리거(20)를 완전히 쥐어 누르기 전에 그 힘을 제거하면 스토퍼(24)는 걸림공(17)중 어느 하나에 걸린 상태이므로 탄성부재(26)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트리거(20)가 복귀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도 6b 참조).
이때, 탄성각(23)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핀(25)이 핸들(10)의 양측벽(11) 내면에 형성된 캠(18)의 후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계속하여 핸들(10)과 트리거(20)가 완전히 눌려진 상태에서는 도 6c와 같이 스토퍼(24)가 후단벽(14)의 최상단에 이르게 되고 가이드 핀(25)은 캠(18)의 최상단에 이르게 된다.
이때 탄성각(23)은 후단벽(14)의 최상단에 접촉하는 스토퍼(24)에 의해 전방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핀(25)은 캠(18)의 최상단에서 전방측으로 넘어가게 됨과 아울러 스토퍼(24)는 후단벽(14) 및 걸림공(17)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봉합이 완료된 상태로서 이후 핸들(10)과 트리거(20)를 쥐어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트리거(20)는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게 된다.
한편, 포밍 블레이드(40)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도 8a와 같이 리테니어(60)의 탄성부(62)가 포밍 블레이트(40)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러나간 상태로 되며, 포밍 블레이드(40)가 완전히 하강하여 스태플(1a)를 추출한 후 상승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도 8b와 같이 탄성부(62)가 스태플 접합체(1)의 선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포밍 블레이드(40)의 상승 복귀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최초 제작 시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에 스태플 접합체(1)를 장전함에 있어서는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 즉 스태플 접합체(1)의 길이에 따라 받침편(35)을 스택 베이스(3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걸림턱(31a)중 어느 하나에 걸어서 스태플 이송대(33)에 전진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조절한 상태로 조립한다.
즉, 장전되는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가 많을 경우, 즉 스태플 접합체(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받침편(35)을 전방측 걸림턱(31a)에 걸어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약화시키고,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가 적을 경우, 즉 스태플 접합체(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받침편(35)을 후방측 걸림턱(31a)에 걸어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 즉 스태플 접합체(1)의 길이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진 이송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스태플 잼을 배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나의 규격의 스태플러 스택(30)에 스태플(1a)의 개수가 다른, 즉 전체 길이가 다른 스태플 접합체(1)를 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 트리거, 스태플러 스택, 포밍 블레이드, 블레이드 안내부재 등으로 구성되며, 핸들의 후단벽이 일체로 형성되며 앤빌부가 스태플러 스택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부품수가 적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에 의하면 스태플 접합체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스태플을 전진 이송시키는 탄성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스태플의 잼을 배제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동일한 규격의 스태플 스택에 스태플의 개수가 다른, 즉 그 전체 길이가 다른 스태플 집합체를 장전하더라도 스태플 접합체의 이송력이 일정하게 되어 스태플 접합체의 길이에 따라 각각 스태플 스택의 규격을 달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의 후단벽에 다수개의 걸림공을 형성하고 트리거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각의 상단에 스토퍼를 형성한 것이므로 트리거의 복귀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양측벽과 상면벽에 의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핸들과, 이 핸들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에 대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의 전반부 저부에 결합되어 양측 각부와 이들 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스태플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가 장전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진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스태플 접합체를 전진 이송시키는 스태플 이송대가 내장된 스태플러 스택과, 상기 트리거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태플러 스택에 장전된 스태플을 눌러 추출하는 포밍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양측벽과 상면벽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단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후단벽에 다수개의 걸림공을 형성하며, 상기 트리거의 후단부에는 탄성각을 형성하여 그 상단에 상기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탄성각 상단에 가이드 핀을 양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핸들의 양측벽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캠을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공에 걸릴 수 있는 상태와 걸림공에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플러 스택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받침편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플러 스택의 선단부에 스태플의 연결부 중간부를 지지하는 앤빌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KR1019980063507A 1998-12-31 1998-12-31 외과용 봉합기 KR20000046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507A KR20000046780A (ko) 1998-12-31 1998-12-31 외과용 봉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507A KR20000046780A (ko) 1998-12-31 1998-12-31 외과용 봉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780A true KR20000046780A (ko) 2000-07-25

Family

ID=1957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507A KR20000046780A (ko) 1998-12-31 1998-12-31 외과용 봉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67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9876A1 (en) * 2007-03-08 2008-09-12 Cardica, Inc. Surgical stapler
US7533790B1 (en) 2007-03-08 2009-05-19 Cardica, Inc. Surgical stapler
KR101365064B1 (ko) * 2009-10-16 2014-02-19 김영권 외과용 봉합기 포머의 신규한 구조
KR20230072349A (ko) 2021-11-17 2023-05-24 김영권 외과용 봉합기
KR20230101624A (ko) 2021-12-29 2023-07-06 동국 김 외과용 스테이플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9876A1 (en) * 2007-03-08 2008-09-12 Cardica, Inc. Surgical stapler
US7473258B2 (en) 2007-03-08 2009-01-06 Cardica, Inc. Surgical stapler
US7533790B1 (en) 2007-03-08 2009-05-19 Cardica, Inc. Surgical stapler
KR101365064B1 (ko) * 2009-10-16 2014-02-19 김영권 외과용 봉합기 포머의 신규한 구조
KR20230072349A (ko) 2021-11-17 2023-05-24 김영권 외과용 봉합기
KR20230101624A (ko) 2021-12-29 2023-07-06 동국 김 외과용 스테이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722B1 (ko) 스테플성형 및 공급장치
US4470532A (en) Medical stapling device
US20050150928A1 (en) Cartridge for stapler and stapler
EP1788953A1 (en) An operating staple and intraluminal stapler for operation having the operating staple
US7621433B2 (en) Stapler
KR20000046780A (ko) 외과용 봉합기
US4317535A (en) Stapler with tapered anvil
US5022579A (en) Surgical stapler
KR101036389B1 (ko) 카트리지
JP2003291077A (ja) ステープラ
KR20090110163A (ko) 외과용 봉합기
KR20230101624A (ko) 외과용 스테이플러
JPH04269182A (ja) 手動のホッチキス
JP2011212222A (ja) 医療用ステープラ
WO2011078294A1 (ja) 医療用ステープラ
EP1577061B1 (en) Electric stapler
KR20230072349A (ko) 외과용 봉합기
JP2001284896A (ja) リード線のカットアンドクリンチ方法及び装置
KR101573874B1 (ko) 외과용 봉합기
KR20110041947A (ko) 외과용 봉합기 탄성부재의 신규한 구조
KR20110041946A (ko) 외과용 봉합기 앤빌의 신규한 구조
JP7211095B2 (ja) ステープラ
KR20110041945A (ko) 외과용 봉합기 포머의 신규한 구조
KR20110041944A (ko) 외과용 봉합기 스태플 이송대의 신규한 구조
JPS61178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